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ein

검색결과 1,038건 처리시간 0.037초

담배잎의 일생에 있어서 RuBisCO 함량과 Protease활성의 변동 (Changes of RuBisCO Content and Protease Activity during the Life Span of Tobacco Leaf)

  • 이학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3-74
    • /
    • 1993
  • Changes in the amount of ribulose 1, 5-bisphosphate carboxylase/oygenase(=RuBisCO) protein, namely fraction I protein, and the protease activity were determined in the 10th leaf of tobacco(Nicotiana tabacum, var. Ky-57) from 10 days after emergence through senescence at 5 days interval. The amount of RuBisCO per deveined leaf rapidly increased during the early growing season, reached a maximal quantity at the around 20 days after leaf emergence, when the leaf has gone through its most rapid expansion, and began gradually to decrease till 30 days after leaf emergence, thereafter significantly declined to 45 days that the leaf has been dried up partly. The pattern of the ratio of RuBisCO protein to soluble protein in quantity changed similar to that of RuBisCO contents in a leaf, that was 43%, 60%, and 21% at the around 10 days, 20 days, and 45 days, respectively. And RuBisCO contents was linearly cor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r=0.98) throughout the life span of the leaf. So, it was assumed that the leaf color can be a useful indicator for judging whether RuBisCO contents higher or not in tobacco leaves without homoge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tease activities for degradation of casein were assayed at pH 5.5. 7.0. and 8.5 with crude extracts desalted on Sephadex G-25. The highest caseolytic activity was found at pH 5.5 throughout the life sawn of the leaf. Also, the activity at 5.5 became gradually to increase from 30 days after leaf emergence, when RuBisCO protein had became to disappear and remarkably increased in the last stage of senescence, although nitrogen contents of the leaf had reached low levels. The caseolytic activity at pH 5.5 was in negative correlation with RuBisCO contents throughout the life span of the leaf, but not in lineality between them. In other words, the caseolytic activity increased in a rapid exponential manner when RuBisCO contents had reached some low level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leaf age, namely harvesting time,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the production of the tobacco leaf containing higher RuBisCO protein. It was concluded that the practical harvesting time is between 20 days and 30 days after the leaf emergence from the present results.

  • PDF

Chondroprotective Effects of Wogonin in Experimental Models of Osteoarthritis in vitro and in vivo

  • Park, Jin Sung;Lee, Hyun Jae;Lee, Dong Yeong;Jo, Ho Seung;Jeong, Jin Hoon;Kim, Dong Hee;Nam, Dae Cheol;Lee, Choong Jae;Hwang, Sun-Chu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5호
    • /
    • pp.442-448
    • /
    • 2015
  • We evaluated the chondroprotective effects of wogonin by investigating its effects on the gene expression and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 in primary cultured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as well as on production of MMP-3 in the rat knee.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were cultured in a monolayer, and RT-PCR was used to measure interleukin-$1{\beta}$ (IL-$1{\beta}$)-induced expression of MMP-3, MMP-1, MMP-13,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 with thrombospondin motifs-4 (ADAMTS-4), and type II collagen.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the effects of wogonin on IL-$1{\beta}$-induced production and proteolytic activity of MMP-3 were investigat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and casein zymography, respectively. The effect of wogonin on MMP-3 protein production was also examined in vivo.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wogonin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MP-3, MMP-1, MMP-13, and ADAMTS-4, but increased expression of type II collagen. Furthermore, wogonin inhibited the production and proteolytic activity of MMP-3 in vitro, and inhibited production of MMP-3 protein in vivo. These results suggest that wogonin can regulate the gene expression and production of MMP-3, by directly acting on articular chondrocytes.

