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ff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초

실내실험을 통한 밭의 볏짚거적과 토양개량제 적용효과 모의 (Simulation of application effect of Rice Straw Mats and Soil Amendments using small scale plots)

  • 신민환;원철희;박운지;이수인;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894-898
    • /
    • 2012
  • 본 연구는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하여 기존의 볏짚거적을 이용한 저감방법에 PAM과 Gypsum을 처리하였을 때, 표면유출량과 기저유출량, 유사량 그리고 탁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인공강우 시험기와 토양상자를 이용한 실내실험을 통하여 지표피복재의 종류와 강우강도 그리고 경사도에 따른 직접유출량과 유사량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경사도 (10 %, 20 %)와 강우강도 (30 mm/hr) 그리고 지표피복재의 종류에 따라 실험처리를 하였으며, 지표피복재는 볏짚(Rice straw mat)+PAM (Polyacrylamide)+Gypsum, 볏짚+PAM+톱밥 (Sawdust)+Gypsum, 볏짚+PAM+왕겨 (Chaff)+Gypsum으로 구분하여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볏짚을 이용한 다양한 피복소재를 이용해 지표를 피복할 경우, 대조구(나지)에 대비 유출수량, 토양유실 그리고 탁도 저감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를 피복한 처리구의 평균 표면 유출수량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72~85.6 %가 저감되었다. 그러나 동일조건의 Gypsum을 첨가하지 않은 연구와 비교 시 Gypsum의 혼용으로 인한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분화된 강우강도와 경사도 조건에 따른 실험이 필요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할 때, 지표의 피복과 토양개량제를 첨가하는 방법은 강우 시 발생하는 표면유출수와 유사 그리고 탁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최적영농관리방법 (Best management practice)의 하나로 판단된다.

  • PDF

연구용 X-band 이중편파 레이더를 이용한 강수정량추정 및 대기수상체 분류 사례분석 (Rainfall estimation and Hydrometeor classification with the NIMR X-POL radar)

  • 강미영;남경엽;허솔잎;최재천;최영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7-277
    • /
    • 2012
  • 국립기상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는 기상청 이중편파 레이더 현업운영에 대비하여 2009년 X-band 연구용 이중편파 레이더를 도입하였고, 편파변수의 산출과 대기수상체 분류를 포함한 강수추정 등의 효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지난 2년간 수행하고 있다. 이중편파 레이더는 반사도( )뿐만 아니라 차등반사도($Z_R$), 비차등 위상($K_{DP}$), 상관계수($_v$)등의 편파 변수의 산출로 강우감쇠보정과 기상에코-비기상의 에코(ground clutter, insects, birds, chaff)의 구별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들을 이용해 레이더 자료품질 개선과 정량적 강수추정의 상당한 개선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추정 관계식 R-Z, 감쇠 보정된 R-Z, R-$K_{DP}$ 관계식을 이용하여 레이더 관측 반경 내에 존재 하는 81개의 지상 우량계 자료와 강수량 추정의 정확도 비교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Fuzzy logic 기법을 이용한 대기수상체 분류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관측사례는 2011년 수도권 관측을 통해 강설/강수 에코 구별과 우박에코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이중 편파 레이더에서 산출된 고품질의 레이더기상자료를 기반으로 현업 예보지원 및 정량적 강우예측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추적 레이다의 대전자전 설계 (ECCM Design of Tracking Radar)

  • 김홍락;이만희;박성호;김윤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51-57
    • /
    • 2024
  • 추적 레이다 시스템은 대양에서 운용 중인 함정 표적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표적을 탐색, 탐지하여 추적하는 펄스방식의 추적 시스템이다. 함정에서는 추적 레이다를 혼란 또는 기만하기 위한 소프트 킬 동작을 통하여 스스로를 방어한 다. 소프트 킬 동작에는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채프 등이 있고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잡음 재밍 등 여러 동작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함정에서 운용중인 다양한 기만체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각의 기만체계를 대응하기 위한 레이다 시스템 설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Effect of Energy Supplementation on Intake and Utilisation Efficiency of Urea-treated Low-quality Roughage in Sheep II. Rumen Kinetics and Acetate Clearance Rate

