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coal concentration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3초

전극과 유전체장벽간의 접착물질의 물성변화가 오존발생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perties of Binder between Electrode and Dielectric Barrier on Ozone Generation Characteristics)

  • 박승록;김진규;김형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19-125
    • /
    • 2002
  • 무성방전형 오존발생장치에서 고농도의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방전공간의 온도를 낮게 유지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방전공간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유전체장벽과 전극간의 접착물질과 접착방법은 전기적, 열적 관점에서 볼 때 방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접착물질과 접착방법은 오존발생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접착물질과 방법이 오존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적인 결과이다. 접착물질의 종류로는 방열재료로 사용되는 실리콘 화합물질, 전기적인 도전성을 가지는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물성변화를 위해 첨가물질로 차콜(charcoal)을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접착물질(실리콘 화합물)이 사용되었을 때가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같은 전압에서 많은 오존발생량을 보여주었다. 또한 접착물질이 사용되었을 때는 순수한 실리콘 화합물이 사용된 경우가 도전성을 가지는 접착물질이 사용되었을 때보다 많은 오존발생량을 보여주었다.

Initial Ignition Time and Calorific Value Enhancement of Briquette with Added Pine Resin

  • Gustan PARI;Lisna EFIYANTI;Saptadi DARMAWAN;Nur Adi SAPUTRA;Djeni HENDRA;Joseph ADAM;Alfred INKRIWANG;Rachman EFFEND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3호
    • /
    • pp.207-221
    • /
    • 2023
  • The increasing demand for clean energy requires considerable effort to find alternative energy sources, such as briquettes.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charcoal briquette with added pine resin (API) that has excellent combustion speed and distinctive aroma. Briquettes are composed of charcoal, pine resin (concentration: 0%-30%), and starch (up to 7%). They are produced in several stages, including coconut shell pyrolysis in conventional combustion, to obtain charcoal for the briquette precursor. Briquette compaction is conducted by mixing and densifying the charcoal, pine resin, and starch using a hydraulic press for 3 min. The hydraulic press has a total surface area and diameter of 57.7 cm2 and 3.5 cm, respectively. The briquettes are dried at different temperatures, reaching 70℃ for 24 h.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briquettes have a thickness and diameter of up to 2 and 3.5 cm, respectively; moisture of 2.18%-2.62%; ash of 11.61%-13.98%; volatile matter of 27.15%-51.74%; and fixed carbon content of 40.24%-59.46%.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briquettes is 186-540 kg/cm2. Their calorific value is 5,338-6,120 kcal/kg, combusting at a high speed of 0.15-0.40 s. The methoxy naphthalene, phenol, benzopyrrole, and lauryl alcohol; ocimene, valencene, and cembrene are found in the API. The API briquette has several chemical compounds, such as musk ambrette, ocimene, sabinene, limonene, 1-(p-cumenyl) adamantane, butane, and propanal, which improve aroma, drug application, and fuel production. Accordingly, API briquettes have considerable potential as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and a health improvement product.

Inhibitory effects of dietary antioxidants on the formation of carcinogenic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grilled pork

  • Wongmaneepratip, Wanwisa;Jom, Kriskamol Na;Vangnai, Kanithapor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8호
    • /
    • pp.1205-1210
    • /
    • 2019
  • Objective: The inhibitory effects of dietary antioxidants, diallyl disulfide (DADS) and quercetin, in marinade were investigated on the formation of carcinogenic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EPA priority 16 PAHs) in grilled pork. Methods: The formation of PAHs in grilled sirloin pork with different marinades after charcoal-grilling for 2 min/side were evaluat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a photodiode array detector (HPLC-DAD).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marinade treatment (without antioxidant), the addition of DADS (500 mg/kg meat sample) in marinade significantly decreased benzo[a]pyrene (BaP) (100%) and heavy PAHs (84%) in charcoal-grilled pork, while the addition of quercetin at the same concentration could reduce 23% and 55% of BaP and heavy PAH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DADS in the marinade could be important in decreasing the levels of PAHs in grilled meat.