백합나무의 체세포배 유도에 미치는 ABA, 환원질소원 및 삼투압제 효과 (Effects of ABA, reduced nitrogen source and osmoticum for somatic embryogenesis in Liriodendron tulipifera)

  • 김용욱;한무석;문흥규;박소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2호
    • /
    • pp.186-190
    • /
    • 2011
  • 본 연구는 백합나무 배발생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 유도에 영향하는 ABA (abscisic acid)의 농도, 환원질소원 및 삼투압제의 종류 및 농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BA농도 비교에서는 0.5 mg/L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체세포배 유도 수 (640/10 mg 조직)를 보였으나 0.5 mg/L 이상의 농도에서는 점차 체세포배 발생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 mg/L 농도에서 가장 낮은 유도수 (250/5 mg 조직)를 나타냈다. 8종류 환원질소원 종류 및 농도에 대한 체세포배 유도 효과를 비교한 결과 최대 체세포배 유도는 500 mg/L casamino acid (223/5 mg 조직) 첨가구에서 나타났으나, 그 외 환원질소원 종류 및 농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삼투압제 종류 및 농도 비교에서는 최고의 체세포배 발생 수 (317/5 mg 조직)는 4% sucrose 첨가 시 나타났으나 maltose 첨가배지에서는 농도에 상관없이 체세포배가 전혀 유도되지 않아 삼투압제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Effects of dietary energy and lysine levels on physiological responses, reproductive performance, blood profiles, and milk composition in primiparous sows

  • Hong, Jinsu;Fang, Lin Hu;Kim, Yoo Y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3호
    • /
    • pp.334-347
    • /
    • 2020
  • The adequate intake of energy and lysine for primiparous sows are necessary for maternal growth of sows and growth of their progen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energy and lysine levels on primiparous sows and their progeny. A total of 48 gilts (Yorkshire × Landrace), with an initial body weight (BW) of 168.1 ± 9.71 kg and at day 35 of gestation, were allotted to eight treatment groups with a 2 × 4 factorial arrangement. The first factor was metabolizable energy levels in diet (3,265 or 3,365 kcal of ME/kg), and the second factor was lysine levels in diet (gestation 0.55%, 0.65%, 0.75%, 0.85%, lactation 0.70%, 0.85%, 1.00%, 1.15%). The BW gain (p = 0.07) and backfat thickness (p = 0.09) in the gestation period showed a tendency to be increased in sows fed the high-energy diets. In the lactation period, sows fed the high-energy diets tended to be greater BW (p = 0.09) and less BW loss (p = 0.05) than those of sows fed the low-energy diets. Sows fed high-energy diets had a tendency of greater piglet weight at day 21 of lactation and greater piglet weight gain (p = 0.08 and p = 0.08, respectively). Although the blood urea nitrogen (BUN) was increased linearly as dietary lysine level increased at day 110 of gestation (Linear, p = 0.03), the BUN was decreased linearly as dietary lysine level increase at day 21 of lactation (Linear, p < 0.01). In the composition of colostrum, sows fed high-energy diets had greater casein, protein, total solid, solid not fat, and free fatty acid concentrations than those of sows fed low-energy diets (p < 0.05). Supplementation of total lysine 0.75% for gestation and 1.00% for lactation with 3,365 kcal of ME/kg energy level could be applied to the primiparous sows' diet to improve performance of sows and growth of their progeny.

한국산 파인애플에서 분리한 bromelain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romelain from Korean pineapple)

