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4초

심폐소생술에 대한 현장업무 프로토콜 교육 효과 비교 (The Comparison of Effectiveness in Prehospital Protocol Education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신상열;정지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418-342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외상성 심정지 환자에게 적용하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현장업무 프로토콜의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는 2008년 5월 1일부터 동년 6월 27일까지,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에 소재한 J, K대학에 재학 중인 응급구조과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여, 실무적합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현장업무 프로토콜을 적용한 실험군과 기존의 심폐소생술을 적용한 대조군으로 나누어, 각 프로토콜 항목들의 소요시간을 비교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개항목(의식상태 평가, 기도유지, 인공호,,흡 2회 실시, 순환 확인, 심폐소생술 5주기 실시)을 제외한 나머지 18개 항목에서 3초 이상 수행시간이 단축되었다. 60초 이상의 단축을 보인 항목은 6개로, 기관삽관 튜브 고정(78.70초), 말초정맥로 확보(64.45초), 의식상태 재평가, 동공반사 확인(110.05초), 목동맥 확인(112. 55초), 활력징후 평가(85.7초)였으며, 전체시간은 110.85초가 단축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프로토콜 적용에 따른 사전.사후 변화에서 전체시간(t=-6.580, p=.000)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외상성 심정지 환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현장업무 프로토콜은 정확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응급의료 서비스를 향상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병원 전 영아 심정지 환자에서 150J 제세동과 심폐소생술 시행 후 생존한 1례 (A survived case after 150J defibrillation and CPR were performed for out-of-hospital infant cardiac arrest)

  • 윤형완;홍수미;전윤철;이재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3-60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resuscitation. This resuscitation by paramedic is very effectively performed under the medical direction of the doctors. Methods: The cardiac arrest victim was 4 month old infant. Informed consent from the parents of the infant was received. CPR combined with 150J defibrillation was performed to the 4 month old infant. Results: We reported that the 4 month old infant survived the cardiac arrest.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infant survived after 150J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CPR performance. Conclusion: Specific operative protocol is important because the paramedic can apply the proper manual defibrillator effectively. It is important to extend the work scpoe of the EMT.

The effects of CPR education on CPR knowledge and self-efficacy for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different regions

  • Lee, Young-Soo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003-1012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self-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aft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education.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260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 period between 5 November 2015 and 30 December 2015.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win 22.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analysis, and dichotomies multiple response analysis. Results: Self-efficacy and knowledge increased after CPR education. Most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depending on CPR knowledg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the theory and practice of CPR, if taught to dental hygiene students, will boost their self-efficacy, and enable them to perform it correctly when faced with and emergency situation.

소아치과의사를 위한 심폐소생술과 소아고급생명구조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for Pediatric Dentist)

  • 김종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43-255
    • /
    • 2017
  •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멈추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보조해 주는 응급처치이다. 심폐소생술은 기본생명구조술(basic life support, BLS)과 전문소생술(advanced life support, ALS)로 나눌 수 있다. 기본생명구조술은 주요 조직으로 혈류 공급을 강제적으로 하기 위한 흉부압박과 호흡정지 환자에게 구조호흡(rescue breathing) 그리고 심실세동을 개선해 주기 위한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이 포함된다. 전문소생술의 범주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급생명구조술(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ACLS)과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소아고급생명구조술(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PALS)이 있다. 치과 치료에 극심한 공포를 가지며, 여러 이유로 치과 진료에 협조를 얻기 어려운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환경에서는 약물을 이용한 진정법이 고려된다. 이는 심정지를 포함한 응급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이유가 된다. 소아고급생명구조술은 기본생명구조술을 포함하며, 심정지에 이를 수 있는 원인을 호흡, 순환장애 그리고 심인성으로 나누어 대처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소아는 성인에 비해 심인성의 원인은 낮지만, 해부학적인 약점으로 인해 호흡이나, 순환장애에 의한 심정지의 가능성은 높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아이를 치료하거나 진정법을 시행하는 소아치과의사는 소아고급생명구조술을 익힘으로써 응급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병원 전 심폐소생술에 의한 자발순환 회복 8례: 일 지역 하트세이버 수여자를 기준으로 (A Case Report of ROSC for Out-of 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ased on one Area Heart Saver)

