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 happiness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2초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Happin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 정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23-228
    • /
    • 2023
  • 본 연구는 교사가 인식한 교수 효능감,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에 중요한 변인임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위해 Pearson's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관해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수 효능감, 교사 행복감과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 효능감은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행복감이 더해질 때 그 영향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교사의 행복감이 모두 있을 때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질은 의미 있게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우리는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의미 있게 높일 수 있도록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교사 행복감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아동의 정서 표현성과 사교성,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bility, and Their Mothers' Communication Pattern on Their Prosocial Behavior)

  • 송하나;최경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10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bility, and their mothers' communication pattern on their prosocial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65 preschool children aged between 5 and 6, and their mothers. Each child-mother dyad was observed for 30 minutes in a lab setting, which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hild's socioemotional competence and the mother's socialization behavior. Videotaped data were analyzed by two coders for aspects of sharing behavior, the expression of happiness, sadness, anger, anxiety, and sociability for children, and mothers' communication strategie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anger and anxiety expression we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ir prosocial behavior. Mothers' punitive communication pattern negatively affecte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However, when compared to the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its' accountability were not significant. The influence of negative emotions, and its' adverse role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re discussed.

가정관리 행동유형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tial Variables Related to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 이정우;오경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6권1호
    • /
    • pp.131-148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nfluential variables related to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aspects: 1) to find out which variables of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ie, home makers' age, level of education, duration of marriage, number of children, home makers' employment, socioeconomic status) of psychological variables(ie, family communication the marital happiness) have significant effect on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2) to find out which variables of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family communication and the marital happiness. 3)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4) to find out variables which have independently significant effects on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 PDF

남녀청소년의 다양한 스트레스(부모, 학업, 친구, 외모, 경제), 학교생활적응과 행복감의 관계성 연구: 매개관계를 중심으로 (A Relationship Study of Adolescents' Various Stress, School-life Adjustment, and Happiness: mediating effects)

  • 김선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61-169
    • /
    • 2020
  •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의 다양한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청소년들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2018년도 조사' 중고등학교 자료 5,144명을 활용했고, 2017년 교육기본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학급을 표집단위로 크기비례확률 추출법을 활용하여 표집했다. 구조방정식과 다중집단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로, 첫째, 청소년들의 행복감에는 학업스트레스, 친구스트레스, 외모스트레스가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도 행복감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였고 각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는 부모스트레스, 경제스트레스와 학업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각 스트레스와 행복감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는 부모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와 경제적 스트레스만 학교생활적응을 통해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남녀차이에 대한 다중집단 구조분석 결과, 두 집단구조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집단의 매개효과 결과에서는 차이가 있었는데, 남학생은 학업스트레스와 경제스트레스만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여학생은 학업, 경제와 부모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을 통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청소년들의 행복감에 대한 개입과 실천적 함의에 대한 제안과 과제가 제시되었다.

유아들의 쌓기놀이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Block Play for Children)

  • 이경순;최석란
    • 아동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95-110
    • /
    • 2004
  • This research employs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among various qualitative methodologies in order to reach a deep understanding of both the experiential process that children undergo in block play and the essential meaning of it.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22 children(female 7, male 15) in a 5-year-old class of K kindergarten at Guro district, Seoul.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first, children take pleasure in block play because of the delight and sense of accomplishment in building, the joy in demolishing, and the happiness of embracing the world through dramatic play with building structur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block play are popular subject of the play, decision of the subject, impromptu transformation and elaboration of building structures, and flow of the play according to friend/non-friend relationship. Third, the implicit rules shared by children have more significant influences upon the block play than the agreed rules at the beginning of semester.

