•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cabbage Kimchi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5초

발효온도 및 소금농도에 따른 배추김치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Property of Chinese Cabbage Kimchi by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 장문정;김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1호
    • /
    • pp.7-11
    • /
    • 2000
  • 배추김치의 실제 유통온도조건$(0{\sim}l5^{\circ}C)$과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 제출된 염농도조건$(1.5{\sim}4.0%)$의 변화에 따른 김치의 발효특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김치의 pH는 감소한 반면 산도는 증가하였다. 발효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pH및 산도의 감소 및 증가 속도가 높아졌으며, $0{\sim}5^{\circ}C$구간에서는 24일이 지난 후에도 최적 pH인 4.2에 도달하지 못한 반면 $5{\sim}15^{\circ}C$구간에서는 $14{\sim}24$일만에 도달하였다. 소금농도가 증가할수록 pH 감소속도는 낮았으며 발효초기보다 발효말기에 효과가 컸다. $0^{\circ}C$에서 24일이 지난 후에도 산도는 $0.35{\sim}0.43%$ 수준이었지만, $15^{\circ}C$에서는 8일만에 적정산도인 0.75%를 넘어섰다. 소금농도 증가에 따른 산도증가의 억제효과는 $15^{\circ}C$보다는 $0^{\circ}C$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김치의 pH와 산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발효기간, 발효온도, 소금농도 순서로 나타났다. 이차다항회귀곡선식에서 pH와 산도 모두 높은 적합도$(r^{2}>0.9276)$를 나타내었으며 일차다항회귀가 결정계수를 주도하였다. 적정 가식기간인 산도 $0.40{\sim}0.75%$를 기준으로 2.75%의 소금농도 배추김치의 경우 $15^{\circ}C$, $10^{\circ}C$$5^{\circ}C$에서 각각 4일, 10일 및 18일로 나타났으며, $5^{\circ}C$의 발효 온도에서는 소금농도가 1.50%에서 4.00%로 증가함에 따라 14일에서 19일로 적정 가식기간이 길어졌다.

  • PDF

구 소련거주(독립국가연합) 한인들의 김치 이용의 실태에 관한 조사 1. 김치와 식생활 (A Research on Kimchi Culture for the Koreans in CIS 1. Dining Habits in Relation to Kimchi)

  • 김영희;김영숙;이경임;신애숙;박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93-600
    • /
    • 1996
  • 구 소련(독립국가연합) 중 비교적 한인이 많이 살고 있는 모스크바, 사할린, 우즈베크스탄, 카자흐스탄 지역의 한인 199명을 대상으로 김치와 식생활에 관한 조사를 실시 한 결과, 식사형태는 조사대상자의 90.5%가 한식 중심의 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지역적으로 볼 때 모스크바가 양식으로의 전환율이 높은 반면 사할린은 거의 대부분이 한식 형태였다. 또한 고연령으로 갈수록 한식 중심의 식사를 하고 있었고 연령이 낮거나 이주 후 세대를 거칠수록 양식으로의 전환율이 높았다. 김치에 대한 기호도는, 응답자의 85.9%가 김치를 좋아 하였으며 좋아하는 이유는 대부분이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이라는 자부심과 김치가 맛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김치 섭취횟수는 응답자의 95%가 하루 한끼 이상은 김치를 섭취 하고 있었으며 특히 사할린은 매끼 마다 섭취하는 사람이 많았다(88%). 또 연령과 이주세대에 따른 섭취 횟수의 차이는 나이가 어리고 이주세대를 거칠수록 김치 섭취횟수가 줄어들었다. 과거와 현재의 김치 섭취량의 차이는, 41.7%가 과거 보다 많이 섭취하였고 21.6%는 별 차이가 없었으며, 지역별로는 사할린은 섭취량이 많아진 경우가 많았고 모스크바는 섭취량이 적어진 경우가 더 많아 두 지역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 나이가 적고 이주세대를 거칠수록 과거 보다 섭취량이 줄어들어 나이가 적을수록 현지의 음식에 적응하여 섭취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먹어보거나 본 적이 있는 김치로는 배추김치 (99%)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오이김치(91.5%), 양배추김치(띨.4%), 물김치(82.4%), 가자미식해 (75.4%) 등의 순으로 우리나라에서 상용하는 깍두기, 총각김치 , 부추김치 등의 비율이 낮고 양배추김치, 가자미식해 등의 비율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특히 사할린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김치 경험이 다양한 결과를 보여 한국에서의 김치 문화가 많이 남아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또 김치를 이용해 많이 해먹는 음식으로는 주로 김치찌개와 김치볶음 등이었으나 이것도 50%대에 머물고 있어 김치로 다른 음식까지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만큼의 양적인 여유가 없다는 것을 짐작할 수가 있었다. 김치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반응은, '김치를 잘 먹었다'는 응답이 99.5%이고 '전혀 못먹었다'는 사람은 한명도 없었는데 이로써 양식 위주의 서양인에게도 김치가 잘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고 또한 김치 이용 확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녹차의 처리방법에 따른 김치의 발효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Treated with Different Methods of Green Tea Water Extracts)