  • 방성환;김지희;김경용;노상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61-67
    • /
    • 2013
  • 이 연구는 병원 전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과 후 72시간 이상 자발순환이 회복된 환자 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심정지 원인으로는 심장질환이 3례, 응급상황으로 인해 병력을 구하지 못한 경우가 5례를 보였다. 심정지 환자의 6례가 가정에서 발생하였고, 가족이나 동료에 의해 심정지가 목격된 경우가 8례였으며, 가족이나 동료 등 목격자의 의해 시행된 심폐소생술은 5례였다. 구급대원 도착 후 임종 호흡을 보인 환자가 3례로 확인되었다. 심정지 환자의 최초 초기리듬은 심실세동 7례, 무맥성전기활동 1례를 보였다. 출동에서 현장 도착까지 소요시간은 6.1분(${\pm}2.7$), 출동에서 병원 도착까지 소요시간은 23.0분(${\pm}8.8$), 자발순환이 회복되기까지 심폐소생술 지속 시간은 8.7분(${\pm}3.4$)이 소요되었다. 출동한 구급대원의 자격은 1급응급구조사 6례, 2급응급구조사 2례였으며, 3명 출동이 7례를 보였다.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심폐소생술 후 발생한 다량의 기복증 (Massive pneumoperitoneum follow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최정우;신상열;황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303-3307
    • /
    • 2015
  • 본 연구는 74세 여자 환자가 심정지 후 일반인과 119구급대원들에게 시행된 심폐소생술의 합병증인 기복증에 대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한 임상양상과 병태생리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평소 건강했던 74세 여자가 식당에서 일하던 중 갑자기 발생한 의식저하로 쓰러졌다. 증상발생 후 즉시 119에 신고를 하였고 현장에서 목격자에 의한 즉각적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었으며, 현장에 도착한 119구급대원에 의한 심폐소생술과 제세동이 시행된 결과 자발순환을 회복하였다. 자발순환 회복 후 환자는 인근 2차병원으로 이송되어 시행한 심전도 검사에서 급성심근경색이 의심되어 추가적인 검사와 치료를 위해 3차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이후 시행한 X-ray 검사와 복부전산화 단층촬영 검사결과 위문접합부의 파열과 다량의 기복증을 보여 수술치료를 결정하였으나 수술실에서 다시 심정지가 발생하여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였으나 환자는 결국 사망하였다. 따라서 병원 전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시행 할 때 흉부압박의 정확한 위치 선정이 필요하며 양압 환기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겠다. 또한 심폐소생술 후 발생한 기복증의 치료는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1인 구조자 영아심폐소생술시 세 가지 가슴압박 방법의 가슴압박 효율성 비교 : 해양경찰교육원 신임경찰 교육생 대상으로 (Chest compression efficiency for three methods of single-person rescuer infan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황순중;윤종근;김정선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07-116
    • /
    • 2020
  • Purpose: We compared three chest compression methods to find an efficient method for performing infan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for single rescuers and improving chest compressions quality. Methods: Thirty new marine police trainees at the Korea Coast Guard Education Institute were tested for five sessions using three methods of single rescuer infant CPR: two-finger chest compression, two-thumb encircling chest compression, and two-finger support chest compression. Results: The depth, accuracy, and number of compressions per minute of resuscitation were analyzed for the above three methods. The depth of two-finger chest compression, two-thumb encircling chest compression, and two-finger support chest compression was 3.53±0.20cm, 4.10±0.13cm, and 4.22±0.15cm, respectively. Accuracy was 23.86±12.59%, 54.11±10.8%, 71.55±18.81%, respectively, while the time for one cycle of 30 chest compression was 16.01±10.5 seconds, 16.45±0.85 seconds, and 16.56±0.91 seconds, respectively. Chest compression interruptions were 6.59±0.78 seconds, 7.17±0.37 seconds, and 6.97±0.35 seconds, respectively. The interruptions were consistent with the range of 5-10 seconds suggested by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onclusion: When one rescuer performs CPR for an infant in cardiac arres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methods showed that two-thumb encircling chest compression is the best for accuracy and efficiency of chest compressions.