  • PDF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A literature therapy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Impa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ppiness)

  • 백현기;강정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197-20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문학치료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두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에서 실시한 것과 동일한 내용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 사후점수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10.175, p<.001). 둘째,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행복의 각 하위요소인 자기존중감, 낙관주의, 친구관계, 가정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네 요소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5.720, p<.001).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은 책속의 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시의 짧고 간결한 문장은 이들의 정서와 감정을 전달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베이비부머세대와 노인의 성인자녀와의 동거를 결정하는 요인 (Deciding Factors in the Baby-boomer Generation and the Elderly Making the Choice of Living with Adult Children)

  • 곽인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4호
    • /
    • pp.23-4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ference for living with adult children of the baby-boomer generation and the elderly based on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values of their children and the consciousness for supporting their parents. The National Survey of Korean Families was done by the Ministry of Equality and Family in 2010. Respondents were 664 baby boomers and 628 elderl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aby boomers rely heavily on their spouse, whereas the elderly rely heavily on their children. While both groups desire to live with their spouse in their later years, and the elderly rely the most on their children, they are reluctant to live together. This result shows that the elderly have high expectations for financial and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children, but in reality, the elderly have lower expectations for living together and they prefer to live alone or with their spouse. Second, the boomers, who for the most part live in big cities, have comparatively high average monthly income and jobs and own a house, consider filial obligation as their own responsibility and yet tend to live independently. The boomers, who have a relatively high education level, consider living with aged parents as the children's obligation and consider their children as the most reliable people in their lives, and thus have high expectations to live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Third, the elderly, with a spouse, who consider having raised children to be their happiness, while considering providing financial support for the aging parents to be the children's responsibility, at the same time accept that the obligation of support lies on themselves, the government or the society, and thus have lower expectations of living with their children in later years. The elderly, now living with their family, with generous financial plans for their aging years and considering the children's success as their own success, have higher expectations of living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 PDF

중년 성인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가 자기효능감, 자녀양육과 노부모부양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rean Adults'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on Self-Efficacy, Child Rearing Practices, Elderly Parent Care Practices, and Happiness)

  • 박영신;안자영;남인순;유효숙;이영남;차연실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2호
    • /
    • pp.153-192
    • /
    • 2018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중년 성인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가 성인의 자기효능감, 자녀양육과 노부모부양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초, 중, 고, 대학생 자녀를 둔 성인 2,632명(남 1,275명, 여 1,357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5.44세(남 46.96세, 여 44.10세)였다. 분석 결과,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는 성인의 자기효능감과 자녀양육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고, 행복에 대해 간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즉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고, 자녀양육에 헌신적이었으며, 높아진 자기효능감은 행복감을 증진하였다.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가 노부모부양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 차이가 있었다. 남자는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노부모부양에 적극적이었으나, 여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토대하여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가 중년 성인의 심리특성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Diagnosing a Child with Autis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Alharbi, Abdulrahman;Alyami, Hadi;Alenzi, Saleh;Alharbi, Saud;bassfar, Zai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6호
    • /
    • pp.145-156
    • /
    • 2022
  • Children are the foundation and future of this society and understanding their impressions and behaviors is very important and the child's behavioral problems are a burden on the family and society as well as have a bad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and the early diagnosis of these problems helps to solve or mitigate them, and in this research project we aim to understand and know the behaviors of children,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that helped solve many complex problems in an automated system, By using this technique to read and analyze the behaviors and feelings of the child by reading the features of the child's face, the movement of the child's body, the method of the child's session and nervous emotions, and by analyzing these factors we can predict the feelings and behaviors of children from grief, tension, happiness and anger as well as determine whether this child has the autism spectrum or not. The scarcity of studies and the privacy of data and its scarcity on these behaviors and feelings limited researchers in the process of analysis and training to the model presented in a set of images, videos and audio recordings that can be connected, this model results in understanding the feelings of children and their behaviors and helps doctors and specialists to understand and know these behaviors and feelings.

지역아동센터 저소득층 아동의 차별피해 영향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the Discrimination Damage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 우정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73-584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중에서 저소득층 아동의 차별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조사의 대상은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2기 3차의 응답자인 초등학교 6학년생이며, 이중에서 가정경제 수준이 기초생활수급대상, 차상위, 사각지대에 해당하는 아동 355명이다.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한부모 가정, 부모 의논상대 존재 여부, 부모의 학대, 행복감이 지역아동센터 저소득층 아동의 차별피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부모 가정일수록, 부모가 의논상대 역할을 하지 못할수록, 부모 양육태도가 학대의 경향일수록 아동의 차별피해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부모 관련 요인들이 저소득층 아동의 차별피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지역아동센터 및 관련 기관들은 이용 아동의 가족관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