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 extension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31초

슬림 핏(Slim-fit) 드레스 셔츠 패턴 설계를 위한 3D Body Scan Data 활용에 관한 연구 -40대 남성을 중심으로- (3D Body Scan Data Analysis for the Slim-fit Dress Shirts Pattern Design -Focused on the 40s Male-)

  • 신경희;서추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7-109
    • /
    • 2014
  • This study developed a functional dress shirt for adult males that reflected the body surface variation of a human body section by motion. This study conducted a 3D body scan for 8 subjects in their 40's based on the Size Korea 2010 database. Data recorded the proper posture change value and body surface change value to develop functional dress shirts for adult males. We scanned the subjects with a 3D body scanner for five primarily male wearing dress shirts and operating postures, right standing, arms raised to $90^{\circ}$ horizontal forward position, arms raised $90^{\circ}$ to the horizontal position side, lift up the arm $180^{\circ}$, and arm forward $90^{\circ}$ in a bent posture. We analyzed the 3D scan data from those motions to examine change of length using 3D software Rapidform XO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ody surface sections with contraction were the front and rear shoulder area, armpit and central length as well the width of arms at more than 10%. The increased body section included the body and armpit back length; in addition, the rear arm vibration girth and under arm girth were more than 10%. In order to reflect the size variation of for each motion, the ease amount of the front and rear shoulder length and width needs to be reduced 20% because it affects the shoulder length during the right standing.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ase amount of the shoulder length should be minimal. The ease amount of the back size needs to be 0.5-2cm bigger and set 0.5-1.5cm longer than the dress shirt length side drooping to compensate for the side length shortage of each motion. The sleeve length needs to be 0-0.5cm shorter, and ease amount of the girth of sleeve bottom needs to be reduced 0-0.7cm due to the size variation of arms. However, the girth of the rear arms is suggested to be 0-0.6cm longer in the ease amount to the rear arm girth as the extension is more than 10% over the width and length of each motion.

함안군북지구(咸安郡北地區)의 지질(地質)과 동광상(銅鑛床) (Geology and Ore Deposits in the Haman-Kunbuk Copper District)

  • 문정욱;김명환;이지헌;최충정
    • 자원환경지질
    • /
    • 제3권2호
    • /
    • pp.55-73
    • /
    • 1970
  • The district investigated covers the central and southern portions of the Uiryong Quadrangle amounting to $40km^2$ in area and is bounded approximately by geographical coordinates of $128^{\circ}$ 28' $40^{{\prime}{\prime}}{\sim}128^{\circ}$ 24' 25"E in longitude and $35^{\circ}10{\prime}{\sim}35^{\circ}14^{\prime}06^{{\prime}{\prime}}N$ in latitude.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drawing up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of the copper ore deposits known to exist in the HamanKumbuk district with special emphasis given to the ascertainment of geological and paragenetic characteristics. The area consists chiefly of shale, sandy shale and chert, all belong to Kyongsang System of Cretaceous age. Intruded into these rocks are andesite, granodiorite, basic dikes, and acidic dikes. The mineralization which took place in the area, consists of mostly fissure-filling vein deposits, numbering several tens, with varying magnitudes. The fissures and shear zones created in rocks, such as chert and granodiorite, hosted the deposition of mineralizing vapors and/or hydrothermal solutions along their openings. The strike lengths of these veins vary from 50 to 600 meters in extension and 0.1 to 3 meters in width. Although the degree of fluctuation in width is great, it averages 0.3m. The stuctural patterns, which apparently affected the deposition of veins, are fissure patterns, trend NS to $N30^{\circ}W$, and steep-pitching tension fractures as well as normal fault pattern. Ore minerals associated with vein matters are primarily chalcopyrite and small amounts of scheelite, cobaltiferous arsenopyrite, and gold and silver intimately associated with sulphide minerals. Associated with these ore mineral are pyrite, pyrrhotite, magnetite, specularite and arsenopyrite. Gangue minerals noted are quartz, calcite, chlorite, tourmaline and hornblende. In terms of the compositions of associated minerals, the vein deposits in the district could be grouped under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1. Pyrrhoitite, Arsenopyrite, Gold and Silver Bearing Copper Vein (Type I) 2. Calcite-Scheelite-Copper Vein (Type II) 3. Magnetite-Pyrite-Copper Vein (Type III) 4. Tourmaline Copper Vein (Type IV) Of the four types, the first and the fourth are presently yielding relatively higher grades: of copper ores and concentrates. The estimated ore reserves total some 222,000 metric tons with the following breakdown in terms of metal contents: Name of Mines Au(g/t) Ag(g/t) Cu(%) Reserves(M/T) Kunbuk 15.92 78.69 6,074 60.498 Cheil Kunbuk - - 1.040 60,847 Haman - - 2.688 101,204 222,549 As rehabilitation of old workings and/or exploration of veins at depth proceed, additional estimation of ore reserves may become apparent and necessary. With regard to the problem of beneficiation and upgrading of low-grade ores in the district, it would be advisable to make decisions on location, treating capacity and mill flowsheet after sufficient amount of exploration is completed as suggested in the report.

