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e in food intake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32초

비타민 C 보충과 요가가 중년여성의 혈청 지질과산화물가 개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tamin C Supplementation and Yoga on the Improvement of Serum Lipid Peroxidation in Middle-aged Women)

  • 강영수;이상호;백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7-51
    • /
    • 2009
  • 비타민 C 섭취 및 요가가 중년 여성의 총항산화능, 지질과 산화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B광역시 H구에 거주하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요가 프로그램은 주 3회, 1일 60분, 운동 강도 RPE $13{\sim}15$로 실시하였다. 비타민 C는 1일 1 g을 섭취시켰다. 12주 후 총항산화능의 변화는 정상군 28.23%, 비타민 C군 30%, 요가군 26.58%, 비타민 C 섭취와 요가군은 43.66%가 증가하였으나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지질과산화물가의 변화는 정상군 10%, 비타민 C군 -25%, 요가군은 -32.14%, 비타민 C 섭취와 요가군은 -33.87%로 정상군에 비해 프로그램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프로그램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혈중지질농도 변화는 모든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요가 또는 비타민 C 섭취에 따른 지질개선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중년여성에게 비타민 C 섭취나 규칙적인 요가 프로그램은 지질과산화물가를 낮춤으로써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노령기 흰쥐에서 제초제 저항성 쌀의 급여에 대한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Safety for the Supplement of Herbicide-resistant Rice in Old Male Rats)

  • 이성현;박홍주;조소영;전혜경;박용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10-814
    • /
    • 2004
  •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된 유전자 변형 식품의 영양적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발이 우리의 주식인 점을 고려하여 우선 안전성 이 검토되어야 할 시험 재료로 선정하였고, 유전자 변형(제초제 저항성) 쌀의 실질적 동등성 구명을 위해 일반 및 미량 영양소의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대표적 취약 계층인 노령기 모델에서 유전자 변형 쌀을 가지고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 마커가 현미 에 있을 수 있고 열처리시 변화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유전자 변형 품종의 현미 및 현미밥과 모종인 일품의 현미 및 현미밥으로 배합한 실험식이를 8주간 급여하였다. 그 결과 시험재료의 영양성분 함량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실험식이를 급여하였을 때 모든 실험 동물에서 임상적 증상, 조직의 외형이나 무게 및 혈청 생화학적 지표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 사용된 유전자 변형 품종(제초제 저항성 )의 현미와 현미밥 모두 노령기 실험동물에 어떠한 부정적 영향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유전자 변형식품의 안전성에 대해 종 더 보완된 in uiuo 실험법의 확립과 장기간의 급여에 따른 영향검토가 필요하고, 본 연구의 시험재료는 단지 제초제 저항성 품종의 현미에 대한 것으로 다른 유전자 변형 식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확인 실험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외인성 갑상선호르몬 ($T_3$)의 경구투여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치어의 생리적 상태, 성장 및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al Administrated Thyroid Hormone ($T_3$) on Physiological Condition, Growth and Survival Rate of Juvenil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강덕영;장영진;김윤;명정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88-593
    • /
    • 2001
  • 조피볼락, S. schlegeli 치어의 생리, 성장 및 생존율에 미치는 3,5,3'-triiodo-L-thyronine ($T_3$)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T_3$를 0, 5, 10 및 15ppm으로 사료에 섞어 경구투여하였다. 실험 종료시 섭식률 및 사료효율은 10PPM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CH는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낮은 TCH값을 나타내었다 실험구별 기형률은 $T_3$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실험 종료시 체성분 분석 결과, 수분과 회분 함량은 실험구간 유의 차를 찾아 볼 수 없었고, 단백질 함량은 15PPM구가 5PPM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 비해 많았으며, 지질 함량의 경우 15PPM구가 대조구에 비해 적었고, 5PPM구와 10PPM구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실험구별 길이 및 무게 성장은 10PPM구가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 실험 종료시 $9.80\pm0.26 cm$로 대조구에 비해 빠른 성장을 보였다. 실험구별 비만도는 $T_3$구가 $18.9\~19.0$으로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각 실험구별 사육어의 생존율은 CONTROL구가 가장 높았고, CONTROL구를 제외하고는 10PPM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 PDF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Bulnesia sarmienti 단일추출물과 복합추출물이 혈청지질 및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lnesia sarmienti Single and Complex Extracts on Serum Lipid and Body Fat in Rats Fed High-fat Diet)

