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cken meat quality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31초

나트륨 섭취 경감을 위해 패각칼슘과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를 첨가한 닭고기 패티의 품질 및 저장 특성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with Added Shell Calcium and Transglutaminase to Reduce Sodium Intake)

  • 임영호;박규태;안기수;최정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9
    • /
    • 2024
  • 닭고기 패티에 소금함량을 줄이며 칼슘을 강화하기 위해 패각칼슘분말(SCP)을 첨가하며, 물성을 개선하기 위해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G)를 첨가했을 때 나타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첨가하는 소금과 SCP, TG의 함량을 달리한 5개의 처리구(CON, 소금 2%; T1, 소금 0.75% + SCP 0.2%; T2, 소금 0.75% + SCP 0.2% + TG 0.2%; T3, 소금 0.5% + SCP 0.4%; T4, 소금 0.5% + SCP 0.4% + TG 0.2%)를 제조하여 패티의 육질특성 및 저장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닭고기 패티에 소금 첨가량을 낮췄을 때 회분 함량이 감소했으며 가열감량이 증가했다. 그리고 SCP와 TG를 첨가할수록 pH가 상승하였다. 소금, SCP, TG의 첨가량에 따른 육색의 변화는 없었으며, TG 없이 소금 0.5%와 SCP 0.4%를 첨가했을 때 경도와 씹음성이 감소했다. 소금을 0.5%로 줄이며 SCP 0.4%를 첨가했을 때 관능적으로 다즙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전체기호도를 포함한 나머지 관능평가항목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금의 첨가량은 닭고기패티의 TBARS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소금을 적게 첨가할 시 미생물 오염에 취약해질 수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닭고기 패티에 소금을 줄이면서 SCP를 첨가하는 것은 관능적으로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소금을 0.5% 이하로 첨가 시 패티의 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으로 TG의 첨가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소금 첨가량이 감소할 시 미생물로 인한 저장성에 취약해지므로 제조 시 이에 대한 추가 첨가물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onjugated Linoleic Acid 급여기간과 첨가수준이 저장기간 중 육계의 부위별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Levels and Periods on Meat Quality in Breast and Thigh Muscles of Broiler)

  • 문성실;신철우;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107-114
    • /
    • 2006
  • CLA를 이용한 고품질 기능성 육계의 생산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첨가수준과 급여기간에 따른 부위별 CLA 축적율과 지방산 조성 및 지방산패도를 분석하였다. CLA 축적율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으며, 급여기간에 따라서도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급여 1주와 급여 2주 및 3주의 비교에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CLA 첨가수준에 따른 포화지방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불포화 지방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CLA와 가장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linoleic acid(C18:2)는 CLA 함량이 증가한 만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LA 첨가수준에 따른 지방산패도의 변화는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낮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근육내 CLA 축적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최적의 급여기간은 1주이며, 지방산패도의 효과적인 억제를 위해서 첨가수준 4.8%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고학력 기혼여성의 취업여부별 식품섭취상태로 본 식사의 질 평가 - 전업주부와 교사의 비교 - (Evaluation of Diet Quality according to Food Consumption between Highly Educated, Married, Unemployed and Employed Women)

  • 최지현;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3호
    • /
    • pp.274-285
    • /
    • 2006
  • The differences in food consumption between highly educated, married, unemployed and employed women were analyzed by food group and common food item intake, DDS (dietary diversity score), and DVS (dietary variety score) & DVSS (dietary variety score including condiment). In food group intake, the total amount of food intake of the unemployed women (1,554.0 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employed (1,477.9 g), while the amount of food from fungi and mushrooms (4.2 g), seaweeds (2.4 g), and fish and shellfish (60.5 g) of the unemployed wome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employed. And the amount of meat, poultry and their products (102.8 g), eggs (29.9 g), and animal oil and fats (4.0 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employed. Moreover, the common food items of the unemployed women were ranked as eggs (29.7 g), pork (28.9 g), chicken (27.2 g), and beef (26.7 g) at 7, 8, 9, and 10, respectively. When counting the major food groups consumed, DDS=4 has the highest proportion in both groups (unemployed 47.4%, employed 49.1 %). In case of the subjects who had not consumed one particular food group in DDS=4, dairy group was the first (83%), followed by fruit, meat, and vegetables. This order is same in other DDS levels. In dietary variety score (DVS & DVSS), the average number of foods consumed per day of employed women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unemployed. The level of DVSS in the employed women (31.9), especially,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unemployed women (30.6). Consequently, highly educated women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increasing dairy intake, and they have need of various foods, over thirty foods without condiments in their diet every day. In addition, encouraging unemployed women to have a nutritionally balanced diet, and offering nutrition education and guidance, such as appropriate choices about animal foods, are needed.

