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llenges of teachers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7초

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과학교사 행위주체성 탐색 -COVID-19에 따른 원격 수업 2년 차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Science Teacher Agency at the Age of the New Normal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Case of Second Year of Distance Learning Practice)

  • 이혜경;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415-428
    • /
    • 2021
  • COVID-19로 인하여 도입된 원격 과학 수업은 이제 교사들에게 새로운 일상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사가 지난해의 실행을 습관적으로 되풀이하기보다는 변화하는 맥락을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맥락에 적절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로 인하여 시행된 원격 수업 2년 차 상황에서 교사가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는 실행에서 드러나는 교사 행위주체성과 이때의 맥락을 분석하였다. 특히, 2020년 4월에서부터 2021년 7월까지 16개월 동안 교사의 원격 과학 수업 실행을 추적하여 맥락에 따라 변화하는 교사의 행위주체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등학교 과학교사 3인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 연구 참여자가 사용한 교육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지속해서 검토하며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자신의 원격 과학 수업 실행에서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행위주체성을 발현하거나 외부로부터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기 위하여 행위주체성을 발현하거나 자신이 추구하는 과학 교육을 원격 수업 상황에서도 구현하기 위하여 행위주체성을 발현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지난해 원격 과학 수업을 실행한 경험 및 이로부터 축적된 실천적 지식, 자신의 실행에 대한 성찰, 원격 과학 수업에 대한 장·단기적 목표가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교사가 속한 맥락에서 원격 수업의 질 제고를 추구하는 학교 공동체의 분위기나 교사 사이의 활발한 소통과 협력 역시 교사 행위주체성 발현을 촉진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원격 과학 수업 상황에서 어떠한 과학교사 행위주체성이 발현되었는지 탐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영향을 미친 맥락을 분석하였다. 또한, 같은 교사가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행위 주체성 발현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을 이해하기 위하여 교사의 개인적인 요인 및 맥락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사 행위주체성 발현을 지원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From Information to Knowledge: The Information Literacy Conundrum

  • Todd, Ross J.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31-153
    • /
    • 2010
  • The fusion of learning, information, and technology presents dynamic challenges for all librarians, educators and students in 21st century libraries and schools. At the heart of this fusion is the growth of a pervasive, integrated information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vast quantities of digital content, open choice,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digital spaces, and the transition of the web environments from consumption of information to creation of information. This environment heralds important opportunities for librarians and teachers to rethink, re-imagine and recreate a dynamic approaches to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Drawing on an extensive body of research undertaken through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Scholarship in School Libraries (CISSL), and published research on both information literacy and constructivist learning, this paper provides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its multiple conceptualizations, competing models, viewpoints, and its operationalizations in educational and library environments. The paper will challenge information literacy practices which center on simplistic, reductionist approaches to information literacy development, and the separation of information process and knowledge content. In particular it will address apparent contradictions in espoused conceptions of information literacy which revolve around "knowledge": knowledge construction,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the development of knowledgeable people; and information literacy practices which revolve around "information": a predominant focus on skills of access and evaluation of resources and with less attention given to engaging with found information to develop deep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e paper will present a series of challenges for moving forward with information literacy agendas in libraries and schools.

Access to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Sex Workers in Banglades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 Shohel, M. Mahruf C.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3권1호
    • /
    • pp.13-31
    • /
    • 2013
  • The children of sex workers in Bangladesh are denied even the most basic human rights. This article is based on recent research focused on the children of sex workers in the context of their everyday lives. The study focused on access to education and how education could be a vehicle for them to break the vicious cycle of exploitation. This was a mixed method interpretative study which employ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but in this paper only qualitative data which was gener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is used. Data was collected from sex workers, their children, teachers and NGO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Information has been collected for analysing the expectation of the children of sex workers and hope for the future, and the opportunities available to them during their schooling. Thematic analysis technique was used to understand the challenges and barriers faced by the children of sex workers in fulfilling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The lives of the children of sex workers are marginalised by the mainstream society. Though it is very difficult to break the vicious cycle of exploitation, this research finds that education may be a stepping stone for them to create a better future. However, it is argued that the children of sex workers need income generating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to enable them to earn and support their family. Policy recommendations have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Education For All targets and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and to provide a second chance for these vulnerable young people to have a better life.

외국인 유학생의 보육실습 경험 분석: 어려움과 가치를 중심으로 (Analyzing the Child Care Practicum Experience of Foreign Students: Exploring Challenges and Benefits)

  • 강정원;국소영;박명금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39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with a specific focus on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and the values they derived from their practicum experiences. The aim was to gain insight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practicum support for thes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6 foreign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using snowball sampl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spanned from May 2021 to March 2023, during whic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Results: Foreign students faced challenges in securing practicum placements prior to the start of their program. Communication difficulties necessitated the use of interpreters to interact with children. Additionally, documenting information in a language other than their mother tongue posed a challenge. Consequently, there was a need for tailored training support to address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students reported rewarding and valuable experiences during their practicum. These experiences included discovering the teaching identity in Korea, learning about desirable practices in the field, recognizing and addressing personal shortcomings, and developing a sense of voc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fant education in their home countries. Conclusion/Implications: If we actively listen to and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their childcare practicum,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excellent childcare teachers who can foster a harmonious and inclusive environment within our multicultural society.

