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 morphology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223초

안모수직 부조화에 따른 하악이부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iM THE MORPHOLOGY OF CHIN IN RELATION TO VERTICAL DYSPLASIA OF CRANIOFACIAL COMPLEX)

  • 차봉근;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5-156
    • /
    • 1990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hin morphology and mandibular form in relation to different mandibular growth direction. The subject was divided into three group i.e., control group, vertical group, and horizontal group,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Bj{\ddot{o}}rk$ sum, and each group was composed of 15 females and 15 males. Medial axis analysis in addition to the routine cephalometric analysis using P.I.A.S. (personal image analysing system)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mandibular morphology on each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rea of symphysis was larger in horizontal growth group than that of vertical growth group. 2. Protruding chin area was also larger in horizontal growth group than that of vertical growth group. 3.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ship between protruding chin area and other form of mandible. 4. Antegonial notch depth and ramus posterior contour depth was deeper in vertical growth group than in horizontal growth group, and antegonial notch depth was more influenced by anterior part of notch than posterior part of notch. 5. Mental medial axis and incisal medial axis length, in relation to corpus medial axis length was larger in vertical growth group than in horizontal growth group.

  • PDF

Relationship between chin deviation and the position and morphology of the mandible in individuals with a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 Kim, Kyung-Seon;Son, Woo-Sung;Park, Soo-Byung;Kim, Seong-Sik;Kim, Yong-Il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68-177
    • /
    • 2013
  • Objective: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 deviation and the positional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mandible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chin deviation in individuals with a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UCLP). Method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es of 28 adults with UCLP were analyzed in this study. Segmented three-dimensional temporomandibular fossa and mandible images were reconstructed, and angular, linear, and volumetric parameters were measured. Results: For all 28 individuals, the chin was found to deviate to the cleft side by 1.59 mm. Moreover, among these 28 individuals, only 7 showed distinct (more than 4 mm) chin deviation, which was toward the cleft side. Compared to the non-cleft side, the mandibular body length, frontal ramal inclination, and vertical position of the condyle were lower and inclin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fossa was steeper on the cleft side. Furthermore, the differences in inclin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fossa, mandibular body length, ramus length, and condylar volume ratio (non-deviated/deviate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n deviation. Conclusions: UCLP individuals show mild chin deviation to the cleft side.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parameters that represented positional and morphological asymmetries of the mandible and temporomandibular fossa;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too small to indicate clinical significance.

이모장치 착용 후 하악 이부의 헝태변화 (Changes of symphysis morphology after chincup treatment)

  • 강선;박동철;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3-41
    • /
    • 2000
  • 성장기 아동에서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모장치는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 또는 하악골 길이 성장의 억제에 의하여 하악 전돌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에 관한 연구는 하악골 성장의 주요 부분을 담당하는 하악 과두부위와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장기간 이모장치를 착용하였을 때 구외력이 직접 적용되는 부위인 하악 이부의 형태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전북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서 교정치료를 받은 혼합치열기 아동 62명 (이모장치군 32명,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을 채득하여(치료 또는 관찰기간 평균 2.1년) 계측치 (각도 4개 거리 5개, 비율 2개)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료 후 symphysis height는 이모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군과 이모장치 착용군에서 모두 치료 전보다 증가하였다. symphysis depth는 이모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 치료 후 증가하였으나 이모장치 착용군에서는 치료 전과 차이가 없었다. 특히, posterior symphysis depth가 이모장치 착용군과 대조군에서 모두 감소한 반면, anterior symphysis depth는 대조군에서는 증가하였고 이모장치 착용군에서는 치료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chin depth와 chin curvature는 이모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는 증가하였으나 이모장치 착용군에서는 치료 후에도 변화를 보이지 않았거나 감소하였다. 대조군에서 chin angle, menton angle, symphysis angle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모장치 치료군에서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것은 하악골의 성장에 따라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pogonion 부위의 골침착이 이모장치 착용군에서 chincup의 직접 접촉에 의해서 억제된 결과로 생각된다. 3. 성장기 아동에서 이모장치를 착용하였을 때 하악 이부의 전방 성장 억제에 의하여 치료 전과 유사한 하악 이부 형태가 유지되었으며 이것은 주로 하악 이부의 전방부의 골침착 억제에 의한 결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II급 부정교합자의 이부형태와 두개안면형태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phology of mandibular symphysis and the craniofacial morphology in class III malocclusion)

