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cass pric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9초

Study on the rumen fermentati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upplementation of lupin flake in Hanwoo steers

  • Kyung-Hwan, Um;Byung-Ki, Park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6호
    • /
    • pp.1077-1091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umen fermentation dynamics of lupin flakes and elucidate the effects of lupin flake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In vitro and in situ trials of lupin grains and lupin flakes were conducted using three Hanwoo cows with rumen fistulas. The feeding trial included 40 early-fattening Hanwoo steers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T1, T2, and T3. Their formula feed contained 0%, 3%, 6%, and 9% lupin flakes, respectively. In vitro rumen pH and ammonia concentrations were lower in the lupin flake group than in the lupin grain group after 6 and 24 h of incubation, respectively (p < 0.05). Concentrations of propionate, butyrate,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s were higher in the lupin flake group than in the lupin grain group after 12 h of incubation (p < 0.05), as was the crude protein disappearance rate at 9 and 12 h of rumen fermentation (p < 0.05). Supplementation with lupin flakes did not affect the average daily gain.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group, dry matter intake was lower in the lupin flake-supplemented groups (p < 0.05); the feed conversion ratio was lower in T2 and T3 (p < 0.05); and plasma total protein concentration in 29-month-old steers was lower in T1 and T3 (p < 0.05). Plasma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lower in the lupin flake-supplemented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5). The incidence rate of yield grade A was higher in T1 and T2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incidence rate of meat quality 1+ grade or higher was highest in T2. The carcass auction price was higher in T2 than in the other groups. Overall, compared to whole lupin grains, lupin flakes seem to more substantially affect rumen ammonia concentrations and crude protein disappearance rate. Additionally, we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with 6% lupin flake formula feed exerts positive effects on the feed conversion ratio, yield grade, and quality grade of Hanwoo steers.

Effects of dietary glycerol inclusion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glycogen content, and meat volatile compounds in Korean cattle steers

  • Piao, Minyu;Jung, Da Jin Sol;Kang, Hyeok Joong;Park, Seung Ju;Lee, Jin Oh;Kim, Minsu;Kim, Hyun Jin;Kim, Do Hyun;Seo, Ja Kyeom;Jo, Cheorun;Haque, Md Najmul;Baik, Myunggi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4호
    • /
    • pp.603-612
    • /
    • 2021
  • Objective: We have tested our hypothesis that inclusion of purified glycerol as a replacer of portions of dried distillers grain with solubles (DDGS) would affect growth performance, rumen fermentation and blood parameters, carcass and sensory traits, reducing sugar and glycogen contents, and volatile compound profiles in longissimus thoracis (LT) in Korean cattle steers. Methods: A total of 20 Korean cattle steers (27.0±0.2 months old; 647±10.5 kg body weight [BW]) were assigned to a conventional control group or a glycerol group (3.17% purified glycerol addition as a replacement for DDGS and molasses). The steers were individually allowed to receive the experimental concentrate at the daily amount of 1.5% of their individual BW and a total 1.0 of kg/d of rice straw twice daily. The feeding trial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20 weeks. Results: Glycerol supplementation (GS) increased (p = 0.001) concentrate intake. However, GS did not affect (p>0.05) average daily gain, feed efficiency, and ruminal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s. GS tended to increase (p≤0.10) serum glucose concentrations at the 16th and 20th weeks. GS decreased (p = 0.001) LT pH. GS did not affect (p>0.05) carcass traits and the chemical or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reducing sugar or glycogen contents, sensory traits, and most of volatile compounds in the LT. Conclusion: The inclusion of purified glycerol as a replacement for DDGS in the finishing diet did not affect growth performance,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and carcass quality in Korean cattle. The purified glycerol could be used as a substitute for other energy sources such as DDGS in beef cattle, depending on the price.

