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검색결과 4,531건 처리시간 0.03초

페르소나 특성을 반영한 데이케어센터 실내환경디자인 개선방안 도출 - 종로 구립 실버센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 (Extraction of An Improvement Plan of Day Care Center's Interior Environment Design Reflecting Persona Characteristics -The case of Jounno Ward Silver Center-)

  • 이진우;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43-53
    • /
    • 2015
  • As part of alternative of elderly problems in the future super-aging society, this study aims to extract an improvement plan of interior environment design of Seoul-type day care centers to expand in future by observing day care centers as medical and healing enviro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For this study, after selecting major activity areas of representative cases of Seoul-type day care centers, user behaviors in the space were observed and 4 seniors of baby-boom generation who are potential uses were chosen as personas b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healthy elderly, physical aging, mental aging and infirm elderly,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healing environments, thes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personas were classified into environmental aspects, physical aspects and mental aspects to extract an improvement pla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rior environment design reflecting persona characteristics helps the elderly adapt to the environment and provides a comfortable environment like home for stability, treatment and recovery of memory. Second, interior environment design reflecting persona characteristics helps psychological healing through light entering the large windows and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Third, for interior environment design reflecting persona characteristics, finish materials with bright and soft colors should be used to change the images of facilities positively. Fourth, spatial composition should be remedied through division of space and built-in furniture depending on the needs of users for loitering of extra time and programs.

청소년의 아르바이트경험특성이 중소기업 인적자원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Characteristics of Part-time Job experience of Youth Impact on Career Development)

  • 김산용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59-16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아르바이트경험특성과 진로발달간의 인과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중소기업의 인적자원을 개발하고 확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3년에 실시한 전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 10,119명을 대상으로 층화다단계집락표집을 활용하여 2013년 5월 20일부터 7월 12일까지 실시한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르바이트경험특성이 진로발달의 하위영역인 계획성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르바이트경험특성이 진로발달의 하위영역인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르바이트경험특성이 진로발달의 하위영역인 자기지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르바이트경험특성이 진로발달의 하위영역에 진로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르바이트경험특성이 진로발달의 하위영역의 독립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아르바이트가 진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 중 고등학교와 중소기업과 연계하여 진로체험, 직업체험의 장을 만들어간다면 중소기업 미래의 인적자원은 확보될 것으로 기대한다.

초등 예비교사의 기억 속 긍정적 과학 경험 사례에 대한 질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f Positive Science Experiences in the Memor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임성만;신정윤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9-309
    • /
    • 2022
  •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기억 속 긍정적 과학 경험 사례를 질적 분석하여 긍정적 과학 경험의 구체적인 요인과 특징을 범주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들이 '나의 즐거웠던 과학 수업 경험'을 주제로 쓴 에세이 101편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분석법을 이용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 초등 예비교사의 기억 속 긍정적 과학 경험 사례의 특징은 4개의 범주, 12개의 주제 묶음으로 범주화 되었다. 구체적으로 장기간의 동·식물 기르기 및 관찰, 먹을 수 있는 소재를 활용한 실험, 특별한 실험 도구 사용과 같이 '특별한 소재를 이용한 탐구 활동 경험'이 긍정적 과학 경험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관찰 활동 중시, 명확한 실험 결과가 동반되는 실험, 만들기 활동의 병행, 다양한 자료 활용과 같이 '과학 탐구를 강조한 활동 경험'도 긍정적 과학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학생 자율성 강화, 학생 간 협업 강조, 교과수업 외 과학 활동 수행 등 '학생 중심 활동 경험'도 긍정적 과학 경험에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격려와 열정과 같이 '교사의 긍정적 영향'도 과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전문대졸 청년층의 재학 중 직무경험이 첫 일자리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Experiences of College Graduate Youths on Employment Period in Their First Job)

  • 유재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64-173
    • /
    • 2018
  • 본 연구는 전문대학 졸업자의 근속기간 이탈 위험요인들과 재학 중 직무경험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2015 대졸자직업 이동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대학에 진학한 30세 미만의 전문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 중 직무경험자들은 비경험자들에 비해 가계소득과 같은 경제적 특성에서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나 학교특성에서는 활발한 취업준비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학 중 직무경험 여부에 따라 초기 노동시장 진입 특성 역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재학 중 직무경험자의 첫 일자리 이행기간이 짧고 근속기간은 길었으나 임금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ox 회귀분석을 통해 근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재학 중 직무 경험, 경험횟수, 경험기간이 이직위험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재학 중 직무경험이 다음 일자리의 유지기간을 높인다는 점은 이전 직장경험과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재학 중 직무경험 횟수가 많은 점은 반대로 근속기간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감성지능, 공감능력의 관계 : 상담 수강 경험의 조절효과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ic Ability : Moderating Effect of Experience in Taking Counseling Course)

  • 임애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68-27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감성지능, 공감능력의 관계에 상담수강경험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의 대학생 313명이며,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적 분석방법으로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감성지능관계에서 상담수강경험은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담수강경험은 우호적 성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부적으로 반전시키는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외향적 성향이 공감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만드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학습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 감성지능과는 상담수강경험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므로 현재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상담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외향적 성향일 경우에만 상담수강경험이 공감적 관심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통해 현재 상담교육은 외향적 사람에게 잘 맞는 커리큘럼일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며, 오히려 우호적 성향인 경우 상담수강경험이 공감능력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은 우호적 성향 자체가 교육 경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수이거나 현재 커리큘럼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성격특성에 맞는 커리큘럼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긴 하지만, 성격별 소그룹 수업이나 각각의 성향에 맞는 수업 방식을 스스로 선택하도록 커리큘럼의 다양성을 부각시켰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북한이탈 청소년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on the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of North Korean Refugees)

