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ga mushroom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8초

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이 인체 종양세포주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fermented Chaga Mushroom(Inonotus obliquus)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 차재영;박상현;허진선;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71-677
    • /
    • 2007
  • 발효 및 비발효 차가버섯 수용성 추출물이 정상 세포주 NIH3T3 mouse normal fibroblast cell 및 인체 종양 세포주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위암), HCT-15 human colon cancer cell(대장암), Hep3B human hepatoma cancer cell(간암),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유방암), HeLa human cervical cancer cell(자궁경부암)에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방법에 의한 세포 증식 억제와 암세포 증식억제의 기전 연구의 일환으로 apoptosis가 일어날 때 나타나는 DNA fragmentation을 agarose gel electrophoresis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인체 종양 세포주의 생육저해 효과가 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이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한 실험조건하에서 마우스 정상 세포주 NIH3T3은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정상 세포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효 및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에서 본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 중에서 대장암 세포주 HCT-15에 대해 가장 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뛰어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첨가 농도 의존적 이였다. 발효 및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증식억제가 기전 연구로 apoptosis가 일어날 때 나타나는 DNA fragmentation을 세포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여 agarose gel electrophoresis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정상세포인 NIH3T3 세포는 DNA fragmentation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세포 생존율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특히 대장암 세포주인 HCT-15에서는 발효 차가버섯뿐만 아니라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에서도 DNA fragmentation이 많이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높다는 결과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쥐에 있어서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의 혈당 및 DNA 손상 개선효과 (The Improvement of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Extract Supplementation on the Blood Glucose and Cellular DNA Damag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유경;김정신;전은재;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1호
    • /
    • pp.5-13
    • /
    • 2009
  • 최근 당뇨환자에게서 산화적 손상이 증가됨이 보고되면서 항산화식품의 섭취를 통한 DNA 손상 개선노력이 다각도로 시도되고 있다. 차가버섯을 비롯한 여러 가지 버섯류에 항산화활성 및 혈당강하 효과가 있음이 알려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streptozotocin (STZ) 유발 당뇨쥐를 사용하여 차가버섯에 항산화 효과 및 DNA 손상 억제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이런 항산화효과가 당뇨쥐의 혈당을 감소시키는지를 알아보았다.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4주령, $110{\pm}6\;g$) 32마리를 대조군, 당뇨군, 저농도 차가버섯투여군 (0.5 g/kg BW) 및 고동도 차가버섯투여군 (5 g/kg BW) 등 4군으로 나누어 동물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꼬리 정맥에 STZ을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시킨 후 4주간 사육하였다. 4주 후에 혈액과 간을 채취하여 혈장 glucose, 혈장 총항산화능 (total radical-trapping antioxidant potential, TRAP) 수준 및 ${\alpha}$-tocopherol 수준, 적혈구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SOD), 및 glutathione peroxidase (GSH-Px)의 활성도, 그리고 임파구 및 간조직의 DNA 손상 정도를 comet assay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당뇨군에서 혈당이 상승하고 (p < 0.05) 혈장 TRAP 수준은 감소하였으며 (p < 0.05) 임파구의 DNA 손상은 증가하였고 (p < 0.05) 나머지 지표들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당뇨군에 비해 저농도 및 고농도 차가버섯 투여군들에서 혈당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혈장 TRAP 수준과 ${\alpha}$-tocopherol 수준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모두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으며, 당뇨군에 비해 차가버섯 투여군에서 tail length로 본 임파구 DNA 손상 정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나머지 지표들은 당뇨군과 차가버섯 투여군들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차가버섯 열수추출물을 고농도 (5 g/kg BW)로 4주 동안 당뇨유발 흰쥐에게 투여하였을 때 혈당강하 효과는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당뇨로 인해 유발 된 DNA 손상정도가 정상수준까지 뚜렷하게 감소함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부분적으로 차가버섯의 항산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으로 차가버섯을 이용하여 당뇨환자의 DNA손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개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장암 세포암종 HCT-15 세포 및 위암 세포암종 AGS 세포에서 차가버섯 조성물에 의한 세포생육 억제 효과 (Cytotoxic Effect of Inonotus obliquus Composition in HCT-15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AGS Gastric Cancer Cells)

  • 차재영;전병삼;문재철;유지현;조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33-640
    • /
    • 2004
  • 녹차분말을 포함하는 차가버섯 조성물의 수용성 추출물에 의한 인체 위암 세포 AGS 및 대장암 세포 HCT-15, 그리고 마우스 정상세포 NIH3T3 fibroblast의 세포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세포 수 측정방법과 MTT assa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차가버섯 조성물의 수용성 추출물은 인체 대장암 세포주 HCT-15와 위암 세포주 AGS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실험조건 하에서 마우스 정상 세포주 NIH3T3은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차가버섯 조성물의 수용성 추출물은 정상세포에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위암 및 대장암 세포에는 높은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차가버섯 추출물의 항암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cancer Activity of Chaga Mushroom Extract)

