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preparation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24초

외식조리 관련 전공자의 학년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분석 - 충청도에 위치한 대학교를 중심으로 - (The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rad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Foodservice and Culinary Arts Majors - Focused on the Four-year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

  • 나태균;정양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38-25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조리 관련 학과 전공자의 학년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3개 대학의 외식 조리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25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33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217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행동 수준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진로를 준비하기 위하여 진로탐색, 정보수집, 체험활동 및 취업준비 노력이 시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진로준비행동 수준은 전공자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학년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년에 따른 구조화된 진로교육의 틀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부모의 진로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Parents' career support on the Behavior of career prepar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김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708-719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부모의 진로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학생이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편성과 비교과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거주 대학생으로 2021년 4월 15일부터 5월 14일까지로 총 195부의 자료를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경제수준, 전공계열, 전공선택동기, 성적, 전공만족도 및 부모의 진로지지를 예측변수로 진로준비행동을 설명하는 선형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6.944,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진로준비행동 총 변화량의 50.5%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좀 더 능동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하여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부모의 진로지지를 위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전공만족과 무도만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경호전공과 무도전공 중심으로 - (Causal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of major and martial arts education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ecurity Service Major and Martial Arts Major -)

  • 김영현;김우진;민왕식;양영모;곽한병
    • 시큐리티연구
    • /
    • 제36호
    • /
    • pp.57-92
    • /
    • 2013
  • 본 연구는 경호 및 무도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진로준비행동이 취해지는 매커니즘(mechanism)을 확인하고,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준비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경호전공과 무도전공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 하였다. 이에 따른 표집방법은 비확률 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방법이며, 총 434부가 자료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공만족과 무도수련만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을 각각 매개변수와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무도수련만족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매개변수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만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공 집단별 잠재평균분석 결과, 전공만족, 무도만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특성화고 고졸청년층의 진로준비 및 진로성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 (Study of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maturity on employment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 이만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961-4971
    • /
    • 2014
  • 특성화고 졸업자들이 취업을 하는데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특히 특성화고의 각종 취업지원정책과 더불어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각종 시설 및 교과지원, 직업능력지원, 진로지도, 취업지원 등의 프로그램과 개인이 하는 진로준비행동, 직업탐색행동, 이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증가는 취업에 과연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 이를 위해 먼저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등의 학교지원만족도, 가정에서 실시한 진로준비행동, 취업 전의 예비적 직업탐색행동, 이에 따른 진로성숙도 등을 주요변수로 하여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지원만족도는 진로성숙도,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 등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보여주고 있고 직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미치거나 간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음으로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은 직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주며 예비적 직업탐색행동과 진로성숙도를 높이게 된다. 특히,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은 예비적 직업탐색행동을 통해 취업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성별에 따른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본 결과, 학교지원만족도는 취업을 직접적으로 높이고 여성의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나, 양질의 학교지원프로그램을 강화하되 특히 여성에 맞는 취업지원프로그램도 개발, 지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지원만족도가 높으면 여성은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성이 가정에서 갖는 진로에 대한 대화 등 진로준비활동은 남성과 달리 취업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어 여성의 경우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지원프로그램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이 제기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성격특성,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rsonality Traits,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경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99-408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자기관리모델을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성격특성,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광주와 전남 지역 2개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학년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적 통계, Pearson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격특성,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성격특성 중 성실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격특성 중 외향성과 사회적지지는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성실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들이 간호교육현장에서 필요함을 시사한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 김경남;임수민;장여영;전다혜;정민주;정지희;조민희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50-1461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egree of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majo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thod: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03 to 30, 2020 for 4 weeks. The surve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220 students in grades 3-4 who were enrolled in 6 nursing departments located in P metropolitan city and G province, and hav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0.0 program. Resul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r=.455, p<.001) and self-leadership(r=.539, p<.001), and major satisfaction(r=-.337, p<.001)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r=-.380, p<.001)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lf-leadership(β=.424, p<.001)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study subj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β=.170, p=.010),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β=.127, p=.047), employment information(β=.122, p=.023), major satisfaction(β=.137, p=.042) in the order, these variables were found in the order of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40.2%.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help nursing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strategy to provide a variety of employment information and a strategy for nursing intervention that can improve self-leadership,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is required.

COVID-19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 박주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3-79
    • /
    • 2024
  • Backgrou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a challenge among nursing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a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lack of interaction with others, and fear of infectious disease may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Data were collected in October 2022 from 130 nursing students from a college in City A. A total of 11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findings show that majo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0.56, p<0.001). Nursing professionalis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0.57, p<0.001).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cluded major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Nursing professionalism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β=0.35), followed by major satisfaction (β=0.33). Together they had an explanatory power of 37%.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should search for ways to increase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programs should be increased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 이현주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3-104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297 respondents from May 27 to May 30th 2019.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PASW Statistics Ver. 18.0. Results: Whe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lower, and when the personality was more introverted, the students with lower school grade showed significantly low scores of mental health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the self-efficacy showed mediating roles. I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elf-efficacy showed mediating roles. Conclusion: If the education for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is preferentially performed, the self-efficacy could be increased, which would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mental health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garding the subjects of education, t would be more effective to provide selective and concentrative education to the group with significantly low scores of mental health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Mediated by Career Decision Level)

  • 고영주;김남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01-30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3,4학년 1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β=.54, p<.001), 진로결정수준(β=.23, p=.009)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2.49, p=.006).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을 향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반영한 전략적 진로지도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자기결정성과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매개효과: 진로결정몰입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at Vocational Training School : focusing o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 이수경;김연성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25-144
    • /
    • 2019
  • 본 연구는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몰입(진로탐색몰입과 진로대안배제경향)이 자기결정성(자율성, 유능감, 관계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함으로써 진로준비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전략마련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소재 A직업전문학교 258명이었으며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결정몰입(진로탐색몰입, 진로대안배제경향)은 자기결정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기결정성(유능감, 자율성, 관계성)은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였고 이 중 관계성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진로준비 행동을 효과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 자기결정성과 진로결정몰입을 높일 수 있는 학습 환경의 조성과 그에 상응하는 진로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