열풍건조 및 오븐구이 닭발로부터 추출한 삼계탕 육수 제조 (Development of Samgyetang Broth from Air-dried and Oven-roasted Chicken Feet)

  • 김준태;;정해성;;장애라;박재인;김영종;이성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37-154
    • /
    • 2019
  • 본 연구는 닭발의 사전가열 전처리를 통해 만든 추출액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최종 삼계탕 육수의 이화학적 및 풍미특성을 비교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사전 전처리 방법으로 생닭발, $70^{\circ}C$에서 12시간 건조가열시킨 닭발, $180^{\circ}C$ 오븐에서 1시간 가열시킨 닭발을 각각 $121^{\circ}C$에서 1, 2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통닭($470{\pm}10g$)과 함께 파우치(pouch)에 넣고 산업적 방법($121.0^{\circ}C$, $1.5kgf/cm^2$에서 20분과 $122.0^{\circ}C$, $1.7kgf/cm^2$에서 95분간 가열)으로 레토르트 삼계탕을 제조하였다. 전처리 방법에 따른 추출액의 pH는 닭발을 사전가열한 추출액이 생닭발 추출액에 비해 낮았고, 육수의 pH는 닭발로 추출한 육수구가 닭발없이 제조된 육수구(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닭발을 사전가열한 추출액의 TBARS값은 생닭발 추출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육수에서는 또한 건조가열 처리구와 오븐가열 1시간 추출 처리구의 육수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추출시간이 1시간에서 2시간으로 길어질수록 추출액의 pH와 TBARS는 감소하였으나 반면 육수에서는 증가하였다(P<0.05). 추출액의 관능검사 점수를 보면 건조가열후 1시간 추출액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겉모습, 향기, 종합기호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정량적 묘사분석에서 건조가열 후 1시간 추출액이 견과류향, 구운냄새, 닭고기향이 가장 강했고(P<0.05), GC-MS 결과 고기향 및 견과류향을 낸다고 알려진 benzaldehyde와 benzothiazole, 그리고 total volatile compound가 많이 검출되었다(P<0.05).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삼계탕 육수의 관능검사 결과를 보면 역시 건조가열 후 1시간 추출액이 종합기호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육수의 정량적 묘사분석에 의하면 닭발로 추출한 육수들은 닭발없이 제조된 육수(대조구)보다 강한 구운냄새를 나타냈으며, 특히 건조가열후 추출한 육수에서 높은 강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산업체에서 육수의 풍미와 기호도 증진을 위해 열풍 건조 닭발 1시간 추출액 이용시 풍미가 증진된 삼계탕 제조가 가능하다.

Effect of Ground Chopi (Zanthoxylum piperitum) on Physicochemical Traits and Microbial Community of Chicken Summer Sausage during Manufacture

  • Utama, Dicky Tri;Park, Jongbin;Kim, Dong Soo;Kim, Eun Bae;Lee, S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936-949
    • /
    • 2018
  • Changes in microbial community and physicochemical traits of chicken summer sausage made from spent layer thigh added with different level (0%, 0.1%, 0.3%, and 0.5% w/w) of ground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uring manufacture were analyzed. The microbial community was profiled and analyzed by sequencing 16S rRNA gene using Illumina MiSeq. Samples were taken from raw sausage batter, after 15 h of fermentation, 8 h of cooking including cooling down, and 7 d of drying. The final pH of the sausage was reduced by the addition of ground chopi. However, no clear effect on water activity was observed. Ground chopi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red curing color after fermentation as it exhibited antimicrobial effect. However, the effect on species richness and microbial composition after cooking was unclear. Ground chopi delayed lipid oxidation during manufacture and the effect was dependent on the addition level. Fermentation reduced the species richness with a dominancy of lactic acid bacteria. The profile of microbiota in the raw batter was different from other stages, while the closest relationship was observed after cooking and drying. Proteobacteria was predominant, followed by Firmicutes and Bacteroidetes in raw samples. Firmicutes became dominating after fermentation and so forth, whereas other predominant phylum decreased. At genus level, unclassified Lactobacillales was the most abundant group found after fermentation and so forth. Therefore, the overall microbial composition aspects were mainly controlled during fermentation by the abundance of lactic acid bacteria, while bacterial counts and lipid oxidation were controlled by cooking and the addition of ground chopi.