  • 문병혁;이원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12
    • /
    • 2009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on and anti-cancer activity of Chaga mushroom extract. Extraction condition optimization and beta-glucan analysis and anti-cancer activity tests were also done. Methods: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for Chaga mushroom extract were at a temperature of $90^{\circ}C$ and 2hrs with 10 times of water. Extraction yield and economics were best under these conditions. Results: Anti-oxidation activity was the highest with the fraction of 100,000 MWCO and $IC_{50}$ value was $13{\mu}g/ml$ and this value was comparable to that of vitamin E, alpha-tocopherol. Among the fractions from various organic solvents,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on activity with $IC_{50}$ value of $7{\mu}g/ml$. For anti-cancer activity, chloroform fraction showed little anti-cancer activity and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best anti-cancer activity with $IC_{50}$ $1.5{\mu}g/ml$ for stomach cancer cells. Anti-cancer activities for different molecular weight fractions were the best in the fraction of molecular weight less than 100,000Da, and $IC_{50}$ values for stomach cancer cells and liver cancer cells were 1.7 and $1.4{\mu}g/ml$, respectively.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e extract of Chaga mushroom could be a good source for functional food and natural anti-cancer medicine.

  • PDF

감마선 조사된 차가버섯 추출물의 암세포 활성 억제 (Tumor Cell Cytotoxicity of Gamma Irradiated Chaga Mushroom Extract)

  • 성낙윤;최종일;송범석;김재경;이주운;김진규;변명우;김미정;김재훈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39
    • /
    • 2011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tumor cell cytotoxicity of gamma irradiated Chaga mushroom extract (CME). CME was prepared by hot water extraction at $70^{\circ}C$ for 4 hours and lyophilized. $Ten\;mg\;ml^{-1}$ of lyophilized CME powder was dissolved with deionized water and then irradiated at the doses of 10, 50, 100, and 150kGy by cobalt 60 gamma irradiator. The gamma-irradiated and non-irradiated CME were treated into the cancer cell, including human stomach cancer and human colon cancer. Cytotoxicity against the cancer cell was increased in gamma-irradiated CME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also increased in gamma-irradiated CME, as irradiation dose increased.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gamma irradiation was effective method for improvement of the cancer cell cytotoxic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aga mushroom extract.

방사선 조사된 차가버섯 열수 추출물의 비장세포 증식능 및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Cytokine Production of Chaga Mushroom Hot Water Extract)

  • 성낙윤;김재훈;최종일;송범석;김재경;박종흠;김진규;이주운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9-173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immune enhancing activity of Chaga mushroom extract (CME). CME was prepared by hot water extraction at $70^{\circ}C$ for 4 hours and lyophilized. Lyophilized CME powder was dissolved with deionized water at $10mg\;ml^{-1}$ and then irradiated at the doses of 10, 30 and 50 kGy by cobalt 60 gamma irradiator. The gamma-irradiated and non-irradiated CME were treated into the splenocyte separated from mouse. Cell proliferation and cytokine production of the immune cells were increased by gamma-irradiated CME and these increases were more prominent when CME was irradiated at higher dos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gamma irradiation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ement of the immunomodulating activity Chaga mushroom extract.

차가버섯 추출물에 의한 신경교모세포종 U-87 MG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 (Inhibition Effect of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by Inonotus obliquus in Human Glioblastoma U-87 MG Cells)

  • 신정아;박주현;김선희;송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22-1028
    • /
    • 2013
  • 러시아에서 여러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차가버섯은 대장암, 위암 등에서 항암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뇌종양에 대한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차가버섯의 항암 효능에 대한 기전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경교모세포종 U-87 MG 세포주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세포생존율 변화와 형태학적 변화,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과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 및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차가버섯 추출물을 처리한 U-87 MG 세포 생존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Bcl-2, Bax와 p-p53 단백질 수준차이는 없었고 caspase-3 활성에 영향을 미쳐 죽음 수용체 경로에 의한 세포사멸이 이루어졌다. 또한 세포주기를 관찰한 결과 $G_0/G_1$ 세포주기에서 성장 억제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cyclin D1, CDK2 단백질 발현량의 감소와 RB 단백질의 인산화 억제 때문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차가버섯을 뇌종양의 치료 및 보조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용 버섯류에서의 인공 방사능 농도 조사 (Monitoring of Artificial Radionuclides in Edible Mushrooms in Korea)

  • 조한길;김지은;이성남;문수경;박용배;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88-494
    • /
    • 2018
  • 경기도내 유통되는 식용 버섯류의 방사능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버섯 종류별, 원산지별 샘플을 수거하여 방사능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버섯류 10종(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새송이버섯, 양송이버섯, 팽이버섯, 상황버섯, 차가 버섯, 목이버섯, 영지버섯, 송이버섯) 총 284건을 수거하여 방사능 검사를 수행하였다. 인공방사성물질인 131I, 134Cs 와 137Cs의 방사능 농도는 감마선 측정 장비로 분석하였다. 모든 버섯 샘플에서 131I과 134Cs은 MDA 값 이상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국내산 204건 중 총 6건(표고버섯 3건, 영지버섯 1건, 송이버섯 2건)에서 137Cs이 0.21~2.58 Bq/kg 검출되었고, 수입산 80건 중 총 38건(차가버섯 22건, 상황버섯 14건, 표고버섯 1건, 송이버섯 1건)에서 137Cs이 0.21~53.79 Bq//kg 검출되었다. 그리고 차가버섯을 이용한 가공품 10건에서는 건조 차가버섯에 비해 평균 2배 이상의 137Cs가 검출되었고, 최고 123.79 Bq/kg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식품안전 확보를 위해 일부 수입 버섯류와 가공품에 대한 방사능검사 강화와 함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