  • PDF

시설하우스 폐양액의 토양 처리에 따른 질소 및 인의 이동 (Fate of Nitrogen and Phosphorous in Hydroponic Waste Solution Applied to the Upland Soils)

  • 양재의;박창진;유경열;김경희;옥용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2-13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폐양액의 토양 처리에 따른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고 혼합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토양 깊이에 따른 양분의 이동 및 농도 변화를 평가함으로써 폐양액이 토양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폐양액을 토양에 처리한 경우 토양 중 $H^+$ 이온과 폐양액의 양이온이 교환되어 토양을 통과한 폐양액의 pH와 EC는 감소하였다. 컬럼 시험 결과 폐양액의 EC, 암모늄테 질소 및 $K^+$는 컬럼 길이가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관주 횟수가 증가할수록 제거율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폐양액 중의 양분이 토양층을 통과하며 양이온교환용량을 포화시켰기 때문이며 따라서 토양의 양이온교환용량과 염기포화도는 폐양액의 처리 효율과 처리용량을 결정하는 주요인으로 판단되었다. 질산태 질소의 경우 초기 폐양액 농도의 약 2/3 정도가 감소하였고 컬럼 길이보다는 관주 회수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인산의 경우 제거효율이 높았으며 대부분이 고정화 혹은 침전 반응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추재배 포장에 폐양액을 처리한 경우 질소 및 인은 $NO_3-N>NH_4-N>PO_4-P$ 순으로 토양 용액에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질산태 질소의 경우 45 cm 깊이에서도 농도가 높게 나타나 지하수로의 이동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질산태 질소의 경우 폐양액의 토양 처리를 제한할 수 있는 주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인산의 경우 30 cm와 45 cm 모두에서 농도가 낮게 나타나 표층에서 대부분이 제거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인산 이온이 지하수로 유입될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내에서 선발한 Bacillus thuringiensis sp. aizawai 균주의 주요 나방류 해충에 대한 살충 활성 및 배양특성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Major Lepidopteran Pests and Culture Condi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sp. aizawai collected in Korea)

  • 이상계;최기현;이영수;오경석;오정훈;최성원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1-137
    • /
    • 2006
  • 충북, 충남, 강원도 일대에서 채취한 토양시료로부터 Bt 균주를 분리하고 이들 균주 중 세포내 내독소 단백질 결정체를 형성한 10개의 균주를 분리하여 균체생산수율과 살충력이 뛰어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서 배양 및 생물검정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배추좀나방에 대한 살충력은 물론이고,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한 살충력도 상대적으로 높고, 배추좀나방 저항성 계통에 대한 살충력이 우수하면서 균체량과 활성포자수가 많은 GB-413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의 상업적 생산 적용을 위해 배양특성 및 배양 공정 최적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탄소원인 초기 포도당 농도를 낮추어 포자형성이 유도되도록 배지조성을 변경하고 배양 중에 탄소원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배양공정을 변경한 결과, 포자형성율과 활성포자수가 증가하였고 포자형성시간 및 배양시간이 단축되었으며, 살충확성의 저하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렇게 최적화된 생산배지 및 공정을 5톤 발효조 배양에 최종 적용한 결과 유사한 배양결과를 얻어 상업화생산을 위한 대량배양의 가능성을 높여주었다.