제한 급여 방법이 비육돈의 성장, 도체특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tricted Feeding Method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Efficiency in Finishing Pigs)

  • 민예진;정현정;김기현;김조은;유동조;정용대;김영화;김두완;최요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394-401
    • /
    • 2019
  • 본 실험은 제한 급여에 따른 비육돈의 성장, 도체특성 및 경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개시체중이 평균 81.52±1.11 kg인 3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Duroc)의 비육돈 24두를 사용하였으며, 2처리 12반복, 반복당 1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여 27일간 진행하였다. 본 실험의 처리구는 무제한 급여(AF, ad libitum feeding)와 제한 급여(RF, restricted feeding)로 나누었으며, 제한 급여에서 증량이 필요한 경우 하루 전날 급여한 양의 10% 수준에서 증량하였다. 사양성적에서 RF의 일일사료섭취량이 AF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나(p<0.001),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은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도체특성에서 도체중과 등지방두께는 AF와 RF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도체등급에 따른 경제성 평가에서 두당 총 지육단가는 AF와 RF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비에 따른 경제성 평가에서 RF의 총 사료섭취량과 총 사료섭취비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p<0.001), 1 kg 증체 사료비는 AF와 RF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비육기 제한 급여는 무제한 급여에 비해 총 사료섭취량과 총 사료섭취비를 개선시켜 사료비를 저감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의 닭고기 가격 결정 시스템 개선 (Improvement in Chicken Meat Pricing System in Korea)

  • 김정주;강병규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7-333
    • /
    • 2009
  • 한국의 닭고기 가격은 관행적으로 전날 생닭 가격 시세와 운반 비용을 합한 값을 육계 수율로 나누고 여기에 도축 제비용을 합하여 계산, 이를 고시하고 이 고시된 가격이 유통 당사자들의 거래 가격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그런데 한국의 육계는 85% 정도가 계열화 생산으로 이루어지므로 생닭 시세는 계열 주체와는 무관한 가격이다. 이러한 여건 하에서 닭고기 유통 단계별 이해 당사자의 손익을 따져 보면 생닭 가격이 낮으면 계열 주체는 적자를 보지만, 대리점 마진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반대로 생닭 가격이 높으면 계열 주체는 흑자를 보지만, 대리점 마진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생닭 가격 인상폭을 그대로 소비자 가격에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결국 생닭 가격과는 관련이 없는 계열 주체가 생닭 가격 등락에 따라 그들의 손익이 좌우되는 모순을 들어낸다. 따라서 닭고기 가격은 생닭 가격과는 무관하게 닭고기 생산 원가를 기준으로 하고 여기에 적정 이윤을 붙여 공장도 가격을 결정 대리점으로 넘기는 가격 결정 시스템이 정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경매 가격이 없는 닭고기 시장에서 거래에 기준이 될 만한 가격을 정하고 이를 널리 고시해야 한다. 일본에서는 일본 젠노 치킨푸드사와 같이 공공적인 특징을 가진 경영체로 하여금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매일 닭고기 희망 가격을 발표케 하고 이를 닭고기 거래에서 참고하도록 하고 있다. 한국도 생닭 가격을 기준하여 계산한 닭고기 가격 결정 방식을 버리고 NH사로 하여금 매일 닭고기 희망 가격을 발표케 함으로써 닭고기 거래의 기준이 되게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물론 NH사의 닭고기 시장 점유율은 5%에 지나지 않지만 그 공공성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NH사는 농협중앙회 자회사이기 때문이다.

Carcass Traits and the Quality of Meat from Cattle Finished on Diets Containing Barley