변화가 변화를 일으키지 못할 때: 한국과 미국 초등수학 수업 관찰로부터의 소고 (When Changes Don\`t Make Changes: Insights from Korean and the U.S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4권2호
    • /
    • pp.111-125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cross-national perspectives on challenges in implementing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 reform ideals. This paper includes detailed qualitative descriptions of mathematics instruction from unevenly successful second-grade classrooms both in Koran and in the U. S with regared to reform recommendations. Despits dramatic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vement between Korean and the U.S student. problems in both countries with regard to mathematics education are perceived to be very similar. The shared problems have a common origin in teacher-centered instruction. Educational leaders in both countries have persistently attempted to change the teacher-centered pedagogy to a student-centered approach. Many teachers report familiarity with and adherence to reform ideas, but their actual classroom teaching practices do not reflect the full implications of the reform ideals. Given the challenges in implementing reform, this study explored the breakdown that may occur between teachers adoption of reform objectives and their successful incorporation of reform ideal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wo reform-oriented classrooms in both countries. This comparison and contrast provided a unique opportunity to reflect on possible subtle but crucial issues with regard to reform implementation. Thus, this study departed from past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which the common objective has been to compare general social norma of typical mathematics classes across countries. This study was and exploratory, qualitative, comparative case study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based on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for which the primary data sources were classroom video recordings and transcripts. The Korean por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team of four researchers, including the author. The U.S portion of this study and a brief joint analysis were conducted by the author. This study compared and contrasted the classroom general social norms and sociomathematical norms of two Korean and two U.S second-grade teachers who aspired to implement reform. The two classrooms in each country were chosen because of their unequal success in activating the reform recommendation. Four mathematics lessons were videotaped from Korean classes, whereas fourteen lessons were videotaped from the U.S. classes. Intens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teacher. The two classes within each country established similar participation patterns but very different sociomathematical norms. In both classes open-ended questioning, collaborative group work, and students own problem solving constituted the primary modes of classroom participation. However in one class mathematical significance was constituted as using standard algorithm with accuracy, whereas the other established a focus on providing reasonable and convincing arguments. Given these different mathematical foci, the students in the latter class had more opportunities to develop conceptual understanding than their counterpart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o between the two teaching practices within each country clearly show that students learning opportunities do not arise social norms of a classroom community. Instead, they are closely related to its sociomathematical norms.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reform effor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ociomathematical norms that established in the classroom microculture. This study also provides a more caution for the Korean reform movement than for its U.S. counterpart.

  • PDF

기술교육의 쟁점과 실천 전략: 우리나라 기술교육 현장 전문가의 인식 (Critical Issues and Practical Strategies in Technology Education: Technology Education Practitioners' Perception in South Korea)

  • 성의석;권혁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89-208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기술교육의 쟁점과 그에 대한 실천전략을 연구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우리나라 기술교사들이 인식하는 기술교육의 쟁점과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기술교사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하나의 질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기술교사 전문가 그룹을 선정하기 위하여 의도적 표집방법이 다음의 세 가지 조건을 가지고 사용되었다: 1) 대한민국 기술교사상 수상자이거나 2) 온라인 오프라인 상의 기술교사모임을 이끌고 있는 교사들이거나 3) 지역의 기술교사 모임 운영진들. 이 연구는 한국의 기술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쟁점과 실천 전략에 관하여 선택된 15명의 기술교사들과 탐색적인 집중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인터뷰 내용에 대한 해석은 2명의 연구자들에 의해 주제 분석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선택된 자료에서 개념, 단어, 의미 등의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찾고 있는 기술교육의 쟁점은 1) 교육과정의 문제, 2) 교육 환경의 문제, 3) 교사 문제, 4) 학생 문제, 5) 관련 연구 기관 및 대학 문제, 6) 사회적 문제 등이 있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1) 기술과 가정교육의 분리, 2) 교육환경 개선 사례 공유, 3) 교사모임과 교사운동 활성화, 4) 체험학습을 통한 흥미유발, 5) 교사 양성 기관의 질적/양적 향상, 6) 기술교육의 가치를 대중에게 홍보 등이 있었다. 또한 기술교육 관련 긍정적 요인으로는, 1)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기술 교육, 2) 교사들의 교실수업 개선 의지 또는 열정 등이 있었으며, 부정적 요인으로는 1) 기술교사들의 낮은 자존감, 2) 시대의 변화에 대한 거부 또는 늦은 수용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다음 몇 가지 제언으로는 1) 도출된 기술교육의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2) 전문가들이 언급한 해결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들을 밝히는 연구의 실행 등이 있다.