돈분뇨를 기질로 활용한 고부가 가치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조건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growth conditions for cultivation of Phellinus linteus mycelia using swine waste as a growth substrate)

  • 구태완;이준엽;조경진;이장우;신승구;황석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3권2호
    • /
    • pp.53-60
    • /
    • 2015
  • 본 연구는 돈분뇨의 환경친화적인 생물전환 기술을 통해 자원화 가능성을 보았다. 돈분뇨는 높은 유기물 함량 때문에 자연계로 배출되었을 때 여러 환경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적절하게 처리함과 동시에 자원화 효과를 볼 수 있는 균사체 생물전환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돈분뇨의 균사체 생장의 생물배지로써 활용가능성을 보았고 통계 수학적 방법론을 접목시켜 생장 최적점 도출 통해 생물전환 효율을 높이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돈분뇨를 생물배지로 활용해 상황버섯 균사체의 고체배양 실험을 수행하였다. 독립변수로는 돈분뇨 농도, pH, 온도를 선정하였고 종속변수는 상황버섯 균사체 길이 생장으로 선정했다. 중심점 합성법을 통해 경험적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며 각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수치화하여 표현했다. 각 독립변수의 1차, 2차, 그리고 interaction 영향을 살펴보았다. 통계수학적 방법론을 통해 상황버섯 균사체의 최대 길이 생장을 찾았고 이는 돈분뇨 농도 5.0 g/l, pH 5.0, 온도 $29.7^{\circ}C$에서 2.78mm/hr 이라는 최대 길이 생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돈분뇨의 생물배지 활용 가능성이 입증되었고 고부가가치인 상황버섯 균사체로의 생물전환의 효율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Procarbamate계 살충제 benfuracarb의 산화적 활성화 과정을 통한 독성발현 (Toxic action of benfuracarb via oxidative bioactivation process by cytochrome $P_{450}$)

  • 유용만;김은향;김성문;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5-50
    • /
    • 2003
  • Procarbamate계 살충제인 benfuracarb의 산화효소계에 의한 활성화 과정과 이 과정을 통하여 생성되는 독성 대사물의 전환 정도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Acetylcholinesterase(AChE) 에 대한 henfuracarb의 이 분자속도저해상수$(k_i)$$1.1\times10^3\;M^{-1}\;min^{-1}$로 매우 낮은 저해력을 보인 바, 이 약제가 체내에서 독성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활성화 과정이 필수적임을 가정할 수 있었다. Benfuracarb의 활성화 과정에 관여하는 cytochrome $P_{450}$의 역할을 in vitro 에서 관찰하기 위하여 AChE/MFO coupling system을 사용하였다. AChE/MFO coupling system에서 AChE에 대한 저해력은 NADPH가 처리된 oxidase system이 NADPH 가 결핍된 대조구에 비하여 약 10배정도 증가하였으며, oxidase+PBO system 에서는 약간의 저해력 감소 경향이 관찰되었다. 생쥐에 henfuracarb을 처리한 후 brain AChE 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henfuracarb만 처리한 benfuracarb 처리구에서의 $I_{50}$은 22.7mg $kg^{-1}$이었으며, PBO를 전처리 한 후 henfuracarb을 처리한 benfuracarb+PBO 처리구에서는 $I_{50}$이 >100mg $kg^{-1}$으로 저해정도가 급격히 경감되어 benfuracarb의 활성화 과정에 cytochrome $P_{450}$이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icrosomal oxidase system 을 이용하여 henfuracarb이 독성 대사물인 carbofuran으로 전환되는 정도를 관찰하였다. Oxidase system 에서는 처리된 benfuracarb의 58.0%가 carbofuran으로 전환되었지만, oxidase+PBO system에서 1.7%만 생성되어 benfuracarb의 활성화과정에 산화효소인 cytochrome $P_{450}$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benfuracarb의 독성 발현에 관여하는 주된 독성 대사물은 carbofuran이며, 이 활성화 과정 에 cytochrome $P_{450}$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HP기법을 이용한 농식품 유통법인 경영진단지표 개발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es for Agro-food Distribution Corporations Based on the AHP Method)