An Approach to Manufacture of Fresh Chicken Sausages Incorporated with Black Cumin and Flaxseed Oil in Water Gelled Emulsion

  • Kavusan, Hulya Serpil;Serdaroglu, Meltem;Nacak, Berker;Ipek, Gamz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26-443
    • /
    • 202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se of oil in water gelled emulsion (GE) prepared with healthier oil combinations as beef fat replacer in the fresh chicken sausage formulations, four batches of fresh sausages were produced. The first batch was control (C) sample formulated with %100 beef fat, other batches were codded as GE50, GE75, and GE100 respective to the percentage of beef fat replaced with GE. The addition of GE to sausage formulation resulted in an increment in moisture and protein contents while a decrement was observed in fat content (p<0.05). pH, cooking yield and water holding capacity values of GE added samples were found lower than C (p<0.05). GE addition caused lower CIE L* values in samples, however, this trend was not observed in CIE a* and CIE b* values. Initially, the lowest peroxide and the highest TBARS values were recorded in GE100 samples on the 0th d (p<0.05). Peroxide and TBARS values were in the limits. The texture of samples was softened while total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reduced up to 52.61% with the incorporation of GE (p<0.05). Taken together, our results showed that GEs can be used as fat replacers in meat product formulations without causing undesirable quality changes.

냉동변성방지제의 종류가 닭가슴살 수리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yoprotectants on Quality Properties of Chicken Breast Surimi)

  • 진상근;김일석;김수정;정기종;이제룡;최영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847-856
    • /
    • 2007
  • 냉동변성 방지제가 닭가슴살 수리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조구는 2회 수세한 명태수리미를 활용하여 C(4% 설탕+5% 솔비톨+0.3% 인산염 첨가), 나머지 처리구들은 pH(11.0) 조절법으로 제조한 닭가슴살 수리미를 활용하여 T1(0.3% 인산염 첨가), T2(5% 솔비톨+0.3% 인산염 첨가) 및 T3(4% 설탕+5% 솔비톨+0.3% 인산염 첨가) 처리구로 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조구가 처리구들에 비해 모든 아미노산, FAA, SAAA, FRAA, EAA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이 높았고, 처리구 간에는 T2 처리구가 T1과 T3 처리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단가는 모든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고, 처리구 간에는 T2 처리구가 T1와 T3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파괴강도, 변형값 및 겔강도는 대조구가 모든 처리구들에 비해 높았다. 저장기간 동안 모든 처리구의 TBARS값은 0.09~0.48mg/100g으로 대조구의 1.57~1.97mg/ 100g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 처리구 간에는 T2 처리구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VBN값은 모든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관능평가에서 외관, 육색 및 전체적 기호도는 대조구가 모든 처리구들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풍미, 다즙성 및 연도는 모든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냉동변성제와 닭가슴살을 이용한 수리미는 어육 수리미에 비해 외관과 전체적 기호도 점수가 낮았지만, 조직감, TBARS 및 VBN 값이 낮아 좀 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부가가치가 있는 제품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토종닭 5품종의 생산능력 및 스트레스 반응 정도 (Production Traits and Stress Responses of Five Korean Native Chicken Breeds)

  • 조은정;최은식;정현철;김보경;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95-105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토종닭 5품종 (재래황갈종, 토착로드종, 토착레그혼종, 토착코니시종 및 한국오계)에 대한 생산 특성 및 생리적 특성을 제시하고자 이들의 생산능력, 강건성 및 스트레스 반응 정도를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으로 총 493수를 공시하고, 생산능력의 평가를 위해 생존율, 체중, 초산일령, 산란율 및 난중을 조사하였고, 강건성 및 스트레스 반응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텔로미어 함유율, heterophil-lymphocyte 비율, HSP-70, HSP-90α 및 HSP-90β 유전자 발현율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생존율은 토착로드종이 99%로 가장 높았고, 한국오계가 91%로 가장 낮았다. 발생시부터 50주령까지의 체중은 토착코니시종, 토착로드종, 한국재래닭, 한국오계, 토착레그혼종의 순으로 변동없이 높게 나타났다. 22주령부터 50주령까지의 평균일계산란율은 토착레그혼종이 75%로 가장 높았고, 토착코니시종이 1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생리적 지표 분석 결과, 텔로미어 함유율은 토착로드종이 가장 높았으며, 토착코니시종이 가장 낮았다. Heterophil-lymphocyte 비율 및 HSP-90β 유전자 발현율은 공히 토착코니시종이 가장 높았으며, 토착로드종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토착로드종이 스트레스에 저항성이 높고, 토착코니시종이 스트레스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함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할 때, 토착코니시종은 한국형 토종 육용 품종으로 개량함이 바람직하고, 토착레그혼종은 한국형 토종 난용 품종으로 개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토착로드종은 양호한 생산능력과 뛰어난 강건성을 기반으로 한국형 토종닭 종계 모계통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되고, 재래황갈종은 우수한 육질을 바탕으로 차별화 된 고급육질형 토종닭 품종으로 개량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사료된다.