반응적 교수(Responsive Teaching)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학습 과정 탐색 (Exploring of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of Responsive Teaching)

  • 김동석;김우중;김지숙;오필석;권난주;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233-251
    • /
    • 2024
  • 의미 있는 배움은 교사와 학생의 활발한 상호작용 속에 교육 내용과 관계 맺는 능동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생각을 수업의 중심에 두도록 지원하는 반응적 교수(responsive teaching, RT)를 학습하고 실천하는 과정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그들의 배움과 어려움, 변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초기에 서로 다른 관점으로 RT를 받아들였고 자신들이 이해한 방식으로 실천하는 과정에서 좌충우돌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과학을 직접 지도하는 교사의 사례에 집중하여 RT에 대해 더 깊이 탐색하였고, 해당 교사는 보람과 혼란스러움을 함께 겪기도 했다. 하지만 교사들은 학습 과정을 마무리하며 자신만의 방식대로 RT를 정의할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초등 과학교육 현장에서 RT의 실천 의지를 다졌다. 이러한 교사 학습 과정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전문가로서 교사를 바라보아야 하고, 교사 공동체를 통해 협력적으로 배우고 탐구하는 자세가 요구되며, 현장의 다양한 실천 사례들을 계속 탐구하는 연구자적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 PDF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A Photovoice Study of Social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김민아;허일권;정상미;서정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5-33
    • /
    • 2017
  •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지적장애 청소년이 사회적 관계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바람을 탐색하였다. 일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청소년 6명(평균연령=18.33세)은 7회기로 구성된 포토보이스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집단토의를 통해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주제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주제와 관련한 사진을 직접 촬영하여 참여자들과 공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5가지 사회적 관계(친구, 학교 선생님, 이성친구, 부모님, 필요한 사람)와 관련하여 총 15가지 하위주제-(1)친구들과의 관계(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해 외롭고 고독함, 친구들로부터 놀림과 괴롭힘을 당함, 친구들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함), (2)학교 선생님과의 관계(나의 마음을 이해해 주는 선생님께 감사함, 선생님과 교류가 많지 않아 속상함, 선생님이 나의 학교생활에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람), (3)이성친구와의 관계(이성친구와 교제하고 싶음, 이성친구를 사귀는 것이 두렵고 걱정됨, 이성친구를 사귀기 위해 노력함), (4)부모님과의 관계(부모님의 한결같은 사랑에 감사함, 부모님과 함께 하는 시간이 즐거움, 아버지와 관계가 소원하여 아쉬움), (5)나에게 필요한 사람(나와 함께 해 주는 사람, 나의 어려움을 도와주는 사람, 나를 포기하지 않는 사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 또래관계 향상 프로그램 및 또래갈등 대처방식 훈련, 이성관계 교육, 사회적 기술 강화, 비장애 청소년 및 교사,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장애학생의 사회적 욕구에 대한 교육 등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한 5가지 관행의 적용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직면하는 어려움 (Challenges faced by elementary teachers in implementing the five practices for effective mathematical discussions)

  • 방정숙;김소현;안효주;정지수;곽기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1호
    • /
    • pp.95-115
    • /
    • 2023
  • 많은 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논의를 하고 싶어 하지만 정작 성공적으로 수행하기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에 대해서 학습하고 이를 수업에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15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실제적으로 어떤 어려움에 직면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본 연구 대상 교사들이 3~4명씩 교사 공동체를 구성하여 5가지 관행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실행·반성하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준과 수업 환경에 적합한 과제를 선정하는 데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모든 학생들의 해결 방법을 점검하는 것, 그리고 학생들의 해결 방법을 핵심적인 수학적 아이디어와 연결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도안 작성하기, 다양한 교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 학생의 발표를 시각적으로 공유하기 등과 같이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강조되지 않았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어려움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논의를 이끌어 가고 싶은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교사교육자에게 구체적인 사례를 통한 논의의 장을 확장하기를 기대한다.

Teacher's Perception for Korean's Achievement Standards-Based Testing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of Learners' Academic Ability

  • Yoon, Mabyong;Baek, Kwa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5권1호
    • /
    • pp.52-5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eachers' perception of Korean's achievement standard-based testing system (ASTS) and its process of implementation, and to propose a method of evaluating students' academic aptitude based o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The core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asserted by changes in classroom instruction, specifically encouraging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based on a new method to evaluate student achievement. A total of 124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 career counsel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Jeonbuk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chools implementing the new method of ASTS were using 61.6% for unit school cut-off point, as opposed to the existing fixed cut-off point of 38.4%.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method was rated 3.54 on the 5-point Likert scale, implying that they had a relatively good understanding of the method. Some of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reflecting the scores from the new student ASTS include difficulty of comparing scores across schools; grade inflatio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the type of high school; and the increased importance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 the ASTS, the fairness during the evaluation of the high school grades and the consequently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prove worrying. As an ultimate result, selecting students based on university admissions data became untrustworthy. There should be further discussions on how students' achievement obtained from the new ASTS should be applied during the university admission process and how students' academic aptitude can be assessed in order to set a direction for secondary schoo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