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ga mushroom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2초

약용식물과 커피 혼합물로부터 기능성 건강음료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Effects of Functional Healthy Drink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Coffee Mixture)

  • 김인혜;김진균;이재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25-1231
    • /
    • 2016
  • 본 연구에서 기존의 생리활성이 알려진 차가 버섯(Inonatus obliquus), 모링가(Moringa oleifera), 그라비올라(Anona muricata), 단풍마(Dioscorea quinquelaba), 가시오가피(Acanhopanax senticosus), 음양곽(Epimedii herba),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그리고 오디(Morus alba) 추출물과 원두커피를 혼합하여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음료를 C1에서 C7으로 명명하였다. 각 음료의 항균, 항곰팡이, 항산화 활성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조사하였다. 항균 및 항곰팡이에 대한 활성은 Gram positive bacteria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C4, C5, C6 및 C7이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C7인 경우 항생제 내성균주인 MRSA에 대하여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Gram negative bacteria에 대한 결과는 E. coli D31에 대하여 1.0 mg/ml의 농도에서 C1에서 C7 모든 음료가 활성을 나타내었고, 반면에 곰팡이인 Candida albicans에 대하여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C6의 경우가 7.37 mg/g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C5의 경우는 3.78 mg/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로 항산화 능력을 측정한 결과, C1에서 C7 모두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C7인 경우 0.5 mg/ml의 농도에서 88%라는 높은 free radical 소거능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기능성 음료의 생리활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다양한 기능성 건강음료뿐 만 아니라 고부가가치 기능성 제품을 창출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것으로 생각된다.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 from Inonotus obliquus Sclerotia by Fractionation including MeOH Reflux

  • Lee, Kyung-Haeng;Kim, Hoon;Oh, Sung-Hoon;Hwang, Jong-Hyun;Yu, Kwang-Won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6-104
    • /
    • 2017
  • To obtain the immunomodulating polysaccharide from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sclerotia, IO), crude polysac- charide fractions (IO-M-CP and IO-CP, respectively) prepared from hot-water extract (IO-W) of I. obliquus by EtOH precipitation after MeOH reflux or not. After IO-W was re-dissolved in water followed by EtOH addition in the case without MeOH reflux, EtOH mixture was fractionated into EtOH-soluble (IO-E) and crude polysaccharide (IO-CP). In the meanwhile, MeOH-soluble fraction (IO-M) was separated from IO-W after MeOH reflux. The residue was dissolved in water and was added by EtOH, and then EtOH mixture was also fractionation into EtOH-soluble (IO-M-E) and crude polysaccharide (IO-M-CP). As a result of the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of these fractions, IO-CP and IO-M-C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and cytokines production than IO-W. Particularly, IO-M-CP promotes the production of IL-12 more than IO-CP. In the splenocytes proliferating activity and intestinal immune system modulating activity through Peyer's patch, both of 2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were significantly promoted in cell proliferation and cytokines production than IO-W, and IO-M-CP was more potent than IO-CP in IL-2 production from splenocytes and GM-CSF production ($10{\mu}g/mL$) in Peyer's patch cells. In addition, immunomodulating polysaccharide fractions (IO-M-CP and IO-CP) prepared from IO-W by EtOH precipitation with or without EtOH reflux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component suga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eOH reflux might exclude low-molecular weight materials from IO-W and consequently increase the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IO-M-CP.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mmunomodulation of polysaccharide prepared from hot-water extract of chaga mushroom was enhanced by fractionation including MeOH reflux and EtOH precipitation.

살아있는 자작나무를 이용한 차가버섯 자실체 생산 (Fruit-body Production of Inonotus obliquus on Living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 박현;가강현;이봉훈;유성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3-84
    • /
    • 2010
  •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종균을 살아있는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에 접종하여 자실체 덩어리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형성된 자실체 덩어리는 국내에서 채집한 자실체 덩어리와 비슷한 모양이었으며 단지 그 크기가 작았다. 직경은 1.1~4.8 cm를 나타내었고, 높이는 0.5~2.0 cm이었다. 접종 후 5년 정도의 기간이면 자실체의 수확이 가능하리라고 예상되었지만, 자실체의 생장 등을 고려하여 경제적으로 적정한 수확시기 결정이 필요하다.