사료내 생균제, 일라이트, 활성탄 및 목초액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능력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ion with Probiotics, Illite, Active Carbon and Hardwood Vinegar on th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5-172
    • /
    • 2007
  • 본 시험은 육계에 대한 생균제, 일라이트, 활성탄 및 목초액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생균제 0.2%(T1)와 일라이트(T2), 활성탄(T3) 및 목초액(T4)을 각각 1.0%를 broiler 200수에 급여하여 증체량, 사료 섭취량, pH, 전단력, 관능 평가, 육색 및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증체량은 전기 사료 급여 시에 C보다 T1과 T4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후기 사료 급여 시는 C와 T4보다 T1, T2 및 T3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사료 효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계육의 일반 성분 중 수분과 조단백질 및 조회분은 유의성이 없으며, 조지방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낮은 함량을 보였다. 가열 감량은 T3와 T4에서 낮았으며, 보수성은 T3와 T4에서 높았다. 관능 평가 결과 연도는 C가 가장 높고 T4가 제일 낮아 연도 개선 효과를 보였다. 육색 중 적색도$(a^*)$ 및 황색도$(b^*)$ 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명도$(L^*)$값은 T1, T2, T3 및 T4에서 대조구보다 높았다(P<0.05). 포화 지방산인 stearic acid 함량은 C보다 T1, T2, T3 및 T4에서 낮았으며,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 함량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육계 사료에 목초액을 1% 첨가 급여할 경우 경쟁력 있는 브랜드 계육의 생산이 가능하며, 농가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organic chromium and selenomethionine cocktails in broilers

  • Jaewoo An;Younggwang Kim;Minho Song;Jungseok Choi;Hanjin Oh;Seyeon Chang;Dongcheol Song;Hyunah Cho;Sehyun Park;Kyeongho Jeon;Yunhwan Park;Gyutae Park;Sehyuk Oh;Yuna Kim;Nayoung Choi;Jongchun Kim;Hyeunbum Kim;Jinho C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6호
    • /
    • pp.1226-1241
    • /
    • 2023
  • Selenium (Se) is an essential trace mineral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hysiological processes by regulating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and enhancing immunity. Chromium is an essential mineral involved in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and also plays a role in maintaining normal insulin function. Based on these advantages, we hypothesized that the addition of selenomethionine (SeMet) and organic chromium (OC) to broiler diets would increase Se deposi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immune response in mea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C and SeMet on growh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blood profiles, intestinal morphology,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axonomic analysis of broilers. A total of 168 one-day-old broiler chicken (Arbor Acres) were randomly allotted to 3 groups based on the initial body weight of 37.33 ± 0.24 g with 7 replicate per 8 birds (mixed sex). The experiments period was 28 days. Dietary treatments were folloewd: Basal diets based on corn-soybean meal (CON),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2 ppm OC and 0.2 ppm SeMet (CS4), and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4 ppm OC and 0.4 ppm SeMet (CS8). Supplementation of OC and SeMet did not affect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However, CS8 supplementation increased in duodenum villus height and villus height : crypt depth, and increased in breast meat Se deposition. In addition, CS8 group showed higher uric acid and total antioxidant status than CON group. Taxonomic analysis at phylum level revealed that Proteobacteria and Firmicutes of CS4 and CS8 were lower than CON group. In genus level, the relative abundance of fecal Lactobacillus and Enterococcus of CS4 and CS8 groups were higher than CON group. In short, 0.4 ppm OC and 0.4 ppm SeMet supplementation to broiler diet supporitng positive gut microbiome change, also enhancing antioxidant capacity, and Se deposition in breast m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