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uloid crow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강화형 strip crown의 사용 (GLASS FIBER REINFORCED STRIP CROWN IN PRIMARY TEETH)

  • 김대업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2-13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전치 심미수복의 새로운 방법으로 glass fiber를 이용한 강화형 strip crown의 사용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Strip crown의 제작을 위하여 celluloid crown form(3M, USA)과 복합레진은 Z100(P shade, 3M, USA)을, 유동성 복합레진은 Aeliteflo(Bisco Inc., USA)를 사용하였다. 상아질 결합제는 Clearfil SE Bond(Kuraray Medical Inc., Japan)를 사용하였고 강화를 위하여 그물형 glass fiber(TESCERA Fiber Mesh, Bisco Inc, USA)를 사용하였다. 적절한 크기의 celluloid crown form을 성형하여 삭제된 치아에 시적한 후 레진 접착제와 유동성 복합레진으로 처리한 그물형 glass fiber를 설측 내면에 삽입하고 광중합하였다. 잔여 공간에 복합레진을 채우고 치아에 끼운 다음 광중합하였다. 복합레진의 심미성은 유지하면서 glass fiber로부터 기계적 장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새로운 강화형 strip crown의 물성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PDF

유전치의 전장피개수복 : 증례보고 (FULL COVERAGE RESTORATION OF PRIMARY ANTERIOR TEETH : A CASE REPORT)

  • 홍기상;장기택;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0-247
    • /
    • 1999
  • 치아우식증, 외상, 발육성 결함으로 광범위한 수복이 필요한 유전치의 치료는 소아치과의사에게 있어 매우 까다로운 문제이다. 이상적인 수복술식은 강도, 내구성, 심미성과 장착의 효율성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이에 행동조절문제가 있는 어린이를 치료하는 기술적 문제를 더하면, 여러 가능한 수복 방법 중에서 적절한 술식을 선택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현재 사용되는 수복술식에는 복합레진의 접착을 사용한 celluloid strip crown, conventional stainless steel crown, open-faced stainless steel crown, commercially 및 chairside veneered stainless steel crown과 epoxy-coated stainless steel crown 등이 있다. 이 모든 술식이 나름대로의 기술적, 기능적 또는 심미적 단점을 갖고 있어 각각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적절한 선택이 중요하다. 이에 저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전장피개수복 방법을 사용해 유전치를 치료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유전치 기성 크라운의 형태 및 치질 삭제량 비교 (Comparison of Crown Shape and Amount of Tooth Reduction for Primary Anterior Prefabricated Crowns)

  • 김소영;임유진;이상호;이난영;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4-75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종의 기성 크라운 즉, 레진관, 레진피복 금속관,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크기와 형태를 3차원적으로 계측하여 자연치와 비교함으로써 기성 크라운의 크기 선택과 치질 삭제량에 대한 지침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300개의 유전치 석고모델과 3종의 기성 크라운을 대상으로 3D 스캐너와 컴퓨터 이미지 프로그램으로 3차원적 모델을 만들었다. 3차원 모델에서 치관의 근원심 너비, 치관 높이, 치관 ratio, 순면의 곡률반경 등 4가지 평가 척도에 의해 각 기성 크라운별로 한국인 자연치 표준모형과 가장 유사한 형태를 고르고 이를 기준으로 치질 삭제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유중절치의 경우 기성 크라운별로 레진피복 금속관은 2번, 지르코니아 크라운은 1번, 레진관은 2번이, 유측절치의 경우 레진피복 금속관은 3번, 지르코니아 크라운은 2번, 레진관은 3번이 가장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치아 삭제량은 상악 유중절치와 유측절치에서 같은 양상을 보였다. 절단연에서는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삭제량이 가장 컸다. 인접면은 지르코니아 크라운과 레진관이 비슷한 삭제량을 보였으며 레진피복 금속관에 비해서 컸다. 순면 역시 지르코니아 크라운이 유중절치와 유측절치에서 삭제량이 가장 컸다. 설면의 경우 순면에 비해 전체적으로 삭제량이 적었으며 3종류의 기성 크라운 간에 삭제량 차이도 크지 않았다. 크라운의 형태를 비교하기 위한 4가지 평가 척도 중 치관의 근원심 너비가 기성 크라운의 크기를 선택하는데 가장 중요한 척도로 나타났다.

유전치 인접면우식증의 복합레진 충전시 변형된 matrix band의 사용 (ALTERNATIVE TECHINQUE OF MATRIX BANDING FOR RESTORING OF PROXIMAL CARIOUS LESIONS IN PRIMARY ANTERIOR TEETH)

  • 라지영;조현;김대업;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53-458
    • /
    • 2003
  • 유전치의 인접면 수복에는 흔히 celluloid strip과 wedge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기성품으로 시판되는 celluloid strip crown form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하악에서는 유치의 치관이 작고 치아사이의 발육 공간이 있어 matrix의 견고한 고정이 어려우며, matrix의 강직성으로 인해 풍융한 인접면 형태 및 변연부를 적절히 형성하기 어렵다. 또한 구강이 좁은 소아 환자에서는 술자의 손가락으로 matrix를 지지하기가 불편하다. 이에 저자는 유전치의 인접면을 충전하기 위하여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빨대를 이용하여 편리하면서도 변연부 적합성을 높일 수 있는 변형된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 방법은 증례에 따라 적절히 사용한다면 유전치 수복에 있어 간편하고 효율적인 방법 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Scan을 이용한 감소된 수직고경을 가진 소아의 가철성 의치 제작 (REMOVABLE DENTURE FOR CHILD WITH LOSS OF VERTICAL DIMENSION USING T-SCAN : A CASE REPORT)

