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cal Terror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7초

자연환기상태 실내공간에서의 화학작용제 확산 모델링 연구 (A Study on the Chemical Warfare Agents Dispersion Modelling in a Naturally Ventilated Indoor System)

  • 계영식;정우영;김용준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33-14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sponse methods to minimize the damage from chemical terrorism in a naturally ventilated indoor system using several types of dispersion simulations. Three chemical warfare agents such as sarin(GB), phosgene and chlorine gas which have high potential to be used in terror or to be involved with accidents were selected in this simulation. Fire dynamic simulation based on Large Eddy Simulation which is effective because of less computational effort and detailed expression of the dispersion flow was adopted to describe the dispersion behavior of these agents. When the vent speed is 0.005m/s, the heights of 0.1 agent mass fraction are 0.9m for sarin, 1.0m for phosgene and 1.1m for chlorine gas, and the maximum mass fraction are 0.27 for all three agents. However, when the vent speed is increased to 0.05m/s, the heights of 0.1 agent mass fraction become 1.6m for all three agents and maximum mass fraction inside the room increase to 0.70 for sarin, 0.58 for phosgene and 0.53 for chlorine gas. It is shown that molecular weight of the agents has an important role for dispersion, and it is important to install ventilation system with height less than 1.6m to minimize the damage from chemical toxicity.

PAN계 ACF의 최적 활성화 공정에 따른 흡착특성과 나노입자 첨착에 의한 SO2 흡착특성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by the Optimun Activation Process of PAN-based Carbon Fiber and SO2 Adsorption Characteristics by the Impregnated Nanoparticles)

  • 이진채;김영채
    • 공업화학
    • /
    • 제17권5호
    • /
    • pp.532-538
    • /
    • 2006
  • 탄화 및 활성화 조건을 매개체로 여러 등급의 Polyacrylonitrile (PAN)계 ACF (ACF : Activated Carbon Fiber)를 제조하여 최적의 비표면적을 나타내는 활성화 공정을 알아보았고, 가장 큰 비표면적을 갖는 PAN계 ACF에 대한 표면특성 및 독성가스 등에 대한 흡착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결과 활성화 온도가 증가할수록 비표면적이 증가하고 탄화 온도가 감소할수록 비표면적이 감소하였고, $900^{\circ}C$로 15 min간 탄화한 후 $900^{\circ}C$로 30 min간 활성화 공정을 거친 ACF가 $1204m^2/g$의 가장 높은 비표면적을 나타내었고 요오드 및 테러용 독성가스에 대한 흡착 성능시험 결과 기존의 흡착제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선택적 흡착을 위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기존의 금속염을 침적하는 방법을 대체하여 비교적 안정화된 금속나노입자(Ag, Pt, Cu, Pd)를 제조하여 첨착하였고 이에 대한 표면특성 및 $SO_{2}$에 대한 흡착특성을 분석하였다. 금속나노입자 첨착 ACF에 대한 $SO_{2}$ 흡착성능 시험결과 Ag, Pt, Cu 나노입자를 첨착한 ACF는 무첨착 ACF의 파과시간(326 sec)과 비교 할 때 크게 변함이 없었으나 Pd 나노입자를 첨착한 ACF는 파과시간이 925 sec로 $SO_{2}$ 흡착성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정신질환(精神疾患)에 사용된 광물성(鑛物性) 약재(藥材)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mineral of substance used in mental disease.)

  • 허성;구병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9-177
    • /
    • 1999
  • In the study on the mineral substance used in Dong Eu Bo Gam(range of 'Sin') and the recent prescription of chin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Dong Eu Bo Gam, Realgar was used for Sa-Su most often and Gold-leaf, Succinum, especially Cinnabaris were used for amnesia, epilepsy, a general term of manic-depressive psychosis too. The most kinds of mineral substance used for epilepsy. 2. According to recent prescription of china, Fossilia Ossis Mastodi got the most, and Succinum, Cinnabaris, Lapis Chloriti, Haematitum, Magnetitum, Gypsum Fibrosum, Fossilia Dentis Mastodi, iron powder were used frequently. For external application, Sulfur was too. And most kinds of mineral substance were used for epilepsy and schizophrenia. 3. Realgar, Gold-leaf, Succinum, Cinnabaris, Lapis Chloriti, Haematitum, Magnetitum, Gypsum Fibrosum, Fossilia Dentis Mastodi, iron powder have drug effect for mental disease, especially for epilepsy induced by terror. 4. For Application of mineral substanc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chemical elements of mineral substance act on human body. 5. For drug effect, it is important to make clear of original prescription.