  • 김상두;권오원;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09-522
    • /
    • 1996
  • 하악골 성장양상이 진단과 치료, 치료후 예후에 특히 중요한 III급 부정교합자에 있어 그 성장양상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사춘기 전으로 생각되는 남자 10-12세군(G1군)과 악골성장이 거의 끝난 것으로 생각되는 성인으로 남자 20세 이상군(G2군)에 대하여 각각 이부비율에 따라 다시 3군으로 분류하고 이부형태와 두개안면형태의 연관성을 연구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이부비율에 있어 G2군이 G1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p<0.05). 2. G1군과 G2군 모두 이부비율과 두개저 계측항목과는 상관성이 없었다(P>0.05). 3. 상하악골의 수평적 관계 계측항목에서 G1군과 G2군 모두 이부비율과 상악골 계측항목과는 상관성이 없었다(p>0.05). 또한 G1군과 G2군 모두 L, A, S군간 하악의 전후적 위치는 뚜렷한 차이가 없고, 단지 G1군의 Y-axis angle에서 L군이 S군에 비해 크고 G2군은 Pog to Na perp.에서 S군이 L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p<0.05). 4. 하악골의 형태 계측항목에서 gonial angle은 G1군과 G2군 모두 이부비율이 클 수록 수치적으로 증가하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Lower genial angle과 chin angle은 G1군에서 L군과 A군이 S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p<0.05). 5. 안면의 수직적 관계 계측항목에서 G1군은 L군이 S군에 비해 전안면고경, 전하안면고경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크며(p<0.05) 하악골이 하방성장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6. 치아의 위치 및 경사도 계측항목에서 G1군은 하방성장을 많이 한 L군이 S군에 비해 상하악 치아들이 정출되어 있는 경향을 보여주었지만 G2군은 단지 하악치아 만이 그러한 경향이 있었다. 7. 이부비율과 다른 계측항목과의 상관분석에서 G1군은 chin angle, PP/MP angle, ANS-Me등 많은 계측항목에서 G2군은 단지 MP-LIT와 MP-LMMC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상관성을 보였다(p<0.05, p<0.01). 이상을 종합하면 어린 남자군인 G1군에서는 이부비율이 큰 군(L군)과 작은 군(S군)사이에 수평적 골격관계는 차이가 없으나 수직적 골격관계는 L군이 S군에 비해 하악골이 하방으로 많이 성장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성인 남자군인 G2군에서는 이부비율에 따른 안면골격의 뚜렷한 형태적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 PDF

The Association between Facial Morphology and Cold Pattern

  • Ahn, Ilkoo;Bae, Kwang-Ho;Jin, Hee-Jeong;Lee, Siwoo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02-119
    • /
    • 2021
  • Objectives: Facial diagnosis is an important part of clinical diagnosis in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In this paper, using a fully automated facial shape analysis system, we show that facial morphological features are associated with cold pattern. Methods: The facial morphological features calculated from 68 facial landmarks included the angles, areas, and distances between the landmark points of each part of the face. Cold pattern severity was determined using a questionnaire and the cold pattern scores (CPS) were used for analysis. The association between facial features and CPS was calculat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upper chin width and the lower chin width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P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to the middle jaw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to the lower jaw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PS. The angle of the face outline near the ear and the angle of the chin lin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PS. The area of the upper part of the face and the area of the face except the sensory organ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PS. The number of facial morphological features that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PS was 37 (unadjusted). Conclusions: In this study of a Korean population, subjects with a high CPS had a more pointed chin, longer face, more angular jaw, higher eyes, and more upward corners of the mouth, and their facial sensory organs were relatively widespread.