  • 정양석;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3-108
    • /
    • 2006
  • 성장기 아동에서 외상, 유전적 질환 erosion, 다발성 우식증에 의해 1대구치의 조기상실 등이 야기되어 수직고경이 상실된 경우를 드물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고경이 상실된 환아에게는 저작력 저하 안모의 상실, 발음 이상, 저작근의 경련, 턱관절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중심교합을 상실한 경우 저작기능의 큰 저해요인이 될 수 있다. 성인의 경우 생리적 안정위, 평균적인 치조제간의 거리. 최대 교합력 등이 수직고경을 회복하는데 기준이 되나 소아환자의 기준에 대한보고는 미흡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증례에서 전치부는 celluloid crown form을 이용한 레진관, 유구치는 stainless steel crown으로 수복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수직고경의 기준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다발성 치아 우식증으로 인하여 모든 유구치와 3개의 제 1대구치가 조기 상실되어 수직고경과 중심교합을 상실한 환아에서, 의도된 악관관계를 재현하고 그에 따라 제작한 가철성 장치를 이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 PDF

상악 유절치 지르코니아 전장관 수복을 위한 3차원 분석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Primary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Anterior Zirconia Crown)

  • 이정민;이효설;남옥형;김미선;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6-186
    • /
    • 2016
  • 본 연구는 전치부 지르코니아 전장관을 위한 적정 치아 삭제량을 조사하기 위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 지르코니아와 다른 유치 전장관들의 크기와 형태를 분석하였다. 상악 좌측 유중절치, 유측절치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금속관의 내/외면, 레진관의 외면을 스캔하여, 근원심경이 유사한 세 종류의 전장관을 한 군으로 만들어 분석하였다. 외면에서 모든 중절치, 1번 측절치 지르코니아 전장관이 같은 군의 전장관 중 가장 큰 순설경을 나타냈다. 내면에서 지르코니아 전장관은 금속관에 비해 근원심경 0.7-1.0 mm, 치관길이는 1 mm 가량 작았으며, 순설경은 중절치에서는 더 컸으나 측절치에서는 더 작았다. 비교결과, 지르코니아 전장관은 절단면 2.5-3.0mm, 근원심 1.5-2 mm, 순면 0.5-1 mm, 설면결절을 장축에 평행하게 삭제 후 측절치에서만 0.5 mm 설면삭제를 시행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Open-face Stainless Steel Crown을 이용한 유전치의 치료에 대한 증례보고 (A CASE REPORT ON PRIMARY INCISOR TREATMENT USING OPEN-FACE STAINLESS STEEL CROWN)

  • 김종민;최형준;이제호;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81-787
    • /
    • 1997
  • In spite of the improvements of the techniques in the field of preventive dentistry, many children still present with extensive destruction of primary anterior teeth. Not only the practioner must consider the pulp state of the primary incisor, but also restore the form, function and esthetics of the tooth. Restorative treatment of primary incisor tooth requires durability, retention and esthetics. Stainless steel crowns used in restoring primary anterior teeth is retentive and durable in comparison with the composite resin, celluloid crown. But they are not esthetic. To enhance the esthetics of the anterior stainless steel crown without reducing its superior retention, an open-face stainless steel crown has been suggested. Several authors have suggested cutting away the labial portion of the stainless steel crown and placing the composite resin in that area. By following this technique, the practioner can prepare a retentive, durable, and esthetic restoration for primary teeth which have suffered from extensive loss of teeth structure. In addition, the single missing primary anterior teeth can be successfully restored by soldering the stainless steel crown together. Open-face stainless steel crown is indicated in the areas of large interproximal lesions involving incisal edge, crown fracture with pulp exposure and congenital malformation of the teeth. By this technique, the practioner can restore primary anterior teeth successfully regardless of the amount of remaining tooth structure, bruxism habit and presence of attrition. In this case, rampant caries with extensive loss of tooth structure and single missing of primary anterior tooth hart been successfully treated with open-face stainless steel crown.

  • PDF

변색된 유전치의 순측접근에 의한 치수치료 및 레진수복 (LABIAL APPROACH OF PULP TREATMENT AND RESIN RESTORATION ON DISCOLORED NECROTIC PRIMARY ANTERIOR TOOTH)

  • 채문희;송제선;최형준;김성오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4-88
    • /
    • 2014
  • 1. 순측접근법은 치수치료를 순측으로 시행한 후 변색된 순측의 치질을 확대하여 삭제하고 레진으로 순면전체를 수복함으로써 치수치료와 동시에 심미성을 회복할 수 있다. 2. 순측으로 치수치료를 시행하므로 시야가 확보에 유리하고 기구조작이 용이해 행동조절이 잘 되지 않는 어린이에게 추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