  • 김미경;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54-359
    • /
    • 2003
  • 김치 제조시 녹차 물추출물의 첨가방법이 발효특성과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추의 절임시 1% 녹차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10%소금물로 24시간 절임한 후 담근 김치(SG), 10% 소금물로 24시간 절인 후 1% 녹차 추출물에 30분간 담근 후 담근 김치(DG) 및 1% 녹차 물 추출물과 양념을 혼합하여 담근 김치(MS)를 1$0^{\circ}C$에서 숙성키면서 발효 특성과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김치의 숙성 중 pH는 전반적으로 녹차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아 녹차처리로 숙성이 지연되었으나 녹차 처리구 상호간의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SB-김치의 총균수는 6.27-9.37logCFU/mL 녹차 첨가한 SG-, BG-, MS-김치의 5.17-9.20logCFU/mL 높았으며, 적숙기의 총균수에 대한 젓산균의 비율은 SB-김치가 SG-, DG-, MS-김치보다 높았다. 숙성 5일째 김치의 총 polyphenol 함량은 DG 52.75 mg%, MS 47.71 mg%, SG 44.89 mg%, SB 30.70 mg%로 DG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숙성 5일째 김치의 사각사각한 맛은 SG 및 DG에서 각각 4.03 및 4.01점으로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비린 맛과 매운 맛은 녹차 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낮았다. 종합적인 맛은 DG 및 MS가 높은 평가치를 나타내었다.

녹차의 처리방법에 따른 김치의 발효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Treated with Different Methods of Green Tea Water Extracts)

  • 김미경;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45-359
    • /
    • 2003
  • 김치 제조시 녹차 물추출물의 첨가방법이 발효특성과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추의 절임시 1% 녹차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10%소금물로 24시간 절임한 후 담근 김치(SG), 10% 소금물로 24시간 절인 후 1% 녹차 추출물에 30분간 담근 후 담근 김치(DG) 및 1% 녹차 물 추출물과 양념을 혼합하여 담근 김치(MS)를 1$0^{\circ}C$에서 숙성키면서 발효 특성과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김치의 숙성 중 pH는 전반적으로 녹차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아 녹차처리로 숙성이 지연되었으나 녹차 처리구 상호간의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SB-김치의 총균수는 6.27-9.37logCFU/mL 녹차 첨가한 SG-, BG-, MS-김치의 5.17-9.20logCFU/mL 높았으며, 적숙기의 총균수에 대한 젓산균의 비율은 SB-김치가 SG-, DG-, MS-김치보다 높았다. 숙성 5일째 김치의 총 polyphenol 함량은 DG 52.75 mg%, MS 47.71 mg%, SG 44.89 mg%, SB 30.70 mg%로 DG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숙성 5일째 김치의 사각사각한 맛은 SG 및 DG에서 각각 4.03 및 4.01점으로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비린 맛과 매운 맛은 녹차 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낮았다. 종합적인 맛은 DG 및 MS가 높은 평가치를 나타내었다.

