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dinal direction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Activating Twenty-four: Time, Space, and Body

  • KOHN, Livia
    • 대순사상과 동아시아종교
    • /
    • 제2권1호
    • /
    • pp.57-83
    • /
    • 2022
  • Numbers structure reality and define the way people live. Both in Daoism and in Daesoon Jinrihoe they signify key concepts, notably the cardinal numbers from one through nine that classify different dimensions of the cosmos. Beyond these, the number twenty-four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temporal mode, it marks the divisions or seasonal periods of the year. Consisting of fifteen days each, these periods signal (and are named after) changes in dominant weather patterns and the position of the sun. Generally activated in the body through particular seasonal activities and dietary prescriptions, in Daoism they are also the root of a series of healing exercises and certain refinement practices of internal alchemy. In Daesoon Jinrihoe, moreover, they are activated by chanting a specific incantation that invokes the twenty-four divine rulers of the divisions, originally a group of Tang Dynasty officials that in nature and function resemble the spirit generals of the early Celestial Masters. Beyond this, the number twenty-four also applies to space. Not unlike the twenty-eight lunar stations or mansions, traditional cosmology acknowledges twenty-four directions, made up of six constellations each in the four cardinal directions, complete with starry deities and divine generals. Their powers are activated with the help of written characters rather than vocal incantations, using techniques common both in Daoism and Daesoon Jinrihoe.

Compatibility of the Direction Sign on the Pendant Switch of Overhead Cranes

  • Park, Jae Hee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5-83
    • /
    • 2015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andard of the direction sign on the pendant switch of overhead cranes which can reduce human errors in control. Background: A great number of crane accidents occur in industries. One of the major causes of the accidents is the mistake in the control of cranes by confusing the orientation of crane movements. Nevertheless, three different direction sign styles, 'East, West, South, North (EWSN)', 'Forward, Backward, Left, Right (FBLR)', and arrows for four directions are used without standardization. Method: An overhead crane simulator was installed for a laboratory experiment. It could move along six directions by the control of a pendant switch. 90 participants were evenly assigned to the three different conditions of direction sign style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ntrol the pendant switch according to the continuously appearing 16 direction signs on a monitor ahead. The participants were allowed to refer an orientation sign board on the ceiling representing correct movement directions of the overhead crane simulator. Results: The direction sign style, 'EWS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ter performance in task completion time and number of errors than the other sign styles. The direction sign style, 'EWSN', adopting the cardinal direction system, made the participants clear in direction controls after customizing to the crane movements. However, the direction sign styles, 'FBLR' and the arrows adopting the relative direction system made conflicts in direction controls due to the egocentric view of human. Conclusion: The direction sign style, 'EWSN', is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direction sign on the pendant switch of overhead cranes.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standardization of direction sign in the legal notification on the safety certifications of crane manufacturing.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목조불상 복장직물의 종류와 특성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abrics of Bokjang Objects Enshrined within Wooden Buddha Statue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황진영;박승원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8권
    • /
    • pp.35-50
    • /
    • 2017
  • 국립중앙박물관 목조불상 조사사업 중 복장물에 직물이 포함된 4건 53점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복장직물의 직조 방식을 구분하면 고려시대의 라직물 2점과 능직물 5점이 확인되었으며, 조선시대 특징이 나타나는 단직물과 사직물로 분류되었다. 특히 금동관음보살좌상(덕수801) 복장직물에서는 조선 전기와 후기 특징을 지닌 직물로 분류된 것으로 보아 15세기와 17세기에 2차례에 걸쳐 납입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직물 무늬의 종류는 꽃무늬와 보배무늬, 과실무늬, 동물이 함께 나타난 식물무늬와 구름무늬로 구성된 자연산수무늬로 구별되었다. 셋째, 복장직물의 수량은 적지만 구성에 따라 모든 방위에 해당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직물 편이 발견되었다.

