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 of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Under Graduate Students of Private Security Guard Major

경호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김경식 (호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사회체육학과) ;
  • 김찬선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시큐리티융합경영)
  • Received : 2013.08.05
  • Accepted : 2013.09.13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is study establishes structure pattern about private security guard major under graduat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conduct and reality adaptability wishes to deduce high theoretical pattern. Then, I wish to verify causality of variables included in pattern. This study established private security guard major of 3 university by population to Seoul, Gyeonggi Province in 2012.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130 samples were drawn and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estionnaire verified to be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of questionnaire came out to be over exogenous variable value .664, endogenous variable value .787. In this study, utilizes AMOS 18.0 and SPSS WIN 18.0 programs for reliability analysis and took advantage of technique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conclusion is following : First, private security guard major self-clearness shortage exerts contradictory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efficacy. Second, private security guard major self-clearness shortage does not a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problem about private security guard major age exerts contradictory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efficacy. Fourth, problem about private security guard major age does not a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of a private security guard major does not affect in career decision efficacy. Sixth, physical inferiority complex of a private security guard major does not a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venth, private security guard major course decision efficacy a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이 연구는 경호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2012년 서울, 경기도 소재 3개 대학의 경호전공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의표집법을 활용하여 최종 130명을 활용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설문지의 타당도는 외생변수의 경우 .664, 내생변수의 경우 .787이상으로 나탔다. 이 연구에서는 신뢰도분석을 위하여 AMOS 18.0과 SPSS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의 기법을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자기명확성 부족은 진로결정 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자기명확성 부족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나이문제는 진로결정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나이문재는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섯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신체적열등감은 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여섯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신체적열등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곱째, 경호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식, "사회체육 참가자의 여가제약 극복 과정 구조모형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2권, 제1호, pp.61-76, 2009.
  2. 김경식, 김찬선, 박영만, "시큐리티요원의 여가유형에 따른 여가제약과 참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2호, pp.826-835,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2.826
  3. 김찬선, "민간경비원의 직업사회화 과정 분석", 한국경찰학회지, 제15권, 제1호, pp.93-123, 2013.
  4. 김찬선, 김상진, "민간경비원의 임금만족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12호, pp.89-116, 2006.
  5.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1977.
  6. 김재근, 자기효능감, 학교학습동기,사회적 지지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2004.
  7. 김종걸, 경호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 해동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7.
  8. 박태승, "태권도학과 재학생의 멘토링 경험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5권, 제1호, pp.491-503, 2011.
  9. 백경화, 유경호, "경호학전공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9호, pp.115-137, 2011.
  10. 이영오, "경찰,경호관련 대학생의 전공의식성숙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치안행정논집, 제4권, 제2호, pp.131-144, 2007.
  11. 임번장, 김경식, "관람스포츠소비행동 구조모델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15권, 제1호, pp.31-46, 2002.
  12.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The effect of sampling error on convergence improper solutions and goodness-of-fit indices for maximum liklihoo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Vol.49, pp.155-173, 1988.
  13. www.naver.com
  14. http://somakorea.tistory.com/190.
  15. 조선배, LISREL 구조방정식 모델, 서울: 영지문화사, 1996.
  16.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M. E. Betz, K. L. Klein, and K. M. Taylor, 1997.
  17. D. L. Blustein, "The role of goal instability and career self-efficacy in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J. of vocational behavior, Vol.35, pp.194-203, 1989. https://doi.org/10.1016/0001-8791(89)90040-7
  18. G. Hackett and N. E. Betz,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 of Vocational Behavior, Vol.18, No.3, pp.326-339, 1981.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19. K. M. Taylor and N. E. Betz,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 of Vocational Behavior, Vol.22, No.1, pp.63-81, 1983.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
  20. 김은희, 진로역할지향성에 따른 진로장벽 인식과 타협과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2010.
  21. J. O. Crites,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1969.
  22. L. S. Gottfreson,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J. of Counseling Psychology Monograph, Vol.28, pp.545-579, 1981. https://doi.org/10.1037/0022-0167.28.6.545
  23. 신지영, 박성실, 형정은, "전문대학생의 진로장 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제25권, 제1호, pp.19-35, 2012.
  24. 허형원, 손은령, "재한 중국유학생의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제24권, 제1호, pp.51-66, 2011.
  25.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2009.
  26. 박윤아, 대학생의 완벽성과 진로결정 및 진로 준비행동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2011.
  27. J. W. Hoelter,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Goodness of tit indices,"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Vol.11, pp.325-344, 1983. https://doi.org/10.1177/0049124183011003003
  28. 고태용,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 장벽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8.
  29. J. L. Swanson and K. K. Daniels, The Relation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Inventory -revised, Unpublished Raw Data,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1994.
  30. M. London, "Overcoming CareerBarriers :A Mod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 for Realistic Appraisaland Constructive Coping," J. of Career Development, Vol.24, No.1,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