Hood Method를 이용한 직화구이 음식점의 미세먼지 배출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s from Under-fired Charbroiling Cooking Process using the Hood Method)

  • 이준복;김흥주;정권;김신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5-321
    • /
    • 2009
  • Under-fired charbroiling cooking processes are known as important contributors of particulate matter (PM).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the emission of particulate matters from under-fired charbroiling cooking processes using the hood method. Accumulated mass concentration of $PM_{10}$ was 92.2~99.5% and particle size of 2.0~2.5 ${\mu}m$ was highest. The concentration of PM increased very sharply at the beginning of charbroiling meats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as the charbroiling continued. PM concentration also increased very sharply when gravy from meat spilled onto the frame of fire. However, mass concentration during charbroiling using only charcoals was very low compared to that of meats. We estimated the emission factors of charcoal, pork belly and pork shoulder respectively; 0.01~0.02 g/kg, 5.02~6.26 g/kg, 2.86~4.15 g/kg of $PM_{2.5}$, 0.01~0.03 g/kg, 7.44~7.91 g/kg, 4.54~5.56 g/kg of $PM_{10}$, and 0.02~0.05 g/kg, 7.59~7.95 g/kg, 4.93~5.68 g/kg of TSP. The emission factors of charcoal were negligible and the emission factors of pork belly were higher than that of pork shoulder. Emission rates of particulate matters from under-fired charbroiling cooking process were estimated as 578,009~1,265,152 kg/yr of $PM_{2.5}$, 917,539~1,598,619 kg/yr of $PM_{10}$ and 996.358~1,606,703 kg/yr of TSP. But emission factors should be verified with an in-stack cascade impactor because the reported method involves some assumptions.

질산으로 표면처리한 대나무 활성탄을 첨가한 폴리술폰 담체의 세슘제거 효율 규명 (The Cesium Removal Using a Polysulfone Carrier Containing Nitric Acid-treated Bamboo Charcoal)

  • ;김선희;탁현지;김경태;이민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5호
    • /
    • pp.529-542
    • /
    • 2020
  • 질산으로 표면 처리한 대나무 활성탄을 소량 첨가한 구형의 폴리술폰 담체(직경 3 - 5 mm)를 제조한 후, 세슘(Cesium: Cs) 오염수를 대상으로 다양한 실내 실험을 수행하여 담체의 세슘 흡착 특성과 Cs 제거효율을 규명하였다. 배치실험 결과, 질산처리한 대나무 활성탄 5%를 첨가하여 제조한 폴리술폰 담체(P-5NBC)는 수 시간 내에 흡착평형에 도달하였고, 1시간 흡착시간 동안 57.8%의 Cs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흡착시간이 24시간인 경우에는 오염수의 온도와 pH가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도 P-5NBC의 Cs 제거효율이 69%이상을 유지하여, 다양한 수환경 조건에서 Cs 제거를 위해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과 지하수에 서식하는 대표 미생물종인 Pseudomonas fluorescens와 Bacillus drentensis를 배양하여 P-5NBC 표면에 도포한 경우, 미생물을 도포하지 않은 기존 P-5NBC보다 Cs 제거효율은 각각 19%와 18% 증가하였다. P-5NBC의 평균 Cs 탈착율은 16% 이하를 나타내어, Cs가 폴리술폰 담체에 포함된 질산처리한 대나무 활성탄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있었다. 두 종류의 미생물로 도포한 P-5NBC로 충진하여 연속 칼럼실험을 수행한 결과, 100 공극체적량을 처리하는 동안 Cs 제거효율은 80%이상을 유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14.7 g의 P-5NBC 만으로(담체 내 순수 대나무 활성탄량: 0.75 g) 7.2 L의 오염수 (오염수 초기 Cs 농도: 1 mg/L; 처리수 Cs 농도: < 0.2 mg/L)를 성공적으로 처리하였음을 의미한다. 1시간 동안 반응시킨 Cs 흡착 배치실험 결과를 대표적인 Langmuir 흡착등온선에 도시한 결과, P-5NBC의 최대 Cs 흡착농도(qm: mg/g)값은 60.9 mg/g으로, 기존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한 다른 흡착제들보다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량의 P-5NBC 구형 담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수환경에서 Cs를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바이오매스 조연제를 이용한 CO저감형 착화탄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harcoal with Low Carbon Monoxide Emission using Biomass Combustion Improver)