DTM으로부터 지형변수의 추출 및 분석: 제주도 사례연구 (Extraction and Analysis of Topographic Variables from DTM: A Case Study in Jeju Island)

  • 김석중;조성현;김형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3호
    • /
    • pp.56-61
    • /
    • 2004
  • 강수현상에 영향을 주는 지형변수들을 고도(ELEV), 경사(SLOPE), 바다까지의 거리(SEA), 방해물(OBST), 방벽(BAR), 굴곡도(SHIELD)로 구분하여 해상도별로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해상도는 50 m DTM (Digital Terrain Model)을 기본으로 하여 100m, 200m, 400m, 600m, 800m, 그리고 1,000m로 분석하였다. 이때 해상도 분석은 TOVA (Topographic Variables Extraction Program)를 이용하였다. 제주 기상관측소를 사례로 지형변수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해상도에 따른 값의 변화는 8개의 주방위선에 따른 변화보다 적지만 특히 SHIELD 변수값과 해상도 600m의 경우에는 의미 있게 나타났다.

Effect on the Limit of Stability of the Lowered Center of Mass With a Weight Belt

  • Phan, Jimmy;Wakumoto, Kaylen;Chen, Jeffrey;Choi, Woochol Joseph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5-161
    • /
    • 2020
  • Background: The consequences of falls are often debilitating, and prevention is important. In theory, the lower the center of mass (COM), the greater postural stability during standing, and a weight belt at the waist level may help to lower the COM and improve the standing balance. Objects: We examined how the limit of stability (LOS) was affected by the lowered center of mass with the weight belt. Methods: Twenty healthy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LOS test. After calculating each participant's COM, a weight belt was fastened ten centimeters below the COM. Trials were acquired with five weight belt conditions: 0%, 2%, 4%, 6%, and 8% of body weight. Outcome measures included reaction time, movement velocity, endpoint excursion, maximum excursion, and directional control in 4 cardinal moving directions. Results: None of our outcome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a weight belt (p > 0.075), but all of them were associated with moving direction (p < 0.01). On average, movement velocity of the COM and maximum excursion were 31% and 18% greater, respectively, in mediolateral than anteroposterior direction (5.4°/s vs. 4.1°/s; 97.5% vs. 82.6%).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postural stability was not affected by the weight-induced lowered COM, informing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balance training strategies.

철도시설과 연계한 이리 도시구조와 도시경관의 근대성 해석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Modern Urban Structure and Urban Landscape of Iri(Iksan) in Connection with Railway)

  • 이경찬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6호
    • /
    • pp.63-76
    • /
    • 2012
  • Modern railway construction by Japanes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urbanization, transformation of urban structure and landscape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compressive increasing period in Iri(Iksan).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f railway on the modern urban structure and urban landscape in Iri(Iksan). Railways in Iri, Honam railway, Kunsan railway, Jeonla railway have been constructed progressively during 1911 and 1915 with Iri and old Iri(east-Iri) station. From the analysis of land registration maps and street plans, old photographies and historical records, some significant features underling railway construction can be followed in view of modern urbanization process in Iri. Firstly railways cut off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urban structure based on traditional spatial structure of Iksan. Secondly railways made dual spatial structure in Iri. Japanese and Korean life zone were divided into separate district around urbanization area and market place. Thirdly traditional space cognition system based on four cardinal directions were changed to front and rear space of railway station. Fourthly railways and stations caused neo-baroque spatial order and imperialistic urban landscape of Iri with axis, vista and gridiron plan. Fifthly break points and fringe belts garbling modern urbanization process are created. Sixthly modern cultural and consumptive urban spaces were taken their seats in relation with daily urban life.

「사쿠테이키(作庭記)」의 작정원리 연구 - 풍수론(風水論)을 중심으로 - (A Study on Garden Design Principles in "Sakuteiki(作庭記)" - Focused on the "Fungsu Theory"(風水論) -)