  • 최청;손규목;조영제;천성숙;임성일;석영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1호
    • /
    • pp.23-29
    • /
    • 1992
  • 한국산 파인애플로부터 bromelain을 추출하여 황산암모늄염석, DEAE-cellulose ion-exchange chromatography, gel filtration을 이용하여 약 21배 정제하였고, 정제효소는 전기영동상 단일밴드를 나타내었으며, 분자량은 약 22,000이었다. 정제된 bromelain은 glycine과 seri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최적작용 pH와 온도는 6.0, $60^{\circ}C$였다. $pH\;5{\sim}7,\;50^{\circ}C$이하에서 안정성을 보였으며 $Mn^{2+}$에 의해 활성이 촉진되었고, $Mg^{2+},\;Fe^{2+}$ 등의 금속이온에 의해 급격한 활성저해가 관찰되었다. 정제효소는 p-chloromercuribenzoic acid에 의해 저해되어 SH효소로 추측되었으며, Km과 Vmax값는 각각 $5.747{\times}10^{-4}M,\;131.58\;{\mu}g/min$ 이었다. 돈육 조직에 효소를 처리하였을 때 효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육단백질이 가수분해되어 유리되는 수용성 질소량과 아미노태 질소량이 증가되어 연육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매생이 열수추출물이 흰쥐의 필수아미노산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on Essential Amino Acids Absorption in Rats)

  • 김효영;김인혜;남택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591-1597
    • /
    • 2009
  • 이 실험의 목적은 해조류 중 특히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매생이 열수 추출물(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CFE) 5%를 첨가한 식이를 급이 시켜 흰쥐에게 10일간의 단백질 소화율, 혈중 필수 아미노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사료의 품질 및 필수 아미노산 대사와 관련된 연구에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본 실험을 하였다. CFE의 급이에 따른 단백질 소화율을 살펴 본 결과, casein 그룹의 경우 단백질 소화율이 약 97%인 반면 CFE가 포함된 그룹의 경우 87%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식이에 CFE 첨가 시 단백질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문맥 혈청 중의 아미노산에서 특히 필수 아미노산의 혈중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식이 후 30, 60, 90, 120분별로 살펴보았다. 총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의 농도는 두개의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BCAA에 속하는 Leu, Ile, Val은 C군에 비해 CFE군에서 흡수속도가 증가하였으며 AAA에 속하는 Phe 또한 동일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간문맥 혈중의 Lys, Thr, Met의 경우, C군에 비해 CFE군에서 흡수속도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험을 통해 식이섬유인 매생이 열수추출물을 섭취함으로서 간이나 뇌, 조직 등으로 흡수되는 혈중 필수 아미노산의 흡수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지연시킴으로서 단백질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단백질 식이에 매생이 열수추출물을 첨가할 경우 혈중 아미노산 흡수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 하였으며 이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향신채소를 첨가한 어육 고음 추출물의 단백질 품질평가 (Protein Nutritional Qualities of Hydrocooked Fish Extracts Containing Spicy Vegetables)

  • 류홍수;문정혜;황은영;이종열;조현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1-216
    • /
    • 1999
  • 풍미향상과 고온 열처리로 인한 단백질 품질저하를 완화시킬 목적으로 세가지의 향신 채소 (마늘, 생강, 양파)를 첨가하여 $110^{\circ}C$에서 5시간동안 조리한 어육 고음추출물의 단백질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향신채소를 첨가한 붕어 어육가수분해물의 유효성 Iysine은 생육의 유효성 Iysine과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광어의 경우는 $66\~84\%$ 정도 유지되었다. 친유성 갈변물질 발생정도는 원료어육에 비해 붕어의 경우는 오히려 낮고, 광어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런 종류의 갈변물질은 제거된 지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I생성은 원료어육과 별차이가 없고, 소화율은 원료어육보다 $4\~5\%$ 낮으나 대체로 고온 고음추출물에 비해 $3\~4\%$ 높게 나타나 단백질 품질 저하가 훨씬 완화된 결과를 보였다. 원료어육의 유리 아미노산의 총량이 $2,000mg\%$ (광어), $2,240mg\%$ (붕어) 정도였던 반면, 향신채소를 첨가한 고음추출물에는 $3,800mg\%$ (광어), $3,700mg\%$ (붕어) 정도의 유리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붕어 고음추출물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histidine, taurine, glycine 및 alanine 이었으며, 광어의 경우는 taurine, alanine 및 asparagine이었다. 향신채소 첨가 어육 고음추출물 중 비교적 품질이 우수하다고 판단 된 생강첨가 추출물을 이용한 in vivo 단백질 품질 평가를 한 결과 in vivo 단백질 소화율은 표준단백질인 ANRC casein보다 $6\~7\%$낮았으나 고온 고압 처리 고음추출물보다 붕어의 경우 약 $10\%$이상 소화율이 높아졌다. Rat-PER은 약간 상승하였지만 실험 전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고, 다만 고온 처리 시료에서 발생하였던 탈모현상은 볼 수 없었으며 분변의 상태도 약간 호전되었다.