모과 추출액이 물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aenomelis Fructus Water Extra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

  • 박나영;정태성;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69-674
    • /
    • 2008
  • 모과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1, 3 및 5% 모과 물 추출액을 담금용수로 물김치를 제조하여 발효특성을 조사한 결과 발효 초기 pH는 대조구 6.53, 1, 3 및 5% 모과 물김치의 pH는 각각 4.14, 3.61, 3.54이었으며, 발효과정 중 대조구는 감소하였으나, 모과 물김치의 변화는 완만하였다. 물김치의 산도 변화는 pH 변화와 유사하였다. 물김치 발효 중 총 균수와 젖산균수의 변화는 유사하였으며, 모과 물김치의 발효과정 중 젖산균수는 대조구에 비해 적었으며, 모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균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1% 모과 물김치의 조직감은 대조구에 비해 경도, 씹힘성, 응집성, 탄력성에서 모두 우수하였다. 모과물김치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증가 되었으며, 모과 물 추출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아질산 소거능은 대조구 49.7%, 1, 3 및 5% 모과 물김치는 각각 59.2%, 85.33%, 89.9%이었다. 1% 모과 물김치의 기호도는 맛, 풍미, 조직감, 종합적 기호도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Identifications of Predominant Bacterial Isolates from the Fermenting Kimchi Using ITS-PCR and Partial 16S rDNA Sequence Analyses

  • CHIN HWA SUP;BREIDT FRED;FLEMING H. P.;SHIN WON-CHEOL;YOON SUNG-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68-76
    • /
    • 2006
  • Despites many attempts to explore the microbial diversity in kimchi fermentation, the predominant flora remains controversial to date. In the present study, major lactic acid bacteria (LAB) were investigated in Chinese cabbage kimchi in the early phase of fermention. For the samples over pH 4.0, viable cell counts of Leuconostoc and Pediococcus were $10^6\;cfu/ml$ and below $10^2\;cfu/ml$, respectively, and 20 isolates out of 172 were subjected to a biochemical identification (API 50 CH kit) as well as molecular-typing methods including ITSPCR with a RsaI digestion and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for species confirmation. Seven isolates were nicely assigned to Lb. brevis, 6 to Leuconostoc spp. (2 mesenteroides, 2 citreum, I carnosum, I gasicomitatum), 4 to Weissella (3 kimchii/cibaria, 1 hanii) and 2 to other Lactobacillus spp. (1 farciminis, 1 plantarum). On the other hand, the biochemical identification data revealed 9 strains of Lb. brevis, 6 strains of Leuconostocs,2 strains of Lb. plantarum and 1 strain each of Lb. coprophilus and Lactococcus lactis. However, a single isolates, YSM 16, was not matched to the ITS-PCR database constructed in the present study. Two Lb. brevis strains by API 50 CH kit were reassigned to W kimchii/cibaria, Lb. coprophilus or W hanii, respectively, judging from the results by the above molecular typing approaches. As a whole, the identification data obtained by the biochemical test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ITS-PCR molecular method by about $63\%$ at genus-level and $42\%$ at species-level. The data by the ITS-PCR method conclusively suggest that predominant LAB species is probably heterolactic Lb. brevis, followed by W kimchii/cibaria, Leuc. mesenteroides, and Leuc. citreum, in contrast to the previous reports [3] that Leuc. mesenteroides is the only a predominant species in the early phase kimchi fermentation.

Calcium Lactate Affects Shelf-life and Firmness of Kimchi

  • Kim, Soon-Dong;Kim, Mee-Hyang;Kim, Mee-Jung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36-136
    • /
    • 2003
  • Calcium lactate has been known extending shelf-life of several lactic acid fermented foods through buffer action with lactic acid and binding of calcium and pectic polysaccharides in the tissue. But, the effects in kimchi during storage and distribution has not been observed. Calcium lactate is tasteless, nontoxic compounds commonly used in a number of food products. Recent observations have indicated the potential usefulness of calcium lactate as food additive which has anticariogenic-, antimicrobial-, anticalculus, anti- carcinogenic effects and enhancement of bone mineral density. In this work we determined the effects of calcium lactate(CaL)-treatment(0, 1, 2 and 3% against salted Chinese cabbage) on the pH, acidity, microbial counts, content of alcohol insoluble substance and calcium texture, col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kimchi tissue and sensory test during storage. pH of CaL treated kimchi were higher(3.78∼3.92) than that of control products(3.58). Total microbe(TM) of CaL treated kimchis were lower but ratio of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TM was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products, respectively. Calcium content of treated products were 3-5 times higher than control products. The hardness and crispy taste of treated products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products evaluated by SEM observation AIS analysis, sensory and textural analysis. Moreover, evaluation on the pH, acidity and sensory test showed the shelf-life of treated kimchi(CaL 2%) to be 25-30 days, which was 13-15 days longer than that of control products.