한국 성인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지, 교육경험이 그 시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warenes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Ability to Execut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mong Korean Adults)

  • 이재광;김정우;김건일;김근형;김동필;김유리;문성균;민병주;유화영;이채림;정원영;한창훈;허인호;박정희;이무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3권4호
    • /
    • pp.234-249
    • /
    • 2018
  • 이 연구는 심폐소생술의 인지, 교육경험, 시행능력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인구학적요인, 지역적 요인, 의료 현황, 교육적 경험 등이 심폐소생술 시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4년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했다. 이 자료는 대한민국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2014년 7월 기준 시, 군, 구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중, 조사에 참여한 228,712명에서 보건소별로 평균 900명(목표오차 ${\pm}3%$)으로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해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R 통계프로그램 3.1.3.을 사용하여 카이제곱검정, 상관분석,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등으로 이루어졌다. 심폐소생술의 시행능력은 남성에서(3.34배), 젊은 층에서(1.06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1.61배), 화이트 칼라 직업일수록(1.14배), 소득수준이 높을수록(1.07배), 급만성질환 및 사고중독의 비경험자일수록(0.91배), 고혈압 비진단자 일수록(1.12배), 당뇨병 비진단자 일수록(1.16배, 이상지질혈증 비진단자 일수록(0.86배), 뇌졸중 비진단자 일수록(1.54배), 주관적 건강이 높을수록(1.08배, 1.16배), 비고령사회일수록(0.90배), 심폐소생술 교육경험이 높을수록(3.25배), 심폐소생술 마네킹 실습경험이 있을수록(4.30배) 유의하게 더 높았다. 분석결과, 개인 및 지역사회 요인과 심폐소생술 인지, 교육경험 등은 심폐소생술 시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환경에 적합한 심폐소생술 교육정책 마련에 적극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병원 전단계 심폐소생술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병원 전 심폐소생술에 의한 순환회복 환자의 사례 분석: 두 지역 하트세이버 수여자를 대상으로 (Analysis of ROSC cases for out-of-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ased on Heart Saver laureate for two area)

  • 고봉연;이정은;홍성기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18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compare the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 case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n the basis of Heart Saver laureate. Method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outcomes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by analyzing the data of two regions. The data were prehospital emergency reports of 473 patients who survived for > 72 hours after ROSC in two region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Results: Among the ROSC patients, 86.8% (G), 77.9% (S) were men and 72.9% (G), 67.9% (S) were of age 41~70 years, 87.6% (G), 82.9% (S) had a witnessed cardiac arrest; and 66.7% (G), 70.6% (S) receiv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rom bystander. Of those who performed the resuscitation, paramedics in 89.1% (G), 89.8% (S). Furthermor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ere involved in 69.0% of two-rescue teams in G and in 90.4% of three-rescue team in S. Conclusion: Most heart savers were qualified paramedics, and three-rescuer-teams resulted in better survival rate than two-rescuer-teams.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 김미화;이은숙;전상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56-163
    • /
    • 2016
  • 본 연구는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을 조사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5년 2월~3월 사이 D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 중 무작위로 3개 학교 6개 비보건계열 학과를 선정하여 재학 중인 대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77.0%가 자동제세동기를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61.9%는 자동제세동기 사용 방법을 전혀 모르고 24.4%는 잘못 사용할까봐 두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수행능력 점수는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경험(p<.002)과 자동제세동기 인식도(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수행능력은 지식(r=. 42, p<.001) 및 태도(r=. 55,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의 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 서는 반복적인 실습교육을 통한 자신감의 함양과 더불어 태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