  • 손용훈;이주실;박민철;이상열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7-44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raumatic experience on the ego identity, self-esteem, and general psychopathology of adolescent North Korean refugees.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146 adolescents North Korean refugees who attended H High School for North Korean refugees.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ir traumatic experience : the more-traumatic-experience group and the less-traumatic-experience group. Each group performed self-report assessments including an assessment to reve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Traumatic Experiences Scale for North Korean Defectors, the Scale for Ego identity, the Scale for Self-esteem and the Symptom Check-90-Revision (SCL-90-R). Statistical analysis of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utilized SPSS 12.0 for Window for comparison between more-traumatic-experience group and less-traumatic-experience group. Results : The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adolescents North Korean refugees was 37%. The factor with the greatest influence on ego identity was length of time living in South Korea, while, for self-esteem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perception of health. The more-traumatic-experience group had lower self-esteem scores on some subscales of the Scale for Ego identity. They had higher scores on all SCL-90-R subscales than the less-traumatic-experience group. Conclusion : Adolescent North Korean refugees experienced high rate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more traumatic-experience-group had lower self esteem and poorer ego identity and mental health than the less-traumatic-experience group.

서비스 산업의 브랜드 체험, 고객의 지각된 가치, 브랜드 지지행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Brand Experience, Customer Perceived Value, and Brand Support Behavior in Service Industry)

  • 정진봉;김규배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91-100
    • /
    • 2019
  • Purpose - The importance of customer experiences has been increasing in retail industry as wells as theme park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brand experience, customer perceived value and brand support behavior in theme park industry. Furthermore, we tri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action with customer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brand experience and customer perceived value. Besides, we provided some implications for not only the theme park industry but also other service industries such as retail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research model has nine hypotheses, and we examined them empirically in this study. Five hypotheses were about relationships among theme park brand experiences, customer perceived value, and brand support behavior. The other four hypotheses were ab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customer interactions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rand experiences and customer perceived value. A total of 167 samples who had visited the theme park were surveyed and the hypotheses were tested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such as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theme park visitors' sensory experience, emotional experience, and cognitive experience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value, although the hypothesis ab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experience and perceived value is not supported. Second, the customer perceived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support behavior. Third, customer interaction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brand experiences and perceived value, except for behavioral experience.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can be following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from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First, we confirmed the importance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other service industries such as retail industry as well as the theme park industry. The marketing managers in these industries need to design various experience programs consider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s such as sensory, emotional, and cognitive experiences. Second,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theme park managers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customers, and raise the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employees and customers.

운수업근로자의 연령에 따른 직무특성 및 건강이 사고경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and Health on Accident Experience according to Age of Transportation Workers)

  • 권미화;이재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50-36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른 운수업근로자의 직무특성과 건강이 사고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사고예방과 고령운수업근로자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제 4차 근로환경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997명의 운수업근로자 자료를 상관분석과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운수업근로자의 연령과 사고경험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수업근로자의 특성과 사고경험과의 관계에서 고령근로자의 경우, '직무수행 중 실수 시 타인이 다침', '근골격계 문제', '심혈관계 문제', '손이나 팔의 반복동작'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에 대한 모델 설명력은 56.9%였다(p<.01). 비고령근로자의 경우에는, '우울 및 불안장애', '직무와 안전과의 관계', '직무수행 중 실수 시 타인이 다침', '노동조합 여부'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 설명력은 21.8%였다(p<.01). 따라서 추후 운수업근로자들의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연령 이외에도 건강과 직무특성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UX기반의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The Factors Affecting the Driving Experience based on UX)

  • 박도은;윤예진;박수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37-246
    • /
    • 2017
  • 최근 미래형 차량 기술이 주목받으면서, 사용자경험(UX)의 영향을 크게 받은 자동차는 생활공간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운전 경험에 대한 용어와 정의,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경험 측면에서의 운전 경험에 대한 정의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 조사와 함께 18명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한 인터뷰 데이터는 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상향식 방식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도출한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헌 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하향식 방식을 통해 재구조화 하였다. 결과적으로, '운전 경험'을 '출발부터 목적지 도착까지의 운전의 전 과정에서, 운전자가 운전 상황을 예상하며 갖게 되는, 개인적 특징 기반에서의 모든 감정과 지각, 인지적 결과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정의되었으며, 운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자동차 내부 UI 요인', '환경적 요인', '사용자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9개의 세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부티크 호텔의 체험 콘텐츠 사례 연구 (Experiential Content in Boutique Hotels: A Case Study)

  • 김정희;이캐시연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403-411
    • /
    • 2020
  • 이 연구는 특색있는 부티크 호텔에서 중요한 요소를 경험으로 보고, 호텔에 풍부한 경험 콘텐츠를 넣어 성공적인 사례를 만들고 있는 하얏트 호텔 그룹의 안다즈 호텔을 중심으로 융복합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안다즈 인도 델리 지점과 일본 도쿄 지점 두 곳에서 여덟 개씩 총 열여섯 개의 경험 콘텐츠 카테고리를 살펴보고, 이를 번 슈미트의 다섯개 경험 모듈을 통해 진단한 결과, 두 지점 모두 안다즈의 지역 특색을 살리는 호텔을 만드는 브랜드 철학에 맞게 대부분의 경험 모듈에서 경험 콘텐츠를 강하게 가지고 있었고, 그중 감각 콘텐츠를 가장 강하게 나타내고 있었다. 델리 지점 보다 토라노몬 힐즈 지점이 감성 경험 콘텐츠를 더 강하게 가졌으며, 인지 경험 콘텐츠의 경우 델리 지점이 조금 더 강하게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지점 모두 이용객이 호텔을 이용하는 동안 맞이하게 되는 다양한 지점에서 풍부한 경험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