  • 박창호;김대익;정희경;이기동;김길수;홍주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49-454
    • /
    • 2008
  • 고지방식이로 비만 및 고지혈이 유발된 실험동물에서 체중, 혈중지질, 체지방, 혈청생화학적 검사 및 장기무게를 측정하여 B. sarmienti 열수추출물 및 B. sarmienti 복합추출물 투여로 인한 혈중지질 개선, 체지방 감량 및 시험물질의 간기능 및 장기무게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지방식이에 의한 실험군간 사료 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 및 사료 이용 효율은 정상군과 비교할 때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시험기간 동안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체중증가 및 사료이용 효율에는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생화학적 검사에서 고지방식이에 의해 혈중 ALT, AST, creatinine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 g-GT, 총단백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ALT, AST, creatinine은 시험물질 BS와 BS-M 투여로 정상군에 가깝게 유지되었다. 고지방식이에 의한 장기무게 변화는 비장, 신장, 폐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정상군에 비해 간은 증가하였고 심장은 감소하였다. 시험기간중 혈중지칠 변화는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triglyceride, 동맥경화지수(AI) 모두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의적인 증가현상이 나타났으나, 시험물질 투여로 인해 전반적으로 혈중지질 및 동맥경화지수 감소현상을 보였다. 특히 BS 투여군에서 현저한 감소현상이 나타났다. 고지방 식이에 의한 체지방 변화는 정상군과 비교할 때 유의적인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시험물질 투여로 후 복강 지방조직 및 부고환 주위 지방조직의 무게변화는 BS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감소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의한 체중증가 현상과 혈중지질 상승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체중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BS 투여군에서 혈중지질 감소 및 동맥경화 지수도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체지방 변화에서도 BS 및 BS-SM1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B. sarmienti 단일추출물 및 B. sarmienti 복합추출물에 대한 혈중지질 및 체지방 감소효과에서 B. sarmienti 단일추출물 및 B. sarmienti 와 상백피 복합추출물이 혈중 중성지방, 동맥경화지수, 체지방감소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혈중지질 개선효과에서 B. sarmienti 단일추출물과 비교할 때 B. sarmienti와 상백피 혼합추출물에서는 혈중지질 개선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으나, B. sarmienti와 단삼 혼합추출물에서는 혈중지질개선 상승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에 따른 맛 선호도 및 식품섭취 변화 (Food Cravings, Appetite, and Taste Palatability in Women with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정범석;김창윤;이철;장남수;김지명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3호
    • /
    • pp.314-321
    • /
    • 2002
  • 월경전기 증상에 따른 맛 선호도와 식품섭취 변화를 알아보고자 정규간호사 1,301명을 설문조사한 후 분석가증한 626명의 자료를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 월경전기 증상이 없는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별 맛에 대한 선호도 변화, 식사량 변화, 특정 음식에 대한 선호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며 다음과 같다. 월경전기에 맛 선호도 변화정도가 세 집단간에 다르게 나타났다. 월경전 불쾌지분장애 집단의 경우 월경전기에 단맛, 짠맛, 매운맛, 신맛 4가지 맛에 대한 선호도가 모두 증가하였고, 세 집단 모두 단맛을 가장 많이 찾았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과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에서는 매운 맛의 선호도도 증가하였다. 식사량은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과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 모두 무증상 집단에 비해 늘어났다. 월경전/평소의 음식 섭취량 변화는 물, 스포츠 음료 및 쥬스, 우유 등 음료수를 제외한 모든 음식에서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의 월경전기의 섭취량이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월경전기에 맵거나 단 음식을 유난히 많이 먹게 되며, 월경전기 증상을 경험하는 월경전 불쾌지분장애 집단이나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 모두에서 매운 음식을 가장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항전분 투여가 loperamide 유도 변비 쥐의 체중변화와 배변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stant Starch on Body Weight and Defecation in Loperamide-induced Constipated Rats)