  • Migwi, P.K.;Godwin, I.;Nolan, J.V.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6호
    • /
    • pp.774-780
    • /
    • 2011
  • Inadequate supply of glucose or glucogenic substrates to the body tissues can affect metabolism of absorbed acetogenic metabolites from the gut and therefore, influence feed intake in rumina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nergy supplementation on rumen kinetics in the gut, and the acetate clearance rate in the body tissues of sheep fed low quality basal roughage. A basal diet consisting of urea-treated mixture of wheaten chaff and barley straw (3:1 DM) containing 22.2 g N/kg DM was used. Four Merino cross wethers weighing $45{\pm}4.38\;kg$ fitted with permanent rumen and abomasal cannulae were allocated to four treatments in a $4{\times}4$ LSD. The treatments were basal diet ($E_0$), or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sucrose (112.5 g/d) administered intraruminally ($E_R$), abomasally ($E_A$), or via both routes (50:50) ($E_{RA}$). There was no difference (p>0.05) in the rumen liquid kinetics parameters between the four dietary treatments. However, there was a trend of animals supplemented with sucrose wholly or partly through the abomasum having lower faecal DM and therefore poor pellet formation, and low pH. Although the glucogenic potential of the fermentation products absorbed from the rumen was increased (p<0.001) by intra-ruminal supplementation with sucrose ($E_R$ and $E_{R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acetate clearance rate between the four dietary treatments.

수도에 살포한 Fenitrothion의 부위별 잔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bsorption and Accumulation of Fenitrothion in Rice Plants)

  • 박승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9-33
    • /
    • 1975
  • 저항성유기인계농약인 fenitrothion 유제를 8개품종이 수도체에 살포시용하고, 부착 및 침투된 주성분의 경시적변화와 곡위중의 집적잔류량을 GLC로 분석, 검토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FTD/GLC에 있어서 $10\%$ Silicone DC-200 column으로 nano-gram 이하까지 fenitrothion 주성분의 검출이 가능한 조작조건을 밝혔다. 2) 출수전의 수도체에 $0.1\%$ fenitrothion을 반당 20l의 농산로 살포한 바, 전엽에 평균 15.32ppm이 부착, 24시간후에 1.67ppm(약 $11\%$)이 잔존하였고, 살포 24시간후의 침투량은 6.75ppm($44\%$)으로, 24 시간경과후 2.61ppm($39\%$이 잔존하고 그후의 감소는 완만하며, 침투분의 잔존율이 높았다. 3) 엽신과 엽초별 침투량은 엽신이 월등히 높았으나 잔존율은 비등하였고, 침투 3일이내에 급격한 감소(약$90\%$)를 보이고, 그 후는 완만한 감소로 10일후에는 약 $3\%$의 잔존율을 유지하였다. 4) 곡위중의 fenitrothion 잔류량은 왕겨에 0.02-0.05ppm(평균 0.04ppm), 현미에 0.01 ppm-0.02ppm(평균 trace)수준으로 왕겨중함량의 약 $22\%$ 해당하며, WHO/FAO의 권고잔류허용량 (과채류는 0.1-0.5 ppm, 곡류는 미설정)에 훨씬 미달되는 수치였다.

  • PDF

농축산폐기물(農畜産廢棄物)의 퇴비화(堆肥化)에 관한 기초적(基礎的) 연구(硏究) (Basic Study Of Composting on Agricultural Animal Waste)

  • 정봉수;강용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27-34
    • /
    • 1985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농축산(農畜産) 폐기물(廢棄物)인 돈분(豚糞)에 짚, 톱밥, 포장지(包裝紙) 등(等)을 첨가물(添加物)로 혼합(混合)하여 속성(速成) 퇴비화(堆肥化)하는데 중요(重要)한 작용(作用)을 하는 함수율(含水率), 송풍량(送風量), pH, 공극률(孔隙率) C/N 비(比) 등(等)에 대(對)한 최적치(最適値)의 범위(範圍)를 규명(規明)하고자 제작(製作)된 소형(小型) 회분식(回分式) 실험장치(實驗裝置)에 혼합물(混合物)을 투입(投入)한 후(後) 1주간(週間)씩 연속(連續) 호기성분해(好氣性分解) 실험(實驗) 행(行)하였다. 실험결과(實驗結果)에 의(依)하면 만족(滿足)한 퇴비화(堆肥化)가 이루었을 때의 투입시(投入時) 함수율(含水率)은 50~65%이었고, pH는 7~8이었다. 또한, 이 때의 송풍량(送風量)은 $0.7{\sim}2.0l/min{\cdot}kg-vm$ 이었고, 최고(最高) 온도(溫度)는 $70^{\circ}C$에 도달(到達)하였다. 한편, C/N 비(比)가 110 인 톱밥과 102.50 인 포장지(包裝紙)는 속성(速成) 퇴비화(堆肥化)를 이룰 수가 없었으며 가장 적당(適當)한 C/N 비(比)의 범위(範圍)는 60~70 이하(以下)로 나타났다. $CO_2$ 발생량(發生量)의 변화(變化)에 따라 미생물(微生物)의 활동상태(活動狀態)를 알 수 있었고, $45{\sim}53^{\circ}C$ 범위(範圍)에서 $CO_2$ 발생량(發生量)이 65~85 mg/hr-vm 최대(最大)를 이루었다.