  • PDF

소방용 화학보호복 착용 현장대원의 일상 훈련용 프로토콜 설계 및 활동성 분석 (Design of Daily Training Protocol for Field Crews Wearing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for Firefighting and Analysis of Activity)

  • 김시국;임우섭;홍성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110-121
    • /
    • 2018
  • 본 논문은 소방용 화학보호복 착용 현장대원의 일상 훈련용 프로토콜 설계 및 활동성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화학사고 및 화학테러 현장에 최초 투입되는 소방대원들의 대처능력 향상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총 10단계의 일상 훈련용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프로토콜은 크게 소방용 화학보호복 일상 적응을 위한 광범위 활동 프로토콜(1, 2, 6, 7, 9단계)과 손을 활용한 정밀작업 프로토콜(3, 4, 5단계) 그리고 강한 신체적 부담을 요구하는 프로토콜(8, 10단계)로 구성하였다. 프로토콜에 따른 활동성 측정결과 소방용 화학보호복 착용 시가 미착용 시보다 평균최대심박수는 1단계 20.32%, 2단계 18.69%, 3단계 25.23%, 4단계 34.77%, 5단계 27.44%, 6단계 30.24%, 7단계 25.33%, 8단계 22.25%, 9단계 22.80%, 10단계 20.85%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최대호흡수는 1단계 및 2단계를 제외하고 3단계 1.92%, 4단계 4.11%, 5단계 1.24%, 6단계 3.95%, 7단계 0.93%, 8단계 10.23%, 9단계 3.36%, 10단계 15.10%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사회의 환경변화에 따른 Bio-Terror의 위협요인 연구 (A Study on the Threat of Biological Terrorism in modern society)

  • 강영숙;김태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3-26
    • /
    • 2005
  • In recent years, there is growing concern about the potential use of biological agents in war or acts of terrorism accompanied an increased realization that rapid preparedness and response are needed to prevent or treat the human damage that can be caused by these agents. The threat is indeed serious, and the potential for devastating numbers of casualties is high. The use of agents as weapons, even on a small scale, has the potential for huge social and economic disruption and massive diversion of regional and national resources to combat the threat, to treat primary disease, and to clean up environmental contamination. Biological weapons are one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or mass casualty weapons, to be precise. since they do not damage non-living entities) that are based on bacteria, viruses, rickettsia, fungi or toxins produced by these organisms. Biological weapons are known to be easy and cheap to produce and can be used to selectively target humans, animals, or plants. Theses agents can cause large numbers of casualties with minimal logistical requirements (in wide area). The spread of disease cannot be controlled until there is awareness of the signs of infection followed by identification of agents; and if the organism is easily spread from person to person, as in the case of smallpox, the number of casualties could run into the tens of thousands. Biological weapons could be used covertly, there can be a lot of different deployment scenarios. A lot of different agents could be used in biological weapons. And, there are a lot of different techniques to manufacture biological weapons. Terrorist acts that make use of Biological Agents differ in a number of ways from those involving chemicals. The distinction between terrorist and military use of Biological Weapon is increasingly problematic. The stealthy qualities of biological weapons further complicate the distinction between terrorism and war. In reality, all biological attacks are likely to require an integrated response involving both military and civilian communities. The basic considerations when public health agencies establish national defence plan against bioterrorism must be 1) arraying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to meet the realistic needs, 2)education for public health personnels and support of concerned academic society, 3)information collection and cooperative project with other countries, 4)Detection and surveillance(Early detection is essential for ensuring a prompt response to biological or chemical attack, including the provision of prophylactic medicines, chemical antidotes, or vaccines) and 5) Response(A comprehensive public health response to a biological or chemical terrorist event involves epidemiologic investigation, medical treatment and prophylaxis for affacted persons, and the initiation of disease prevention or environmental decontamination measur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providing basic material of preparedness and response for biological terrorism in modern society.