  • 신현주;김광옥;김영아;이혜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43-749
    • /
    • 2010
  • 본 연구는 2종류의 저항전분(RS2, RS3)이 loperamide 유도 변비 쥐의 체중변화와 배변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다른 식이섬유 급원과 비교하여 실험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계 수컷 쥐 60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정상 대조군, 변비 셀룰로오스군, 변비 펙틴군, 변비 RS2군, 변비 고RS2군, 변비 RS3군의 6개군으로 나누었다. AIN-76 기본식이에 각각 다른 식이섬유를 첨가하고 에너지 밀도가 동일하게 조제한 실험식을 5주 동안 투여하여 변비 쥐의 식이효율과 체중 변화 및 배변상태와 장통과시간을 분석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저항전분 투여군들은 셀룰로오스군에 비해서 식이효율과 체중 증가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펙틴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소장의 길이는 모든 식이섬유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대장의 길이는 저항전분군들에서 펙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길었고, 셀룰로오스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사료섭취량 대비 분변 배설량은 저항전분 RS2의 경우는 펙틴군 보다는 높았고 셀룰로오스군 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RS3군은 셀룰로오스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많았다. 분변의 외형은 RS3군과 고RS2군은 셀룰로오스군과 유사하였으나 저RS2군은 펙틴군과 유사하였다. 변 중 수분함량은 식이섬유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장 통과시간은 셀룰로오스군과 RS3 투여군이 펙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변비 동물에서 저항전분의 투여는 식이효율과 체중 증가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고, 저항전분중 RS3는 셀룰로오스와 마찬가지로 변비 동물의 배변량을 증가시키고 장 통과시간을 단축시켜 배변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울금 첨가 오리가공육 섭취가 여대생의 식후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uck meat treated with turmeric powder intake on the postprandial blood lipid profile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이송미;노희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2호
    • /
    • pp.80-8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여대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오리육에 농도를 달리한 울금을 첨가하여 섭취한 후 30분, 60분, 120분, 180분 후 혈액을 채취하여 울금 농도에 따른 혈중 지질농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는 병적 질환이 없고 신체조건이 한국인 기준에 해당되는 여대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대상자는 $159.6{\pm}2.6cm$, $51.3{\pm}3.5kg$이었으며, BMI는 $20.1{\pm}1.0$으로 정상 범위에 해당하였다. 공복시 혈당과 지질농도, GGT, GPT, GOT, CRP, 헤모글로빈 농도는 모두 정상 수준이었다. 2) 식후 혈중 포도당의 공복 시 혈당에 비해 증가된 ${\Delta}-AUC$값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식후 혈중 총콜레스테롤은 울금 0.2%, 0.4% 첨가하였을 때 공복 시에 비한 ${\Delta}-AUC$값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4) 혈중 중성지방의 농도는 식후 90분 까지 0.4% 첨가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5) 식후 LDL의 공복 시에 비한 ${\Delta}-AUC$값은 울금 0.2%, 0.4% 첨가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6) 식후 HDL의 공복 시에 비한 ${\Delta}-AUC$값은 울금 0.2%, 0.4% 첨가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는 혈중 지질상태가 정상인 여대생을 대상으로한 인체실험으로 0.2% 이상의 울금 첨가가 고지방식인 훈제오리육가공품의 섭취 시 혈중 지질농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힌 연구로 그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그러나 이의 기전을 보다 명확히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에서의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Reduction of Mouse Body Fats by Water Extract of Pleurous Ostreatus