망상어, Ditrema temmincki 소화관(消化管)의 형태(形態).조직화학적(組織化學的) 특징(特徵) (Morphology and 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Alimentary Tract in Surfperch, Ditrema temmincki)

  • 이정식;진평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0-149
    • /
    • 1995
  • 망상어, Ditrema temmincki 소화관의 형태 조직화학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체장에 대한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 길이의 비 (RLG)는 0.89정도이며, 소화관에는 식도와 담관 입구사이의 팽창부인 위(胃)가 없다. 소화관은 형태 조직화학적인 특징에 의하여 식도, 식도 - 장이행부, 전장, 중장, 후장, 장 - 직장 이행부, 직장, 직장 - 항문 이행부, 항문으로 나눌 수 있다. 점막주름은 직장에서 가장 복잡한 형태를 보이며, 근육층은 식도와 항문에서 발달된 상태를 나타낸다. 점막주름의 상피층은 식도 전방부에서는 입방세포로 구성되며, 나머지 부위 에서는 원주상피로 구성된다. 소화관에는 PAS 반응에 양성을 나타내는 배상세포와 다당류 흡수세포 (Polysaccharid Absorptive Cell)가 관찰되는데, 후자는 다당류 계통의 영양물질의 흡수기능을 가진다. 망상어 소화관에서 다당류 계통의 영양물질은 주로 후장부에서 흡수된다.

  • PDF

안모비대칭의 진단용 기준선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FULNESS OF THE REFERENCE LINE IN DIAGNOSIS OF THE FACIAL ASYMMETRY)

  • 류성호;장현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3호
    • /
    • pp.266-273
    • /
    • 2005
  • Purpose: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oft tissue reference line and hard tissue reference line using the standardized photographs and the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radiographs(P-A)in facial asymmetric patient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angular measurement between normal group and asymmetry group. Methods: Normal group consisted of 44 persons with normal occlusion and normal facial morphology. Asymmetry group consisted of 90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Standardized facial photographs and P-A were taken in all subjects.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s were bipupillary line in photographs and latero-orbitale line in P-A respectively. The vertical reference line were the line from the midpoint of horizontal reference line perpendicularly. Angular measurement of otobasion canting, lip canting, nose deviation, chin deviation, and maxillary devi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photographs. And angular measurement of mastoid canting, mandibular canting, nose deviation, chin deviation, and maxillary devi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P-A. Results: 1. The variables of photographs and P-A were significantly related in the asymmetry group. 2.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variables except for PT2 and PA2 were shown in the asymmetry group and between PT1 and PA1, PT3 and PA3 in the normal group respectively. 3. Comparison measurement scores of angular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concerning each variab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for PA1. Conclusions: Soft tissue components may not compensate for underlying skeletal imbalance in nose deviation and chin deviation.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s in photographs were significant related with the P-A, but angular variables between the two studi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we do not recommend use photography in the assessment the facial asymmetry as complemented in the P-A.

성인 여성에서 소구치 발치와 전치부 후방 견인에 따른 이부 연조직 변화 (Changes in soft tissue chin resulting from premolar extraction and incisor retraction in adult female patients)

  • 김양희;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35-548
    • /
    • 2001
  • 본 연구는 소구치 발치와 전치부 후방 이동을 통한 교정 치료시 이부 연조직의 형태 변화와 주위 경조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위해 시행되었다. 초진시 구순 돌출감을 보인 Angle분류 I급 또는 II급 1류 부정교합의 환자로서 상하악의 제 1 또는 제 2 소구치를 발치하고 상하악 전치의 후방 이동을 시행한 성인 여성 환자 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전후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계측하였으며, 특히 이부 연조직을 재현성있는 여섯 부분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료전 이부 연조직과 경조직간의 상관 관계를 살펴본 결과 B-B'와 Pm-Pm'는 수직 골격 계측 항목인 $MP{\perp}HP,\;MP{\perp}PP$, ALFH와 유의 한 순상관관계 (P<0.001)를 보이고 a-a', b-b', Me-Me'는 이부 형태 계측 항목인 SL, SW, PL와 유의한 역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2. 이부 연조직은 치료전후에 B-B'과 Pm-Pm'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001), a-a', b-b'에서는 유의한 증가(P<0.01)를 보였다. 3.치료후 이부 연조직 변화는 B-B'의 변화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경조직의 변화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관 계수는 0.3-0.4정도였다. 4. 치료후 Pog-Pog'이 증가한 집단과 감소한 집단간에 ${\Delta}UI-VP,\;LI{\perp}의 계측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치료후 Me-Me'이 증가한 집단과 감소한 집단간에 ${\Delta}overbite,\;NPog{\perp}HP,\;Me-Me'$의 계측 항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