  • PDF

사양토성 Lysimeter에서 살균제 $^{14}C-Propiconazole$의 행방 (Behaviour of Fungicide $^{14}C-Propiconazole$ in a Lysimeter of Sandy Loam)

  • 김인선;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3호
    • /
    • pp.253-257
    • /
    • 1998
  • 사양토성 lysimeter에서 살균제 $^{14}C-propiconazole$의 행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벼 이앙 15일 후 $^{14}C-propiconazole$을 0.12 kg/10a 수준으로 lysimeter 토양표면에 처리한 후 시기별로 용탈수, 토양 및 휘발성분중 방사능을 조사하였다. 약제처리 후 16주간 lysimeter토양에서 용탈된 방사능은 처리 방사능의 4.4%였으며, 대부분의 방사능은 모화합된 형태이었다. 약제처리 16주 후 토양에 잔류하는 방사능은 처리 방사능의 76.5%였으며 97% 이상이 토양표층 깊이 20 cm 이내에 존재하였다. Lysimeter 토양에서 생성된 $^{14}CO_2$는 처리 방사능의 7.8%였다. 벼 수확 후 볏짚에 잔류하는 방사능은 처리량의 7.2%였으며 지엽, 벼이삭, 왕겨 그리고 현미에서는 각각 0.1% 이하를 나타내었다.

  • PDF

볏짚거적과 토양개량제를 이용한 강우유출 모의 (Simulations of Runoff using Rice Straw Mats and Soil Amendments)

  • 원철희;신민환;최용훈;신재영;박운지;최중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2호
    • /
    • pp.95-102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xperimentally test the effect of rice straw mats on the reduction of runoff, sediment discharge and turbidity under a laboratory scale. We used the small runoff plots of 1 m ${\times}$ 1 m ${\times}$ 0.65 m ($L{\times}W{\times}H$) in size filled with loamy sand.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bare (control), rice straw mat cover of straw mats + PAM + Gypsum (SPG), rice straw mats + Chaff + PAM + Gypsum (SCPG) and rice straw mats + Sawdust + PAM + Gypsum (SSPG); slope of 10 % or 20 %; and rainfall intensity of 30 mm/hr. Runoff volume and rate of covered plo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plot. Average runoff rate of covered plots, slope of 10 % and 20 %, decreased 85.6 % and 72 % in respectively. Sediment reduction ratio was more than 99 % regardless of slope. The differences runoff and sediment discharge among different cover materials were not significant. It was also shown that even if runoff reduction by surface cover were low, sediment discharge reduction could be very significant and contribute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streams in sloping agricultural reg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use of straw mat and soil amendments (PAM and Gypsum) on sloping agricultural fields could reduce soil erosion and muddy runoff significantly and help improve the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in receiving waters. But mixing effect of PAM and Gypsum was minimal.

축산폐기물의 고형연료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that livestock waste to RDF)

  • 김성중;이제학
    • 유기물자원화
    • /
    • 제21권2호
    • /
    • pp.51-5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축산폐기물과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펠릿연료의 성분 분석과 연소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축산폐기물을 이용한 고형 연료 특성 분석 결과 삼성분, 원소분석 및 발열량 등에 있어 고형연료화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분의 경우 다량의 K, P, Na 등이 함유되어있어 토양개량제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축분만을 이용할 경우 낮은 발열량으로 인하여 연료로서의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농가의 수분조절용으로 사용되는 왕겨 및 톱밥과 같은 고발열물질의 혼합 성형하여 발열량과 초기점화성을 높일 경우 충분히 연료로써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Parallel Processing of the Fuzzy Fingerprint Vault based on Geometric Hashing

  • Chae, Seung-Hoon;Lim, Sung-Jin;Bae, Sang-Hyun;Chung, Yong-Wha;Pan, Sung-Bum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4권6호
    • /
    • pp.1294-1310
    • /
    • 2010
  • User authentication using fingerprint information provides convenience as well as strong security. However, serious problems may occur if fingerprint information stored for user authentication is used illegally by a different person since it cannot be changed freely as a password due to a limited number of fingers. Recently, research in fuzzy fingerprint vault system has been carried out actively to safely protect fingerprint information in a fingerprint authentication system. In addition, research to solve the fingerprint alignment problem by applying a geometric hashing technique has also been carried ou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hardware architecture for a geometric hashing based fuzzy fingerprint vault system that consists of the software module and hardware module. The hardware module performs the matching for the transformed minutiae in the enrollment hash table and verification hash table. On the other hand, the software module is responsible for hardware feature extraction. We also propose the hardware architecture which parallel processing technique is applied for high speed processing.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we confirmed that execution time for the proposed hardware architecture was 0.24 second when number of real minutiae was 36 and number of chaff minutiae was 200, whereas that of the software solution was 1.13 second. For the same condition, execution time of the hardware architecture which parallel processing technique was applied was 0.01 second. Note that the proposed hardware architecture can achieve a speed-up of close to 100 times compared to a software based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