  • Kim, Seck -Jong;Park, Cherl -Woo;Kim, Jeong-Ok;Kim, Jong -Man;Ha, Yeong-La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30-133
    • /
    • 1999
  • Body fat-reducing ability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water extract (OMWE) was investigated of mice by supplying it drinking water. OMWE(2.95% solid content ) was prepared by extracting a low grade of the mushroom at 12$0^{\circ}C$ for 10min. The solid material of OMWE was composed of 65.2% reducing sugar, 0.23% crude fat, 0.5%total protein, 1.2% ash and 32.9% others. OMWE was appropriately diluted with drinking water. Seventy two male ICR mice(25$\pm$1 g, 7~8 weeks of age, 6 mice/cage, 18 mice/treatment) housed in polycarbonate cages containing $\beta$-chips were adopted in a temperature-and humidity-controlled facility with free access to water and diet. One week later, the mice were subjected to one of the treatments for 36days : 0 (control), 10, 50 and 100% OMWE. Drinking wter with or without OMWE was supplied twice (40ml each, 80ml in total ) daily per cage. Body weight and fed intake were recorded every three day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mice were sacrificed to determine the chemical composition (fat, protein, ash and water). Body weight of mice treated with OMWE (10, 50 and 100%) at day 36 was 35.9, 35.9and 35.5g per mouse , respectively, and not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to that (36.5g/mouse) of control mice. Average body fat of 0,10,50 and 10% OMWE -treated mice was 14.3, 13.1, 10.7 and 12.0% , respectively. Body fat reduction by 50% OMWE treatment was 25.2% (p<0.05) relative to control. OMWE did not affect feed intake. The contents of body protein and ash were increased with respect to body fat decrease, while water content was not changed much. These results suggest that OMWE could reduce body fat of the mice without body weight change, giving the best effect by 50% OMWE.

  • PDF

The Effect of Milk Supplementation on Bone Density and Iron Status of Elderly

  • Son, Sook-Mee;Chon, Yeh-Na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5호
    • /
    • pp.715-721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ow milk supplementation can benefit the elderly by increasing bone density but possibly harming the iron status concomitantly. Forty one elderly subjects over 65 years of age(male : 9, female : 32) participated. All subjects were apparently healthy, home staying and attending meal service for lunch at the welfare center. They were from low income area of Puchon city. One cup of milk per day was served for 10 months. The mean intake of calciu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or females after milk supplementation. Male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means of triceps skinfold thickness, suprailiac skinfold thickness and waist circumference. Female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measurements fo three kinds of skinfold thickness,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mean bone density of lumbar spine$(L_2~L_4)$, femoral neck, ward's triangle and torchanter, but the proportion of osteopenia estimated by the T score of lumbar spine bone density was lowered from 50.0% to 34.6% for females. The mean Hb level was significantly for males. The proportion of anemia estimated by Hb(<12g/dl), Hct(<36%) and serum ferritin(<15mg/ml) were increased from 17.2% to 51.7%, from 20.7% to 44.8% and from 10.3% to 17.2%, respectively for females. It looks like milk supplementation can effect the intakes of several nutrients considered to be commonly deficient in the Korean diet fo elderly people, increase som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decrease the proportion of osteopenia. However it can have adverse effects on iron status of females.

  • PDF

금강에 서식하는 꺽지(Coreoperca herzi)의 식성 (Studies on the Feeding Habits of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in the Geum River,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2-478
    • /
    • 2017
  • 꺽지의 식성 분석을 위해 금강에서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채집을 하였고 크기는 전장이 38~70 mm, 71~109 mm, 110 mm 이상 등 3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먹이생물은 수서곤충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잠자리목(Odonata), 강도래목(Plecoptera), 딱정벌레목(Coleoptera), 파리목(Diptera), 날도래목(Trichoptera) 등과 어류 이었다. 꺽지는 수서곤충을 주로 섭식하였고 개체수에 있어 98.8%, 생체량은 55.8%, 상대중요성 지수는 97.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식성은 육식성이었으며 먹이 섭취 특성과 형태는 Keenleyside의 분류를 적용하면 육식포식자(stalker)에 속하였다. 꺽지의 주요 먹이원은 하루살이류, 파리류, 날도래류 등이었고 잠자리류, 강도래류, 딱정벌레류, 어류 등은 희소하게 섭식하고 있었다. 꺽지는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섭식한 먹이의 생체량에 있어 하루살이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날도래류와 어류가 증가하는 먹이 전환이 발생 하였다. 딱정벌레류와 파리류는 큰 변동이 없이 일정하였다. 전반적으로 꺽지는 먹이생물의 구성이 계절에 따라 큰 변화는 없었다. 하천에 있어 꺽지의 자연증식과 서식지를 복원할 경우 주요 먹이원인 하루살이류, 파리류, 날도래류 등이 다량 서식할 수 있도록 조성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