  • PDF

생물테러리즘의 위기관리방안 (The Countermeasure to the Stages of Crisis Management in the Bioterrorism)

  • 이광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08-613
    • /
    • 2009
  • 이 연구는 생물테러리즘을 위기로 인식하고 생물테러리즘을 위기관리별로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관리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9.11 테러 이후 발생한 탄저균 테러는 전 세계에 생물병원체에 의한 공포감을 인식시켜 주었으며, 그 위험성이 강조된 사례이다. 본 연구결과 생물테러리즘 위기는 4단계로 구분하여 관리할 때 완화 및 예방단계에서는 테러리즘의 기준을 정하고, 대비를 하기 위하여 테러관련 법을 제정하고, 조기발견을 위한 감시체계를 확보해야 한다. 대비단계에서는 초동조치팀을 편성하고 교육훈련을 통해 대응하는 요령을 숙달시켜야 하며, 각종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대응단계에서는 숙달된 초동조치팀이 즉각 투입되어 현장 정리 및 확산을 방지해야 하며, 복구단계에서는 평가체제를 구축하여 조기에 정상적인 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 PDF

민방위 대피시설 계획 및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1 - 민방위 대피시설의 현황 및 설계기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of Civil Defense Shelter and Design 1 - On the ideas of the State of Civil Defense Shelter & Design Criteria -)

  • Park, Namkwun;Paik, Sungk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58-365
    • /
    • 2014
  • 북한은 화생방 무기체계운용의 경제성과 재래식 무기의 한계성을 인지하여 비대칭 전력을 활용한 대량살상무기에 대해 꾸준한 준비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의 민방위 대피시설은 실질적으로 재래식 폭탄 및 미사일 등에 대한 위협만을 고려하고 있으며, 화생방 및 각종 테러 등의 재난 발생 시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여 민간의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의 실정과 재난 특성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민방위대피시설의 계획 및 설계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화생방 재난을 중심으로 민방위 대피시설의 현황 및 설계기준을 파악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 및 제안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생물테러리즘의 위기관리방안 (Countermeasure to the Stages of Crisis Management in the Bioterrorism)

  • 이광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35-242
    • /
    • 2009
  • 이 연구는 생물테러리즘을 위기로 인식하고 생물테러리즘을 위기관리별로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관리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9.11 테러 이후 발생한 탄저균 테러는 전 세계에 생물병원체에 의한 공포감을 인식시켜 주었으며, 그 위험성이 강조된 사례이다. 본 연구결과 생물테러리즘 위기는 4단계로 구분하여 관리할 때 완화 및 예방단계에서는 테러리즘의 기준을 정하고, 대비를 하기 위하여 테러관련 법을 제정하고, 조기발견을 위한 감시체계를 확보해야 한다. 대비단계에서는 초동조치 팀을 편성하고 교육훈련을 통해 대응하는 요령을 숙달시켜야 하며, 각종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대응단계에서는 숙달된 초동조치팀이 즉각 투입되어 현장 정리 및 확산을 방지해야 하며, 복구단계에서는 평가체제를 구축하여 조기에 정상적인 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국가안보측면으로서의 인공강우기술 고찰 (Study on Consideration of Artificial Rain Technology in Aspect of National Security)

  • 최기남;이선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99-106
    • /
    • 2012
  • 2010년 3월 11일 대한민국 동해를 건너 위치한 일본에서 강진과 해일로 인하여 후쿠시마원전이 중단되고 폭발하여 방사능물질이 누출되었다. 한 국가에서 발생한 사고지만 누출된 방사능 물질은 해류와 기류를 타고 전 세계에 확산되었다. 국내에도 사고 이후 방사능비가 내린다는 공포심에 혼란이 있었고, 사고 발생 1년이 지나도 방사능오염에 대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즉 이웃나라의 원전사고는 국내에도 큰 위협이 되는데 일본 뿐 만 아니라 서해 건너 중국해변에도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하고 있다. 이웃나라의 원전사고 위협이외 군사적 대치를 하고 있는 북한은 세계3위의 생화학무기 보유국이며 2010년 11월에는 연평도 포격도발을 하는 등 언제든 남한에 생화학물질을 살포 할 수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는 전략으로 기상조절기술인 인공강우기술을 접목해 보았다. 원전사고시 방사능물질과 북한의 생화학무기는 기상조건에 따라 농도가 달라 질 수 있으므로 인공강우기술만으로 완벽하게 위협을 제거할 수 없지만, 심리적 측면과 피해저감을 위한 방법으로 시도해 볼 가치가 있다. 국민안전확보를 위한 국가의 안보측면으로서 인공강우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ADD와 같은 연구기관에서 상시적이고 적극적으로 기술연구개발을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