  • PDF

냉동 생지로 제조한 식빵에서 첨가제에 따른 냉동변성 억제 효과

  • 윤영;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78-178
    • /
    • 2003
  •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고 소비자들에게 신선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이점으로 인해 냉동 반죽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냉동 중에 효모와 글루텐이 손상되어 냉동 반죽으로 제조한 빵은 부피가 작고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단점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요구되며 그 중 하나로 보수성과 빙결정 생성 억제능력을 가지는 다당류와 단백질을 첨가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용된 첨가물은 다당류로 carrageenan(C)과 sodium alginate(A), 단백질로 whey(W)와 casein(C)이었는데 다당류와 단백질을 각각 1:1로 혼합해서 첨가하였다. 정해진 배합비 대로 반죽을 하고 급속 동결시킨 후 일주일 동안 저장하면서 5차례 냉동-해동을 반복한 반죽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냉동 반죽을 해동시킨 후 발효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발효팽창력을 측정하였다. 냉동 반죽으로 식빵을 제조하고 빵의 비용적, 색도를 측정하였고 관능적 특성으로 crumb부분의 색, 대칭성, 균일성, crust의 색, 터짐성을 측정하고 맛, 향, 조직감, 전반적 기호도를 측정하여 냉동 반죽의 제빵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3일간 냉장저장하면서 texture와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시료에 따른 노화도를 측정하였다. 냉동생지의 발효팽창력에서 WK 첨가구가 23.5, WA 첨가구가 24.75로 CK, CA 첨가구에 비해 3∼4정도 큰 값을 보였으며,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 18.5보다 큰 발효력을 보였다. 식빵의 비용적은 WK 첨가구 3.539, WA 첨가구 3.506, CA 첨가구 3.377, CK 첨가구 3.247, 대조구 3.064 순으로 큰 값을 보였는데 비용적은 발효력과 정의 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제조당일과 냉장고에 3일간 저장한 빵의 수분함량, 경도를 비교해 보면 수분함량 의 경우, 대조구가 43.63%에서 42.31%로 1.32% 줄어 가장 큰 감소율을 보였으면 CK 첨가구가 45.12% 에서 44.30%로 0.815% 줄어 가장 작은 감소율을 보였다. 그 외 첨가구의 경우 변화율은 1.26∼l.3%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체적으로 수분함량의 감소가 대조구보다 첨가구에서 작은 것은 첨가제의 보수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경도의 경우, CK 첨가구가 0.244kg에서 0.558kg로 0.334 kg증가하였으며 대조구는 0.212kg에서 0.530kg으로 0.318kg증가하여 다른 첨가구에 비해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CK 첨가구의 경우, 저장 중 수분함량의 감소율이 가장 작은 것과 달리 경도에 있어서 가장 큰 값과 증가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CK 첨가구의 빵이 다른 첨가구의 빵의 비용적보다 작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빵 내부의 색도를 측정했을 때 명도 L값은 CA 첨가구가 76.162로 가장 컸고 WA 첨가구가 12.822로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으며 다른 첨가구와 대조구의 L값은 73∼74의 범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에서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색도의 결과와 관능적 특성 중 내부 색의 선호도를 비교해 보면 큰 차이는 없지만 대조구보다 높은 명도값과 낮은 적·황색도값을 가지는 첨가구의 선호도가조금 높음이 확인되었다. 그 외 관능적 특성들에서도 대조구와 첨가구의 빵의 선호도 차이는 크게 군별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실험에 사용된 첨가제는 냉동변성을 억제시켜 반죽의 발효력과 빵의 비용적을 높이고 또한 노화도를 늦추는등 냉동반죽의 제빵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rthrobacter luteus로부터 유래한 염기성 AL-Protease의 효소학적 성질 및 활성 아미노산 잔기의 검색 (Enzymological Properties of the Alkaline AL-Protease from Arthrobacter luteus and Detection of Its Active Amino Acid Residue)