  • 김동환;현종기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12호
    • /
    • pp.95-102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develop diagnostic indices for managerial performance of agro-food distribution corporations. In particular, weights of diagnostic indices were estimated using the AHP method. Management diagnosis on agro-food distribution corporations is expected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domestic market as well as in international marke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t develops weights or importance of the diagnostic indices based upon the survey of 21 experts in food distribution management. Th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e-mail. Management diagnostic indices were developed based upon four BSC(Balanced Scorecard) perspectives of finance, learning/growth/leadership, customer, and internal process/technology. Results - Diagnostic indices on financial perspective consist on profitability, productivity, growth, stability and activity. Learning and leadership perspective indices consist of management will, CEO leadership, level of learning, innovation, and leve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Customer perspective indices are branding, customer and channel management and internal process/technology indices consist of fourteen sub-indices representing technologies, efficiency, and dynamics. It was estimated that the weight of financial perspective index was 0.3, internal process/technology perspective index 0.248, customer category index 0.247, and learning, growth and leadership perspective index 0.205. This study also estimates weights of sub-indices for managerial diagnosis by four different perspectives. Estimated weight of profitability (0.085) is the greatest among financial perspective indices, followed by stability (0.072), growth (0.053), productivity (0.051), and activity (0.038). While estimated weights of leadership, capability, and information indices are 0.100, 0.061, and 0.044 respectively, weights of marketing, customer management, and quality and service indices are 0.104, 0.093, and 0.051, respectively. Among internal process/technology perspective, estimated weights of efficiency, technology, and innovation indices are 0.106, 0.088, and 0.054,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 diagnostic indices for managerial performance of agro-food distribution corporations would be utilized by agro-food distribution corporations themselves, extension service institutions, and consultants. It is also expected th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use diagnostic indices developed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effects of governmental support programs for agro-food distribution corporations. Futhermore researchers and consultants would modify diagnostic indices developed in this study, reflecting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of types of agro-food distribution corporations.

2014-2015년 국내 콩 들불병 발생 상황 (Incidence of Wildfire Disease on Soybean of Korea during 2014-2015)

