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evisiae

검색결과 1,655건 처리시간 0.024초

대두유에서의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혼합배양에 관한 연구 (Study on Mixed Culture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in Soymilk)

  • 유주현;오두환;공인수;박영서;임홍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1-135
    • /
    • 1988
  • Lactobacillus acidophilus KFCC12731과 Saccharomyces cerevisiae KFCC32017을 두유 배지에 접종하여 산생성 조건을 검토하였다. L. acidophilus를 단독배양하는 것보다 S. cerevisiae와 혼합배양하는 것이 산생성이 많았다. 이 두 균을 대두유 배지에 혼합배양하였을 경우 최적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두유에 sucrose를 1,5% 또는 skim milk를 2.0~3.0% 첨가하고 L. acidophilus와 S. cerevisiae의 접종비율은 OD 600 값으로 3 : 7~8 : 2가 되게 접종하여 34$^{\circ}C$에서 12시간 이상 배양할 때 산생성이 최대가 되었다.

  • PDF

분리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MF10003의 빵반죽 발효 팽창력 (Leavening Ability of the Isolate Saccharomyces cerevisiae MF10003 in Bakery Dough)

  • 오정석;민응기;안창현;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2-227
    • /
    • 2013
  • 건포도 발효 배양액으로부터 이산화탄소 생성능이 우수한 효모를 분리하였다. 분리 효모는 18S rDNA ITS 유전자 상동성을 비교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동정하고 Saccharomyces cerevisiae MF10003로 명명하였다. 분리 효모 S. cerevisiae MF10003은 풍미 발생 야생효모인 S. ellipsoideus KCTC7243에 비하여 각각 1.9배 및 3.1배 우수한 이산화탄소 생성능 및 dough 발효 팽창능을 나타냈었다. 분리 효모는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를 기질로 하여 4시간 이내에 이산화탄소 발생력을 보여 주었다.

야생 효모의 분리.동정 및 이를 이용한 포도주 제조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Wild Yeast and Its Use for the Production of Grapewine)

  • 김정인;이남근;함영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17-221
    • /
    • 2007
  • 거봉 포도로부터 분리하여 동정한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IJ850을 이용, 국내산 캠벨얼리와 거봉포도를 발효시켜 적포도주를 제조하고, 이의 발효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포도주제조용 발효균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야생발효균주의 분리를 위하여 안성지역 거봉포도와 캠벨얼리 포도즙을 실온에서 6일 동안 스타터의 첨가없이 자연발효시켜 우세균주를 분리하였다. 거봉에서 분리된 효모의 발효능이 캠벨얼리에서 분리된 효모보다 1.8배정도 높았다. 거봉에서 분리한 발효균주를 분자 생물학적 인 방법 인 26S rDNA 염기서열에 근거하여 동정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와 99.7%의 유사성을 나타내어 Saccharomyces cerevisiae IJ850으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를 이용한 포도주의 제조에서는 캠벨얼리와 거봉포도즙의 최종 당도를 $25^{\circ}Brix$로 포도당을 이용하여 보당하고, 이산화탄소를 발효조에 채우고, 실온에서 10일간 발효시켰다. 포도주의 수율은 캠벨얼리가 75%, 거봉이 85%였고 최종 알코올 도수는 캠벨얼리가 11.0%, 거봉이 13.0%이었다. 산업용발효균주인 S. cerevisiae EC-1118과 비교한 결과 총산도는 캠벨얼리와 거봉포도주 모두에서 산업용 발효균주인 EC-1118에 비하여 분리한 S. cerevisiae IJ850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다. 포도주의 pH와 색도 분석에서는 S. cerevisiae IJ850과 S. cerevisiae EC-1118로 제조한 포도주모두에서 비슷한 수치를 보여주었으나, 페놀 성분분석에서는 S. cerevisiae EC-1118로 제조한 캠벨얼리 포도주에서 125 mg/L의 함량을, S. cerevisiae IJ850으로 제조한 거봉포도주에서 75 mg/L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국내 거봉포도로부터 분리한 S. cerevesiae IJ850는 포도주 생산에 사용될 수 있는 균주로써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Elucidation of Copper and Asparagine Transport Systems in Saccharomyces cerevisiae KNU5377 Through Genome-Wide Transcriptional Analysis