  • 김승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19
    • /
    • 2013
  • 본 연구는 11세기말경 일본 헤이안 시대에 편찬된 것으로 알려진 조원고서 "사쿠테이키(作庭記)"를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고찰한 것이다. "사쿠테이키"는 동아시아에서 그리고 세계적으로도 가장 오래된 조원이론서라 할 수 있는데, 대륙(한국과 중국)에서 연원한 일본 고대 정원문화의 지혜가 축적되어 있다. 정원문화와 관련된 동아시아의 전통 작정원리 중본 연구에서는 건강하고 복된 거처를 찾는 문화에서 형성된 풍수론(風水論)에 기반을 둔 것들을 추출하여 해석하였다. 풍수론은 중국 한나라 때 음양오행론과 함께 형성되어 정원을 포함한 인간의 거처 조성에 폭넓게 활용되었다. 이 전통은 한반도를 통하여 일본에 전래되고, 또 중국과의 직접 교류를 통해 일본 문화에 통합되었다. "사쿠테이키"에 나타난 작정원리들 중 동아시아의 풍수론에 근거한 것들은 "사신상응의 땅", "사방에 나무심기", "기의 흐름", "곡선과 비대칭", "산은 제왕 물은 신하"라는 주제어로 요약될 수 있다. "사신상응(四神相應)의 땅"과 "사방에 나무심기"라는 작정원리는 풍수의 "명당론(明堂論)"에 해당된다. "사쿠테이키"에서 말하는 사신상응의 땅은 동쪽에 유수(流水), 서쪽에 대도(大道), 남쪽에 연못(池), 북쪽에 언덕(岡)으로 둘러싸인 지세를 말하며, 중국의 양택풍수서인 "택경(宅經)"에 기원한다. 이 원리에 따라 도시가 계획되었고, 그 축소 모델로 귀족의 저택이 만들어졌다. 인공으로 조성된 사신(四神)인 계류와 연못이 있는 정원(南庭)은 명당자리에 해당된다. "사쿠테이키"에서는 또한 이와 같은 사신(유수, 대도, 연못, 언덕)이 없을 경우 사방에 나무를 심어 대신하는 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식재법은 "택경"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6세기 중국의 농서인 "제민요술(齊民要術)"에도 유사한 내용이 있다. 또한 식재하는 나무의 숫자를 추적한 결과, 고대 역(易)의 원리인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의 숫자와 관계가 있고, 한국의 "산림경제"에 나오는 용도서(龍圖墅: 하도(河圖)의 원리에 맞춘 별장)의 식재원리와 연결된다. 다음 "기의 흐름"과 "곡선과 비대칭"의 원리는 풍수의 "생기론(生氣論)"에 해당된다. "사쿠테이키"에서는 순류와 역류 방향을 통해 기의 올바른 흐름이 제시되고 있으며, "사쿠테이키"에서 제안하는 구불구불한 계류의 곡선, 다리와 돌의 비대칭적 구성, 그리고 연못의 들쭉날쭉한 가장자리선 등은 모두 기가 모이도록 하는 방법으로, 풍수의 생기론과 상통하는 원리이다. 마지막 원리인 "산은 제왕, 물은 신하"는 풍수의 "형국론(形局論)"에 해당된다. "사쿠테이키"는 정원을 만드는 의미를 산은 제왕, 물은 신하, 돌은 보좌신(輔佐臣)에 비유하여 설명한다. 왕이 보좌신의 도움을 받아 백성을 잘 다스리는 상황을 돌의 도움으로 산(흙)이 물을 조절하는 생태적 현상에 비유한 것이다. 이는 자연 지형을 사회체제나 인물, 동물, 사물 등에 비유하여 설명하는 풍수의 형국론과 통한다. 이상과 같이 "사쿠테이키"에 나타난 주요 작정원리들은 동아시아 전통인 풍수론의 맥락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쿠테이키"는 일본의 특정시대에 특정한 정원의 작정법을 기술한 책이지만, 거기에는 일본 고대의 정원문화, 나아가 동아시아 고대 정원문화의 지혜가 종합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그 중요성을 발견할 수 있다.

강원도(江原道) 중왕산(中旺山) 지역(地域) 소나무 천연림(天然林)내 숲틈 갱신(更新) 소나무의 수관(樹冠) Architecture (Crown Architecture of Pinus densiflora in Canopy Gap of Natural Forests at Mt. Joongwang in Kangwon-do)

  • 김영환;이돈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543-551
    • /
    • 2000
  • 소나무의 갱신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 소나무 천연림에서 교란에 의해 형성된 숲틈을 대상으로 line-transect 조사법에 의해 소나무의 수관 architecture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갱신 초기단계에 소나무는 숲틈에서 생장환경에 적응능력을 나타내었고 소개된 임분에서 자라는 소나무에 비해 architecture 특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소나무 천연림내 숲틈에서 소나무의 주 가지의 분지각의 변이폭은 작았고 주 가지의 길이 생장량은 가지 연령이 4~5년생 일 때까지 비교적 크게 나다났고 그 이후에는 점차 작아졌다. 숲틈에서 소나무의 줄기로부터는 주 가지가 평균 5개씩 발생하였고 주가지에서는 잔가지가 평균 4개씩 발생하였다. 줄기에서 발생한 주 가지는 방위별로 균일한 분포양상을 나타내었지만 주가지에서 발생하는 잔가지의 수는 숲틈의 크기가 $100{\sim}120m^2$이하일 때 주로 $S44^{\circ}E{\sim}S90^{\circ}W$ 사이의 방위에 많이 분포하였다.