LPS로 유도된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에서 차가버섯 열수 추출물의 염증 억제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Inonotus obliquus Extracts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Mouse Peritoneal Macrophage)

  • 고숙경;표명윤
    • 생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3-259
    • /
    • 2011
  • Macrophages play a vital role in the innate immune system involving defensive cytokines such as TNF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nitric oxide (NO). Therefore, we try to elucidat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IO) in murine macrophages. Raw 264.7 cells and peritoneal macrophages of mice were cultured with or without LPS/LPS + IFN-${\gamma}$ in the presence of IO aqueous extracts (IOE 0.2, 2, 20, 100 ${\mu}g$/mL) for 24 hr and 48 hr, respectively. Exposure of IOE caused the decrease of NO production and increase of TNF-${\alpha}$ production in dose-dependent manner in activated peritoneal macrophage in vitro. To further investigat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IO ex vivo, we orally administrated capsaicin (PC, 3 mg/kg/day) and IOE (100, 200, 400 mg/kg/day) for 4 consecutive days to C57BL/6 mice (7~9 weeks old, female), then observed the NO secretion and cytokine (TNF-${\alpha}$) production of LPS/LPS + INF-${\gamma}$-stimulated peritoneal macrophages. IOE inhibits NO secretion in dose-dependent manner both ex vivo and in vitro and increases the production of TNF-${\alpha}$ in vitro. In addition, we found that IOE possessed suppressive effects of LPS-stimulated TNF-${\alpha}$, IL-$1{\beta}$, COX-2, as well as iNOS expressions in Raw 264.7 cell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OE suppress not only the LPS-induced NO overproduction of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but also iNOS, COX-2, TNF-${\alpha}$, and IL-$1{\beta}$ overexpression of LPS-induced Raw 264.7 cells. Consequently, our results suggest that IO may hav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via suppression of the inflammatory cytokines and mediators, and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식용 및 약용버섯의 항산화 및 In vitro 항암 효과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 치용카이;조흔;임양이;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55-662
    • /
    • 2013
  • 식용버섯(표고버섯과 아가리쿠스버섯)과 약용버섯(영지버섯, 동충하초, 차가버섯,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산화효과와 인체 암세포(AGS, HCT-116, 및 HepG2) 성장 저해율, apoptosis 유도에 관련된 Bcl-2, Bax 유전자, 그리고 염증에 관련된 iNOS 및 COX-2 유전자의 분석을 통해 식용버섯과 약용버섯의 in vitro 항암효과를 비교하였다. DPPH와 hydroxy radical($OH{\cdot}$) 소거능력은 표고버섯, 아가리쿠스버섯, 동충하초,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순으로 높았으며, 식용버섯보다는 약용버섯의 항산화효과가 더 높았고, 약용버섯 중 차가버섯과 상황버섯의 항산화효과는 78%와 90%로 상황버섯이 가장 우수하였다(p<0.05). AGS 위암세포, HCT-116 결장암세포, HepG2 간암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는 식용버섯인 아가리쿠스버섯과 표고버섯 추출물은 5~40%, 약용버섯인 영지버섯과 동충하초 추출물은 28~79%, 상황버섯과 차가버섯 추출물은 75~91%로 나타났다. Apoptosis 유도에 관련된 Bcl-2 및 Bax 유전자 발현과 염증에 관련된 iNOS 및 COX-2 유전자 발현은 표고버섯, 아가리쿠스버섯, 동충하초,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순으로 apoptosis를 유도하는 작용과 세포의 발암(염증) 유도과정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상황버섯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함량이 각각 317.2 mg/g 및 35.7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차가버섯, 영지버섯, 동충하초, 아가리쿠스버섯, 표고버섯 추출물 순으로 함량이 낮아졌다. 식용버섯보다 약용버섯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유량이 많았고, 이들 화합물 함량이 많을수록 항산화효과와 인체 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가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