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barrier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6초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과 청소년기 자녀 진로 지원 (Acculturation Strategies of Immigrated Women and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 강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59-269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자녀 진로지원 특성과 청소년 의 진로 관련 행동의 차이를 보고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6차년도 자료 중 총 1,248사례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은 동화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통합, 분리, 주변화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자녀의 진로지원 특성에서는 부모의 효능감, 진로 관련 행동과 부모의 지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청소년기 자녀의 진로태도와 진로 장벽 인식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어머니의 문화적응 유형이 동화인 경우 부모 효능감, 진로 관련 행동, 부모의 지지, 청소년 자녀의 진로태도와 진로장벽 인식에서 긍정적인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이주 여성 가족 지원을 위한 자료로 의미를 갖는다.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in Relationship of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 김현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91-29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과 진로탄력성의 하위변인들(자기신뢰, 성취열망, 진로자립, 변화대처, 관계활용)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33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들의 자료를 SPSS 25.0과 Hayes의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 진로탄력성 및 진로탄력성 하위변인들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진로준비행동은 진로탄력성 및 진로탄력성 하위변인들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은 유의미한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진로탄력성이 매개했을 때 진로장벽은 진로탄력성을 통해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진로장벽이 직접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 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하위변인들 중 성취열망과 진로자립만이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고, 자기신뢰, 변화대처, 관계활용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교육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였다.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욕구형태에 따른 진로행동 분석 (Analysis of Career Behaviors on the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 박성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165-17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areer behaviors(job exploration, job hunting) of the need mode in the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To obtain this objective 501 women, who quitted their job in 780 women randomly sampling completed questionnaire. To analyze data, $x^2$, ANOVA were executed. Research results were explained, there were no difference career behaviors, experience of career counseling, experience of career education, aspiration of career behaviors by the need mode in the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But, there were difference motivation of labor market entry, career barriers, preference of occupations, level of job competence of career behaviors by the need mode in the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n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of developing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were discussed and finally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made.

경호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Relation of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Under Graduate Students of Private Security Guard Major)

  • 김경식;김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404-414
    • /
    • 2013
  • 이 연구는 경호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2012년 서울, 경기도 소재 3개 대학의 경호전공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의표집법을 활용하여 최종 130명을 활용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설문지의 타당도는 외생변수의 경우 .664, 내생변수의 경우 .787이상으로 나탔다. 이 연구에서는 신뢰도분석을 위하여 AMOS 18.0과 SPSS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의 기법을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자기명확성 부족은 진로결정 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자기명확성 부족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나이문제는 진로결정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나이문재는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섯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신체적열등감은 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여섯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신체적열등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곱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근무환경 인식과 진로장벽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Working Environment and Career Barrier recognized by Graduate grade Nursing College Students on Career Identity)

  • 백소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37-47
    • /
    • 2019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근무환경 인식과 진로장벽, 진로정체감을 확인하고,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9년 6월 3일부터 6월 28일까지 S시에 소재한 C대학의 4학년 2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진로정체감은 $2.65{\pm}.46$점, 간호근무환경 인식정도는 $3.23{\pm}.57$점, 진로장벽은 $2.28{\pm}.77$점이었다. 진로정체감은 간호근무환경(r=-.654, p<.001)과 음의 상관관계, 진로장벽(r=.319,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근무환경은 진로장벽(r=-.216,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진로장벽(${\beta}=-.527$, p=.000), 간호근무환경 인식(${\beta}=.131$, p=.014), 실습만족도(${\beta}=-.154$, p=.009)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는 진로정체감에 50.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근무환경 인식과 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학교차원의 노력, 임상실습의 실습환경 개선, 병원의 지원과 간호관리자의 관심과 지지를 통한 진로장벽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진로장애와 우울을 매개로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Career Barriers and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Youth)

  • 김지민;이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1호
    • /
    • pp.85-10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진로장애와 우울을 매개로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장애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교 밖 청소년패널 5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318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진로장애, 우울, 스마트폰중독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진로장애와 우울을 거쳐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가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장애와 우울 각각 매개를 확인하였으나 사회적 낙인감은 스마트폰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중독을 예방하고 청소년 코칭에서의 개입 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장애인의 구직효능감을 위한 구직역량프로그램 효과 분석 (The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for Job-seeking Efficacy of the Disabled)

  • 김병숙;송성화;최정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587-3598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인 구직역량프로그램이 진로장벽 극복을 통한 구직효능감 향상과 직업유지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위해 2012년 12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7차례에 걸쳐 총 86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1일 6시간씩 4일간 총 24시간,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에서 위탁 개발한 구직역량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효과분석을 위해 연구대상 집단에게 프로그램 실시 전 사전검사와 실시 후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측정도구로 구직효능감은 자기효능감, 구직기술, 대인관계기술, 직업정보탐색기술 등 4개의 변인으로 구성했으며, 직업유지의지 변인 과 함께 총 5개의 변인에 대해 검증했다. 분석 결과, 첫째, 구직효능감 중 대인관계기술과 직업정보탐색능력은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된 반면, 자기효능감과 구직기술에서는 기각되었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기술이 직업유지 의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대인관계기술 향상이 직업유지의지에도 영향을 미쳐 장애인들에게 있어 대인관계 역량강화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하여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and Behavioral Problems in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a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 손해경;이혜정;김미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314-321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이론에 입각하여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13년 11월 18일부터 29일까지, S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재학생 384명(남자 186명, 여자 198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도구는 개인 배경 변인, 진로 관련 변인(진로장벽, 학습경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미결정),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관한 자기기입식 설문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다중 회귀분석 결과, 개인적 변인으로 스트레스 인지(t=5.12, p < .001)와 평상시 건강상태(t=-4.08, p <.001), 배경적 변인으로 학업성적(t=5.46, p <.001), 진로 관련 변인에서 진로장벽(t=10.57, p <.001)이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의 영향요인으로 개인 배경 변인과 함께 진로장벽을 확인하였다. 특히, 진로결정은 발달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으므로 진로를 선택하는 청소년 후기에 이를 고려한 예방적, 중재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중재 개발과 학교보건 및 실무에의 적용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Analysis of Venture Business Career Counseling Program Effectiveness)

  • 정운경;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4호
    • /
    • pp.111-118
    • /
    • 2014
  • 본 연구는 벤처분야에 취업 또는 창업에 대해 고민하는 대학생들에게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A에 소재한 대학 재학생들 중에서 60명을 선정한 후 각각 3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격주 1회 총 8회기의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참여하지 않은 이들보다 진로성숙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참여하지 않은 이들보다 진로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참여하지 않은 이들보다 진로장벽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장벽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성별에 따른 공과대학 졸업생의 취업 및 진로개발 단계의 특징 분석 (Analysis of Gender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Paths of Engineering Graduates)

  • 김영은;한지영;오명숙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6호
    • /
    • pp.19-28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s in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paths of engineering graduates. 16 male and 16 female engineering H University alumni who graduated within last 6 year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n analyzed by the Colaizzi method,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The interview questions focused on three stages: selection and retention of one's major, employment preparation, and career development after employment. The gender differences pertaining to success factors, barrier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t each stage were identified. Interviewees were examined for general disposition during early career development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For women, strengths and weaknesses at work were also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grams for successful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were suggested for H University, which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engineering i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