  • 김승희;이연경;이준석;전충환
    • 에너지공학
    • /
    • 제25권3호
    • /
    • pp.9-1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 조연제인 리그닌과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일산화탄소(CO) 저감형 착화탄을 개발, 연소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측정을 통해 조연제가 일산화탄소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연료의 완전연소를 위해 저온에서 높은 연소성을 보이는 글리세린을 높은 비표면적 값을 가진 리그닌에 함침시켜 연소 특성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하였다. 열중량분석기(TGA) 및 가스분석기(GC/MS)를 이용하여 연소성, 탈휘발성 평가 및 일산화탄소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조연제 함유량에 따른 일산화탄소 발생량을 통해 전체 중량 대비 20% 조연제를 혼합 시 최적의 일산화탄소 저감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일반 착화탄의 일산화탄소 농도 대비 20~30% 가량 감소한 값을 도출하였다.

활성탄의 급여가 젖소 송아지의 성장 및 배설물의 Ammonia 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tivated Charcoal on Growth and Ammonia Concentration in Excreta of Dairy Calves)

  • 유선일;박덕섭;명윤아;이인덕;남명수;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34권2호
    • /
    • pp.111-117
    • /
    • 2007
  • 본 연구는 사료에 활성탄을 첨가했을 때 송아지의 일당 증체량,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 및 배설물의 ammonia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위해 실시하였다. 홀스타인 수송아지 10두를 30일 동안 대조구, 시험구(활성탄 1%첨가)로 각 5두 공시하여 시험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송아지의 일당 증체량은 대조구(1.04kg/일)에 비하여 활성탄을 급여했을 때(1.02kg/일) 1.92% 감소하였고, 일당 사료 섭취량은 시험구(2.86kg/일)가 대조구(3.18kg/일)에 비해서 10.06% 낮았으나,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3.06kg/kg증체)에 비해 시험구(2.80kg/kg증체)에서 8.2%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송아지 배설물의 ammonia 함량은 대조구의 2.67ppm에 비하여 시험구가 0.33ppm으로 87.6% 감소되는 개선효과를 보였다(p<0.05).

  • PDF

신갈나무 목탄의 카드뮴(Cd)이온 흡착 특성 (Adsorption of Cadmium Ion by Wood Charcoal Prepared with Red oak (Quercus mongolica))

  • 조태수;이오규;최준원;변재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93-100
    • /
    • 2008
  • 탄화온도 $600^{\circ}C$에서 제조한 신갈나무(Red oak, Quercus mongolica) 목탄의 카드뮴(Cd)(II) 이온에 대한 액상흡착 특성과 흡착과정 중의 열역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0.2 g 신갈나무 목탄을 사용하여 $25m{\ell}$의 카드뮴 용액을 280분간의 흡착 처리한 바, 카드뮴 용액의 초기농도 20 및 40 ppm의 경우에는 거의 100%에 가까운 흡착 제거율을 보인 반면, 80 및 160 ppm 용액에 있어서는 각각 75와 50%의 제거율을 보였다. 또한 흡착처리 시간별 카드뮴제거율은 농도변화에 의한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모든 농도에서 초기 10분 동안 가장 많은 양의 카드뮴이 제거되었으며, 각 용액에 대한 최대 카드뮴제거 능력의 약 70% 이상에 해당하는 제거율을 보였다. 카드뮴 농도 및 흡착시간에 따른 흡착성을 이용하여 조사한 $30^{\circ}C$에서의 흡착등온선은 Langmuir 흡착식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목탄에 의한 카드뮴 이온 흡착은 목탄 표면의 활성부위에 단일 분자층 형태로 흡착되는 것으로 추측이 된다. 또한 흡착 반응의 자유에너지(${\Delta}G^{\circ}$) 분석에서, 초기 농도 20, 40, 80 ppm인 용액은 모든 흡착처리 시간대에서 음의 값을 나타내어, 목탄에 의한 카드뮴 흡착은 자발적 반응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흡착 시에 더 이상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기중 유기용제 농도 측정에 있어서 국산 확산포집기와 활성탄관의 비교연구 (Field Comparison of Korean Diffusive Sampler and Charcoal Tube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Organic Vapors)