  • Oliveros, M.C.R.;Park, K.M.;Kwon, E.G.;Choi, N.J.;Chang, J.S.;Hwang, In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1호
    • /
    • pp.1594-1608
    • /
    • 2009
  • Research on barley as an animal feed started some decades ago but its utilization in animal production has been limited to countries that grow the crop extensively. Corn has been the most popular energy feed in cattle rations, but the high price of corn and the decreased supply of the grain in the international market have shifted the focus of the animal industry to other cereal crops like barley. Studies have indicated that growth performance of cattle fed barley-based diets has been generally comparable with that of those fed corn-based diets, while results for cattle fed whole-crop barley silage have been more variable. Beef from cattle fed barley-based diets has proved to be as tender and as acceptable for taste as that from animals fed other finishing diets when compared at similar growth rates and degree of finish. The barley crop contains good amounts of antioxidants like 2"O-GIV isovitexin, so from the meat science point of view, a desirable influence of these components on meat quality traits such as meat color, oxidative stabi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might be expected. Furthermore, the effect of the distinctive fatty acid profile of beef fed from whole-crop barley silage on sensory traits is also an important subject to be elucidated. A lot of studies have been made over past decades on the effect of barley, and especially whole crop barley, on beef cattle production and meat quality, but these data have not been collectively documented in a review. The current review re-visits previous literature to underline the effects of barley in the diet on beef quality traits and to identify areas for further studies.

수용성 지방유화제 첨가가 비육후기 한우거세우의 발육과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ed PROSOL® as an Emulsifier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s of Final Fattening Period)

  • 정준;황정미;성낙일;김정배;황일기;김용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395-406
    • /
    • 2009
  • 한우 거세 비육우에 출하 전 90일간 지방유화제를 첨가 급여하거나 지방유화제를 함유사료 급여시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TP구에서 낮았으나 DSP구와는 차이가 없었다(P>0.05).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DSP구에 비하여 TP구가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수송감량과 도체수율에는 지방유화제의 첨가 유무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방유화제 첨가유무가 육량형질(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냉도체중 및 육량지수)에 영향하지 않았고, 등지방두께는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TP구와 DSP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두꺼운 경향을 보였다(P>0.05). 근내지방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TP구와 DSP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처리간의 차이도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001). 조직감과 성숙도가 대조구에 비하여 TP구와 DSP구가 개선되어(P<0.01), 육질등급은 대조구에 비하여 TP구와 DSP구가 매우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TP구에 비해서 DSP구 역시 유의적인 개선효과가 인정되었다(P<0.0001). 지육 kg 당경락가격은 대조구(17,650원)에 비하여 TP구(18,586원) 및 DSP구(19,266원)가 높았다(P<0.01). 육질등급출현율(1등급이상)은 대조구 55.4%, TP구 88.9% 및 DSP구 100%의 출현율을 보였다. 도체형질간의 상관관계에서 출하체중은 등심단면적(r=0.41), 냉도체중(r=0.93) 및 성숙도(r=0.38)와 정의 상관관계 (P<0.01)에 있고 조직감과 부의상관 (r=-0.24, P<0.05)이었다. 등지방두께는 육량지수와 육량등급에 부의 상관(r=-0.97, -0.89, P<0.01)이었고 등심단면적과는 정의상관(r=0.30, P<0.05)을, 근내지방과는 정의상관(r=0.34, P<0.01)이 있었다. 등심단면적과 정의 상관에 있는 형질은 냉도체중(r=0.44, P<0.01), 근내지방도(r=0.39, P< 0.01) 및 육질등급(r=0.41, P<0.01)이었다. 수용성 지방유화제를 한우 비육후기 사료에 이용할 경우 포화도가 높은 우지의 함량을 줄이면서 불포화지방산의 체내 저류시간을 장기화함으로써 사료중의 지방급원의 이용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근내지방도를 현저하게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한우 비육후기사료에 활용할 경우 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한우 거세우에서 수행한 본 연구의 이 같은 발육성적과 도체의 성적을 고찰함에 있어서 단계별 혈액분석과 등심중의 지방산조성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체중' 출하돈의 성장효율, 도체 품질 특성 및 수익성 (Growth Efficiency, Carcas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ofitability of 'High'-Market Weight Pigs)