  • 강인정;김승한;심형권;서민정;신동범;노재환;허성기
    • 식물병연구
    • /
    • 제22권1호
    • /
    • pp.38-43
    • /
    • 2016
  • 들불병은 콩의 주요 세균병 중 하나로 국내 콩 주요 재배지에서 꾸준히 발생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발생 정도에 대한 보고가 없었다. 국내 콩 주요 재배지에서 들불병 발병 정도를 2014년과 2015년 2년간 조사하였다. 2014년 전국 조사에서는 조사한 30지역 중 19지역(수원, 영월, 괴산, 단양, 태안, 공주, 부여, 김제, 순창, 고창, 무안, 장흥, 안동, 청도, 칠곡, 경주, 예천, 영천, 합천)에서 들불병 발생을 확인하였으며, 2015년 전국 조사에서는 조사한 28지역 중 9지역(수원, 영월, 평창, 인제, 괴산, 단양, 충주, 무안, 안동)에서 들불병 발생을 확인하였다. 재배되고 있는 품종, 지역, 기후 조건에 따라 들불병 발병 차이가 났다. 서리태는 2014년과 2015년 모두 감수성을 보였으며 강수량이 많았던 2014년에 들불병의 발생이 2배 이상 증가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들블병균이 잠재해 있으며 비슷한 온도에서는 강수량이 들불병의 발생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응표면 분석을 이용한 오미자 추출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rom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원영;최시영;이보수;박주석;김미자;오상룡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2-258
    • /
    • 2006
  • 오미자를 이용하여 음료 제조를 하기 위한 오미자 추출의 최적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 표면 분석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반응표면분석 결과 고형분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75^{\circ}C$이상 온도, $7{\sim}8$시간, 총산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75^{\circ}C$의 온도, $6{\sim}7$시간, 페놀성 화합물은 25배의 용매비, $80^{\circ}C$의 온도, $6{\sim}7$시간, 환원당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80^{\circ}C$ 이상의 온도, $6{\sim}8$시간, 비타민 C는 25배 이상의 용매비, $80^{\circ}C$의 추출 온도와 $5{\sim}6$시간의 추출조건에서 최적의 추출조건을 나타내었고, 탁도의 경우는 7시간에서 $60^{\circ}C$이상, 용매비는 25배 이상일 때 탁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간을 6시간으로 고정하여 각각의 추출조건에 따른 특성을 알아본 결과 Fig.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비타민 C, 환원당, 페놀성 화합물, 그리고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높고, 음료 제조 시에 강한 신맛을 주어 제조된 음료의 기호도에 좋지 못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총산의 양은 적은 지점을 임의적으로 정하여 최적 추출 조건으로 선정하였으며, 이 범위의 온도는 $65^{\circ}C$, 용매비는 25배로 예측한 결과 가용성 고형분은 2.2%, 비타민 C는 530 mg/g, 환원당은 479 mg/g, 페놀성 화합물은 260 mg/g, 총산의 함량은 190 mg/g, 탁도는 1.18 (O.D)로 나타났다. 결정한 최적 추출조건에서 오미자를 추출한 결과 고형분 1.9%, 비타민 C 451mg/g, 환원당 397 mg/g, 페놀성 화합물 260 mg/g, 총산의 함량 170mg/g, 탁도 1.20 (O.D)와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반응표면분석에서 예측한 것과 다소간의 양호한 결과로 나타났다.

한반도 주변 1000-hPa 고도장의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 of the 1000-hPa Height Fiel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정영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37-34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1000 hPa면 고도 자료 및 K-평균 군집분석법을 활용하여 한반도 주변 기압배치를 분류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군집의 기준으로 기압배치 공간 형태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패턴 상관계수를 사용하고, 유사성의 경계치로 0.8을 적용하여 대표적 기압배치 유형 11개를 얻었다. 이들은 시베리아 기단이 한반도 주변으로 장출하는 경로에 따라 3개, 북태평양 고기압의 중심 위치에 따라 3개, 시베리아 및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권에서 기압골이 나타나는 유형 2개, 그리고 봄가을에 주로 나타나는 이동성 고기압형으로 고기압의 장축방향에 따라 3개 등이다. 각 기압 배치 유형의 출현빈도로부터 추정한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기단의 출현비율은 시베리아 기단 55.4%, 북태평양 기단 29.3%, 양쯔강 기단 12.8%, 오호츠크해 기단 2.5% 순이며, 한반도는 대륙에서 기원한 기단의 영향이 68.2%로 지배적이다. 한반도 주변 기압계는 겨울 기압배치 유형과 여름 기압배치 유형이 각기 대륙과 해양에 발달하는 정체성 기단으로부터 확장되는 고기압을 중심으로 하여 대조적으로 출현하고, 봄가을의 이동성 고기압형은 이들의 변환 과정에서 나타난다. 근래 여름 북태평양 고기압의 한반도 출현빈도가 감소하고 있다. 그리고 겨울 기압배치 유형의 출현이 봄가을에 자주 나타나면서 기압골을 갖는 기압배치 유형의 출현빈도가 증가하고, 이동성 고기압형은 거의 모든 계절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