  • KIM IL-SUP;YUN HAE SUN;SHIMISU HISAYO;KITAGAWA EMIKO;IWAHASHI HITOSHI;JIN INGNY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6호
    • /
    • pp.1240-1249
    • /
    • 2005
  • Saccharomyces cerevisiae KNU5377 has potential as an industrial strain that can ferment wasted paper for fuel ethanol at $40^{\circ}C$ [15, 16].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ain, genome-wide expression was performed using DNA microarray technology. We compared the homology of the DNA microarray between genomic DNAs of S. cerevisiae KNU5377 and a control strain, S. cerevisiae S288C. Approximately $97\%$ of the genes in S. cerevisiae KNU5377 were identified with those of the reference strain. YHR053c (CUP1), YLR155c (ASP3), and YDR038c (ENA5) showed lower homology than those of S. cerevisiae S288C. In particular, the differences in the regions of YHR053c and YLR155c were confirmed by Southern hybridization, but did not with that of the region of YDR038c. The expression level of mRNA in S. cerevisiae KNU5377 and S288C was also compared: the 550 ORFs of S. cerevisiae KNU5377 showed more than two-fold higher intensity than those of S. cerevisiae S288C. Among the 550 ORFs, 59 ORFs belonged to the groups of ribosomal proteins and mitochondrial ribosomal proteins, and 200 ORFs belonged to the group of cellular organization. DIP5 and GAP1 were the most highly expressed ge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upregulated DIP5 and GAP 1 might take the place of ASP3 and, additionally, the sensitivity against copper might be contributable to the lowest expression level of copper-binding metallothioneins encoded by CUP 1a (YHR053c) and CUP1b (YHR055c) in S. cerevisiae KNU5377.

산업용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Aspergillus awamori Glucoamylase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Aspergillus awamori Glucoamylase Gene in an Industrial Strai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 강동명;이수아;전영현;진종언;이황희;배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6-151
    • /
    • 2005
  • 전분 이용이 가능한 산업용 Saccharomyces cerevisiae균주를 개발하기 위해 alcohol dehydrogenase 유전자 프로모터(ADClp)의 조절하에 발현되는 Aspergillus awamori glucoamylase cDNA 유전자(GA1)를 산업용 S. cerevisiae의 염색체에 도입하였다. 산업적 이용에 적합한 효모균주를 얻기 위해 세균 ampicillin 저항성 유전자가 제거되고 GA1 유전자와 선별 표지유전자로 S. cerevisiae aureobasidin A 저항성 유전자(AUR1-C)와 재조합 부위로 Tyretrotransposon $\delta$-서열이 포함된 integrative cassette를제조하였다. 이 $\delta-integrative$ cassette로 형질전환된 산업용 S. cerevisiae는 배지상에 glucoamylase를 생산 분비하였고 전환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하였다. 형질전환체를 비선택배지에서 배양했을 매 삽입된 GA1유전자가 100세대까지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YRp7 vector를 이용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ylase gene의 cloning I I.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발현 (Cloning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ylase gene using YRp7 as a vector II. Expression of cloned amylase gen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서정훈;김영호;전도연;배영석;홍순덕;이종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3-218
    • /
    • 1986
  • B. amyloliquefaciens의 $\alpha$-amylase 유전자가 S. cerevisiae 내에서 형질발현하는 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YRp7 plasmid에 B. amyloliquefaciens amylase유전자를 cloning하여 만든 pEA24를 형질전환시켰다. 먼저 YRp7 plasmid를 이용하여 형질전환 최적 조건을 검토하여 본 바, PH 7과 8사이, 반응온도 3$0^{\circ}C$에서 40%의 polyethylene glycol(MW 4,000)을 처리한 후 2 %의 agar를 함유한 재생배지에 중층도말 하였을 때 형질전환율이 가장 높았다. 형질전환주로부터 생성된 amyl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S. cerevisiae에서 약간의 amylase활성을 나타내어 최고 B. amyloliquefaciens의 2% 정도였고, 세포외효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들 형질전환 주가 가지고 있는 pEA24 plasmid의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YRp7보다 불안정하였으며, 추출한 DNA를 전기영동하여 그 band를 확인하였다.

  • PDF

Zymolyase-20T에 대한 Saccharomyces cerevisiae D-71과 Zygosaccharomyces rouxii SR-S의 감수성 (Susceptibility of Saccharomyces cerevisiae D-71 and Zygosaccharomyces rouxii SR-S to Zymolyase-20T)