  • 박만종;하덕민;신호원;이상훈;김원기;하승호;양한술;정진연;주선태;이철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459-470
    • /
    • 2007
  • 비육돈의 출하체중은 육질은 물론 양돈업의 수익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이 등, 2006). 출하체중은 품종 및 사양프로그램 등과 같은 내적인 요인과 소비자 집단의 문화, 전통 및 기호 성향은 물론 도축․가공업자의 요구 등 다양한 외적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Kim 등, 2005). 세계적으로 지난 20~30년 동안 비육돈의 출하체중은 5~20kg 증가하였는데 이는 무엇보다도 종돈 자체가 적육 생산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육종되어 재래의 돼지에 비해 현대의 비육돈은 체중 증가에 따른 지방침적의 증가 정도가 저하되어 일정 한도까지는 출하체중이 증가할수록 돈육의 생산원가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비육돈의 출하체중은 주로 국가에 따라 90~140kg 범위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고, 미국의 경우는 주에 따라 92~137kg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NASS, 2006).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종돈은 구미 지역에서 도입된 적육형일 뿐만 아니라 국내 돈육 소비자는 구미의 소비자에 비해 삼겹살과 같이 지방 함량이 높은 부위를 선호하는 등 돼지지방에 대해 관대하여 출하체중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 그러나 국내 비육돈의 출하체중은 2003년 이후 110kg 수준에 정체되어 구미 지역보다 5~20kg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앞으로 국내 비육돈의 출하체중을 높일 수 있는 여지가 많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이 등, 2006)에서 경남지역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육되고 있는 계통의 비육돈을 110kg 대비 130kg까지 비육․도축하여 도체특성 및 경제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결과를 얻었다. 본 지역의 대표적인 비육돈은 적육형이기 때문에 생체중 110kg 대비 130kg 출하돈은 사료섭취량과 등지방두께는 다소 증가하고 사료효율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일당증체량은 저하되지 않았고, 암퇘지와 거세돼지의 등지방두께는 각각 다소 얇게 & 다소 두껍게 평가되었으며, 도체품질의 척도가 되는 근육의 이화학적 특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익성 면에 있어서는 110kg 출하돈 대비 130kg 출하돈은 두당 약 20,000원의 손실이 발생하는데 이는 도체품질과는 관계없이 거의 전적으로 A & B 등급의 한계도체중 초과로 인한 도체등급 저하 때문에 발생한 손실로서 만일 이들 등급의 도체중 상한선이 철폐되기만 한다면 130kg 출하돈이 110kg 출하돈보다 훨씬 더 경제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진은 현행 도체등급 판정 기준을 무시한 암퇘지와 거세돼지의 적정 출하체중은 각각 135 & 125kg 수준이고 이때 암퇘지와 거세돼지의 등지방두께 예측치는 각각 22.5 & 24.0mm라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결론과 같이 암퇘지와 거세돼지를 각각 135 & 125kg까지 비육․도축했을 때 성장효율, 도체의 품질 관련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수용성 및 경제성을 분석하여 기 발표된 결론의 타당성을 확인․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동결(凍結) 돈육(豚肉) 저장(貯藏) 중(中)의 변화(變化) (Physicochemical Changes of Pork During its Frozen Storage)

  • 박석원;강통삼;민병용;서기봉;양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4-40
    • /
    • 1980
  • 돈육(豚肉)의 비축(備蓄)을 통(通)하여 축산물(畜産物) 가격(價格)의 안정화(安定化)에 기여(寄與)할 목적(目的)으로 도살(屠殺) 후(後) 48시간(時間) 예냉(豫冷)시킨 돈육(豚肉)을 급속(急速) 동결(凍結)하여 $-20^{\circ}C$에서 12개월(個月) 간(間) 저장(貯藏)하였을 때, 3개월(個月) 경과시(經過時) 마다 해동(解凍) 감량(減量), pH, 보수성(保水性), VBN, TBA 치(値) 및 관능(官能) 검사(檢査) 등(等)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각(各) 저장(貯藏) 기간(其間) 별(別) 해동(解凍) 시(時) 감량(減量)은 1% 이하(以下)이었다. 2. 이분체(二分體) 저장고(貯藏區)의 pH는 저장(貯藏) 기간(其間)이 길어짐에 따라 약간 상승(上昇)하였으나 부분육(部分肉) 저장구(貯藏區)의 pH는 변화(變化)가 미소(徵小)하였다. 3. 보수력(保水力)은 이분체(二分體) 저장구(貯藏區)는 약(約) $50{\sim}60\;%,$ 부분육(部分肉) 저장구(貯藏區)는 약(約) $55{\sim}62\;%$ 이었으며 VBN은 각(各) 구(區) 모두 $11{\sim}18mg% 범위(範圍)로써 동결(凍結) 저장(貯藏) 중(中) 크게 변화(變化)되지 않았다. 4. TBA 치(値)는 6개월(個月) 저장(貯藏) 시(時)까지는 ($0.1{\sim}0.15$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으나 9개월(個月) 저장(貯藏) 후(後)에는 (0.25) 증가(增加)되었다. 5. 저장(貯藏) 돈육(豚肉)의 연도(軟度) 및 즙액도(汁液度)는 12개월(個月) 간(間) 저장(貯藏) 후(後)에는 저하(低下)되었으나 일반(一般) 소비자(消費者)들에 의(依)한 수용(受容) 반응(反應)은 여전히 양호(良好)하였다.