  • PDF

분말녹차 첨가 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Green Tea Powder)

  • 고영태;이수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81-28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김치에 분말상태의 녹차를 첨가하고, 김치에 첨가된 녹차가 젖산균의 산생성과 생육, 관능적특성 및 몇 가지 휘발성냄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김치 제조원료에 분말녹차를 0.2, 0.4, 0.6, 1.2%(w/w)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pH는 녹차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숙성시료와 숙성1일에는 약간 증가하였으나, 숙성2일과 숙성3일에는 보다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산도는 녹차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숙성시료와 숙성1일에는 대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숙성2일과 숙성3일에는 대체적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녹차의 첨가로 젖산균수는 대체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전반적인 기호도, 맛, 냄새는 녹차 0.2% 또는 0.4% 첨가시료가 다른 시료보다 관능성이 우수하였고, 조직감은 숙성2일 또는 숙성3일시료의 경우 녹차의 첨가농도가 높을 때 관능성이 저하되었다. 색상은 녹차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관능성이 저하되었다. 비숙성시료에 비하여 숙성시료에서 diallyl sulfide와 methyl trisulfide가 새로이 생성되었으며, 일부의 냄새성분 함량은 숙성과정 중에 증가하거나 변화를 보였다.

시판김치로부터 젖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Commercial Kimchi)

  • 고정림;오창경;오명철;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32-74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시판 김치로부터 분리된 젖산균을 동정하였다. 제조 후 4일 동안 실온에서 배양된 배추김치에서 12주, 2일 동안 실온에서 배양한 총각김치에서 6주, 5일 동안 실온에서 배양한 깍두기에서 15주, 그리고 4일 동안 배양한 파김치에서 23주의 젖산균이 분리되었다. 배추김치에서 분리된 12주의 젖산균 중 8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로, 1주는 Leuconostoc lactis로, 2주는 Lactobacillus casei subsp. pseudoplantarum으로, 그리고 1주는 Lactobacillus sake로 동정되었다. 총각김치에서 분리된 6주의 젖산균 중 3주는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로, 2주는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로, 그리고 1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로 동정되었다. 깍두기에서 분리된 15주 중 2주는 Leuconostoc lactis로, 3주는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dextricum로, 4주는 Lactobacillus casei subsp. pseudoplantarum로, 그리고 4주는 Lactobacillus coryniformis subsp. torquens로 동정되었다. 파김치에서 분리된 23주 중 22주는 L. plantarum으로 그리고 1주는 Lactobacillus sake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배추김치에서는 L. plantarum이, 총각김치에서는 L. paramesenteroides이, 깍두기에서는 L. casei subsp. pseudoplantarum과 L. coryniformis subsp. torquens이, 그리고 파김치에서는 L. plantarum이 가장 많이 동정되었다. 특히 파김치에서는 선발된 23주 중 1주를 제외하고는 모두 L. plantarum으로 동정되었다.

배추 폐기물로부터 분리한 불용성 식이섬유가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쥐의 혈중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soluble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Chinese Cabbage Waste on Plasma Lipid Profiles in Rats Fed a High Fat Diet)

  • 유문려;고강희;김학렬;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3-40
    • /
    • 2012
  • 농산물 유통과정 및 김치 제조과정 중 발생하는 배추 폐기물의 이용성을 확대하기 위해 이로부터 불용성 식이섬유를 분리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능을 확인하였다. 배추폐기물을 $121^{\circ}C$/15분 조건에서 추출한 다음, 수용성 물질은 제거하고 남은 박에 전분 및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효소처리된 불용성 식이섬유 분말(EIDF)을 제조하였다.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고지방 식이에 0.1~1%의 EIDF를 첨가하여 이를 흰쥐에 4주 동안 공급하였다. 체중증가량에 대해 p<0.05 수준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p<0.1 수준에서는 고지방 식이를 한 경우보다 EIDF를 첨가한 군의 체중이 낮았다. 또한 EIDF는 혈중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VLDL-콜레스테롤의 수준을 낮췄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증가시켜 동맥경화지수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EIDF를 투여함에 따라 LDL-콜레스테롤 함량을 2주째 에 66.7%~72.8%, 4주째에 45.1%~56.5%까지 낮춰 배추 폐기물에서 추출한 불용성 식이섬유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능이 우수한 것을 평가할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부가 가치가 높은 건강기능보조식품으로의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