  • 오홍록;상원태생;반진승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3-204
    • /
    • 1984
  • Zymolyase 조효소로부터 분리, 정제되었고, 효모세포벽 용해 촉진물질로 밝혀진 바 있는 Arthrobacter luteus로부터 유래한 염기성 protease(AL-protease)의 효소학적 성질 및 활성 아미노산 잔기를 검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L-pretense는 저해제 DFP 및 PMSF에 의해서 그 Protease 활성 및 용해 촉진활성이 동시에 완전히 소멸 되었으며, 그 저해 반응속도는 chymotrypsin에 대한 것에 비하여 대단히 완만하였다. 1.반응에서 AL-protease와 DFP의 결합 mole비는 1:1로 추정 되었다. 2. 정제된 AL-protease의 동결건조품 중에는 종래효모세포벽 용해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yeast phosphomannase를 비롯한 다당류 가수분해효소들의 활성은 그 어느 것도 인정되지 않았다. 3. AL-protease의 casein에 대한 최적 pH 및 최적 온도는 pH 10.5와 $65^{\circ}C$이었고, 그 활성은 pH 5${\sim}$11 사이와 $65^{\circ}C$이하에서 안정하였다. 또한, AL-Protease의 활성에 미치는 여러가지 금속이온의 영향은 인정되지 않았다. 4. [$^{32}P$]-DFP에 의하여 화학수식된 [$^{32}P$]-DIP-AL-protease에 대한 활성부위의 아미노산 잔기를 검색, 동정하기 위하여 조제용 PAG-전기영동, SDS-PAG-전기영동, Dowex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압 여지 전기영동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AL-protease는 활성 부위에 1분자당 1 mole의 serine 잔기를 가지는 염기성 protease로 밝혀졌다.

  • PDF

불소 테이프의 법랑질 탈회 억제 효과에 관한 실험적 평가 (IN VITRO EVALUATION OF EXPERIMENTAL FLUORIDE TAPE IN INHIBITION OF ENAMEL DEMINERALIZATION)

  • 김민정;이상호;이난영;박승효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9-13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법랑질 표면 미세경도의 측정과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본 교실에서 개발한 2.26%의 불소를 함유한 폴리비닐알코올 테잎 (F-PVA tape)의 법랑질 탈회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60개의 법랑질 표본을 각 군당 15개 씩, 임의로 대조군, F-PVA tape 군, 불소바니쉬 군, CPP-ACFP 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재광화 제재를 도포한 후 pH-cycling 과정 거쳤다. 표본의 표면 미세경도를 측정하고 표면 미세경도 소실량을 계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위해, 각 군에서 5개의 표본을 추출하고 형태학적 특징을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H-cycling 후, F-PVA tape 군과 불소바니쉬 군의 법랑질 표면 미세경도 값은 CPP-ACFP 군과 비교 시 유의하게 높았으며, F-PVA tape 군과 불소바니쉬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시, F-PVA tape 군과 불소바니쉬 군에서는 법랑질 표면에 형성된 수많은 구형 및 난원형의 결정 입자들이 관찰되었으며, 결정 입자의 밀도는 대조군 및 CPP-ACFP 군에서 보다 높았다. F-PVA tape은 법랑질의 탈회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며, 그 효과는 불소바니쉬와 견줄만하고, CPP-ACFP 보다 우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