  • PDF

Gender discrimination and multivariate analysis using deboning data

  • Shim, Joon-Yong;Kim, Ha-Yeong;Cho, Byoung-Kwan;Lee, Wang-Hee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23-23
    • /
    • 2017
  • Recent favor on high quality food and concern on food safety have demonstrated the superiority of Hanwoo (Korean native cattle). In general, the price of cow is higher than those of steer and bull, causing cheating issues in the market. Hence, this study is to discriminate genders of Hanwoo with identification of factors which highly influence gender discrimination based on the big-size deboning data. Totally, there were 31 variables in the deboning data, and we divided into them two categories: data obtained before and after deboning.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as then applied into the data to determined the accuracy of gender discrimination in Hanwoo. The result showed that Hanwoo could be classified by gender with 99.2% of accuracy when using all 31 variables. In detail, it was possible to identify 93 of 94 bulls (98.9%), 96 of 96 cows (100%) and 74 of 75 steers (98.7%).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was chuck, sirloin, armbone shin, plates, retail and cuts percentage, sequentially. With variables obtainable before deboning, accuracies of classification were 91.5% for bulls, 92.7% for cows, and 89.3% for steer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was water, cold carcass weight and back-fat thickness. The discrimination accuracy was higher with data obtainable after deboning: bulls (98.9%), cows (99.0%) and steers (98.7%). In this case, chuck, sirloin and armbone shin were the factors determined the classification ability. This study showed that Hanwoo can be classified based on deboning data with appropriate statistics, further suggesting weight of cut of beef might be the standard for gender classification.

  • PDF

United States beef quality as chronicled by the National Beef Quality Audits, Beef Consumer Satisfaction Projects, and National Beef Tenderness Surveys - A review

  • Gonzalez, John Michael;Phelps, Kelsey Je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7호
    • /
    • pp.1036-1042
    • /
    • 2018
  • Meat quality is a very difficult term to define because it means different things to different people. When purchasing beef, consumers in the United States are likely to consider color, price, marbling level, subcutaneous fat trim, or cut thickness when determining the quality of beef. Once consumers have consumed the product, meat quality becomes exponentially more difficult to define due to the subjective nature of this term. Traditionally, tenderness, juiciness, and flavor have been considered the thre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palatability of beef. Therefore, American meat science beef research and industry focus has turned to measuring and quantifying these 3 attributes objectively and subjectively, and to determining what influences them. In reviewing the scientific literature, attempting to meaningfully summarize the findings of the thousands of studies on beef meat quality is impossible due to the inherent differences in the objective and methodology of studies. Fortunately, the United States beef industry and their national trade association, the National Cattlemen's Beef Association (NCBA), have conducted numerous surveys and audits to characterize the quality of the products being produced and marketed by their cattlemen and the palatability perceptions of their consumers. The data produced by these studies is quite large and impossible to summarize in entirety in this review. Therefore, this review concentrates on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that determine the value of a beef carcass and objectively measured and consumer-assessed palatabi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meat from these carcasses from 1987 through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