  • PDF

CamShift 알고리즘의 Hand Tracking 기법을 응용한 Hand Motion 입력 장치 시스템 (The input device system with hand motion using hand tracking technique of CamShift algorithm)

  • 전유나;김수지;이창훈;김형률;이성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57-164
    • /
    • 2015
  • 기존의 대표적인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한정적이었으나 최근 들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입력장치들이 개발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특수한 device 없이 영상의 hand motion을 분석해 명령을 부여하는 새로운 형태의 입력장치를 제안한다. Cam-Shift 기법으로 skin color 영역을 이진화 하여 tracking 한 후, labeling을 통해 분리한 손가락 영역과 손 중심점과의 각도를 동서남북으로 구분해 counting하여 손동작을 인식한다. 손동작에 대한 입력은 맨손에 배경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약 76.8%의 낮은 인식률을 보였으나, 붉은색 장갑을 착용하고 배경을 지정해 줄 경우 잡영 제거의 영향으로 인식률이 90.2%까지 향상된다.

영남 유학과 기호 유학의 소통 사례와 지역갈등 융화 방안 (The Suggestions to harmony between Yeongnam(East)-Giho(West) region using friendly relationship of Confucian in Joseon Dynasty)

  • 김문준
    • 한국철학논집
    • /
    • 제54호
    • /
    • pp.9-42
    • /
    • 2017
  • 한국사회의 동서 지역 갈등을 극복하는 지속적인 소통 노력은 여전히 필요한 일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과거 한국 역사에 내재한 왜곡과 갈등의 역사를 수정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가운데 한국철학사상사 인식에서도 일반인들의 왜곡된 이해를 바로잡는 노력이 필요하다. 과거에 조선시대 한국 성리학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는 학파와 지역을 연계하여 영남학파 기호학파로 양분하고, 다시 학파와 정파를 연계하여 영남학파-남인, 기호학파-서인으로 양분하여, 이 양자를 지속적인 갈등 관계로 인식하는 경향이 많다. 이러한 왜곡된 이해는 수정되어야 한다. 동서(東西) 개념과 이와 연관한 학문 분화, 정치 갈등에 내재한 오해와 과장된 갈등 구조는 수정되어야 한다. 선조때 정치권이 동서(東西) 분당(分黨)이 되었는데, 이 때의 동서는 서울 내에서의 동서 지역을 의미하며, 영남(동)과 기호(서)가 아니다. 당시의 동서 분당과 영호남 지역인의 지역 분열은 관계없는 일이다. 사실 한국 성리학을 대표하는 많은 유학자들이 학파-정파-지역을 넘어 친밀하게 교류한 사례가 많다. 조선 중기의 조식과 성운, 이황과 기대승, 이황과 이이, 노수신과 이이, 조선 후기의 정경세와 김장생, 정경세와 송준길, 조선말의 곽종석과 김복한 등 당대를 대표하는 선비들은 서로 인격 존숭과 학문 교류에 기초한 친교가 깊었다. 이들 기호 영남 인사들의 친교 사례는 조선 선비들의 인격과 학문과 정신세계의 높은 수준을 표현하고 있다. 오늘날 이러한 한국 전통의 정신적 문화적 무형 자원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앞으로 영남(경상)-경기-호남(전라)-호서(충청) 지역의 선비들의 교류와 소통 사례를 더욱 발굴 홍보하여 영호남 화합의 정신문화적 토대로 활용해야 한다. 그 구체적 활용 방안으로는 동서 유학자들의 친교와 관계된 양 지역 지자체의 기관 교류, 공동 기념행사, 양 지역 유학자들의 명가(名家) 교류, 양 지역 박물관의 동서 화합 특별전 개최, 지역 축제 공동 개최, 공동 문화 프로그램 운영, 양 지역의 서원교류 등 선현들의 교류를 홍보하고 공동 사업으로 활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