  • 정창기;김찬조;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6-141
    • /
    • 1988
  • 고온 발효성인 Saccharomyces cerevisiae D-71과 내삼투압성인 Zygosaccharomyces rouxii SR-S를 여러 조건에서 배양하여 Zymolyase-20T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Sacch. cerevisiae D-71의 glucan과 mannan 함량은 각각 l4.5%와 14.8% 이었고 Zygosacch. rouxii SR-S는 24.0%와 19.0% 이었다. 0.5% methionine 과 0,1% glucose를 함유한 wickerham 합성배지에 Sacch. cerevisiae D-71를 배양하여 얻은 세포의 Zymolyase-20T에 대한 감수성은 66% 이었고 $K_2$HPO$_4$와 aminobenzoic acid를 결핍시켰을 때 감수성이 가장 낮았다. 또한 0.5% peptone과 o.15% methionine 및 0.1% glucose를 함유한 wickerham 합성배지에 Zygosacch. rouxii SR-S를 배양하여 얻은 세포의 감수성은 80% 이었고 KI와 pyridoxine을 결핍시켰을 때 감수성이 가장 낮았다. $25^{\circ}C$에서 YMPG 배지에 Sacch. cerevisiae D-71를 접종하여 12시간 정치배양한 세포의 Zymolyase-20T에 대한 감수성은 76% 이었고 Zygosacch. reuxii SR-S를 같은 조건으로 30시간 배양한 세포의 감수성은 82%로서 wickerham 합성배지에서의 감수성보다 더 좋았다.

  • PDF

Neurospora crassa 유전자에 의한 Saccharomyces cerevisiae coq7 돌연변이의 회복 (Restor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coq7 Mutant by a Neurospora crassa Gene)

  • 김은정;김상래;이병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33-942
    • /
    • 2003
  • Coenzyme Q은 긴 isoprenoid 사슬을 갖는 quinone의 유도체이다. Coenzyme Q는 진핵생명체의 미토콘드리아의 내막과 원핵생명체의 세포막에 위치하는 전자전달계에 존재하는 지용성 물질이며, 또한 항산화제로의 기능도 갖는다. Coenzyme Q는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호기적 성장에 필수적이며, coq 돌연변이체는 발효가 불가능한 탄소 원에서의 성장이 불가능하다. S. cerevisiae의 $coq^7$p 효소들과 유사성을 나타내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Neurcspora crassa cDNA를 효모의 발현 벡터에 삽입하였다. N. crassa COQ7의 예상 서열은 S. cerevisiae의 효소와 58% homology를 보였다. N. crassa $coq^{-7}$ 유전자의 S. cerevisiae $coq^7$ 형질전환체는 야생형 균주와 유사한 성장률을 보였다. 형질전환 균주들은 발효가 불가능한 탄소원인 글리세롤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배양하였을 경우에도 정상적인 성장을 나타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인 linolenic acid를 성장 배지에 첨가하여도 야생형 균주와 유사한 생존율이 관찰되었다.

Saccharomyces cerevisiae D-71과 Zygosaccharomyces rouxii SR-S로부터 조제한 원형질체의 안정성 (Stability of Spheroplasts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D-71 and Zygosaccharomyces rouxii SR-S)

  • 정창기;김찬조;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3-296
    • /
    • 1988
  • 고온발효성인 Sacch. cerevisiae D-71과 내삼투압 성인 Zygosacch. rouxii SR-S의 원형질체를 조제하고 분리하여 그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Sacch. cerevisiae D-71의 원형질체는 0.8M KCI 과 1.0M sorbitol에서, Zygosacch. rouxii SR-S의 원형질체는 0.4M KCI과 mannitol에서 가장 안정하였고 두 효모의 원형질체들을 20Kc로 60초간 초음파 처리하였을 때 90% 이상이 파괴되었다. 또한 10000$\times$g로 10분간 처리하였을 때 Sacch. cerevisiae D-71의 원형질체는 93%, Zygosacch. rouxii SR-S의 원형질체는 84%의 안정성을 보였고 이들 원형질체들을 15W의 자외선 등으로 20cm에서 60분간 처리하였을 때 Sacch. cerevisiae의 원형질체는 99%, Zygosacch. rouxii SR-S의 원형질체는 55%가 파괴되었다.

  • PDF

메주에서 분리한 고온성 효모 Sccharomyces cerevisiae OE-16 의 생리적 특성과 알코올발효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thanol Fermentation of Thermotolerant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OE-16 from Traditional Meju)

  • 김나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90-495
    • /
    • 1999
  • A thermotolerant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OE-16 was isolated from traditional Meju was investigated on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thanol fermentation ability. Saccharomyces cerevisiae OE-16 were able to grow up to 45$^{\circ}C$ and 40% of glucose. Saccharomyces cerevisiae OE-16 was also resistant to 15% of KCl 1,200ppm of Pb2+, Hg2+ and 500ppm of potassium sorbate. From 20% glucose media Saccharomyces cerevisiae OE-16 produced 83.4g per liter of ethanol at 3$0^{\circ}C$ and 9.5g per liter of ethanol at 4$0^{\circ}C$ for 72 hou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