  • 조숙자;백남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3-48
    • /
    • 1997
  • Korean diffusive sampler (KDS) and charcoal tube (CT) were used for sampling n-hexane, trichloroethylene and toluene in air KDS was made b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NU-SPH in 1995. Surveys were conducted at ten industrial plants with organic solv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sampling methods was examined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concentrations by two sampling methods were compared using paired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geometric means by CT and KDS methods were 3.26ppm and 3.32ppm for n-hexane, 5.07ppm and 6.34ppm for toluene, and 7.18ppm and 7.90ppm for toluene,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sults by CT and KDS methods in three organic vapors (p>0.05). When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wo sampling methods were highly related ;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98, 0.90 and 0.96 for n-hexane, toluene and trichloroethylene, respectively. 2. Airborne concentrations of n-hexane (n=21) were below 0.5 TLV level. The GM by two methods were almost same (3.09 pp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sults by two methods (p>0.05). 3. Since toluene and trichloroethylene concentrations showed several levels, appropriate sampling rates were applied for each level. The GM of toluene concentrations by two methods at 0.5 TLV level were 3.75ppm and 5.48ppm. The KDS method overestimated the toluene concentrations at 0.5 TLV level (p<0.05). The GM values of toluene concentrations at 1 TLV level were 31.80ppm and 25.38ppm and at 2 TLV level were 64.13 ppm and 51.37 ppm. The KDS method underestimated concentration at both level (p<0.05). For trichloroethylene, the GM at 0.5 TLV level were 4.97 ppm and 7.11ppm. The KDS method overestimated the concentration of trichloroethylene (p<0.05). In conclusion, concentrations of three organic vapors measured by CT and K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results by two methods were highly related. But at contain concentrations, the levels by meth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ampling rate of KDS should be studied simultaneously using CT method for organic vapors.

  • PDF

조직배양을 이용한 가지고비고사리의 전엽체와 포자체 대량번식을 위한 배양조건 (Culture condition for gametophyte and sporophyte masspropagation of bamboo fern (Coniogramme japonica) using tissue culture)

  • 박경태;장보국;이철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119-126
    • /
    • 2019
  •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봉의꼬리과 가지고비고사리[Coniogramme japonica (Thunb.) Diels]의 전엽체와 포자체의 대량번식을 위한 적정 배양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전엽체 증식을 위해 기내에서 발아하여 계대배양한 전엽체를 재료로 사용하여 1/4-1배로 조절한 MS 배지와 Knop 배지에 10주간 배양한 결과, 1MS 배지에서 전엽체의 생체중이 14.5 g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이후 1MS 배지에 sucrose와 활성탄, 질소급원의 농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8주간 배양한 결과, 3%의 sucrose 농도에서 전엽체의 생체중이 10.8 g으로 증식률이 가장 좋았다. 활성탄의 경우 네 처리구가 8.8 ~ 10.8 g 범위로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소급원은 ${NH_4}^+:{NO_3}^-$의 비를 1:2로 하여 30, 60, 120 mM의 농도로 첨가한 결과, 세 처리구 모두 생체중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토양종류에 따른 포자체의 형성을 실험한 결과, 원예상토와 마사토를 2:1(v:v)로 혼합한 토양에서 228.0개로 가장 많은 포자체가 형성되었다. 반면에 피트모스와 마사토를 2:1(v:v)로 혼합한 토양을 제외하고 피트모스가 첨가된 토양에서는 포자체가 형성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