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xylic acid

검색결과 705건 처리시간 0.03초

카복실산 용액에서 양극산화에 의해 형성된 나노다공성 금 표면상의 전기화학적 글루코오스 산화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Glucose at Nanoporous Gold Surfaces Prepared by Anodization in Carboxylic Acid Solutions)

  • 노성진;정화경;이금섭;김민주;김종원
    • 전기화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4-80
    • /
    • 2013
  • 세 가지 종류의 카복실산(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용액 하에서 양극산화 반응을 통한 나노 다공성 금(nanoporous gold, NPG) 구조의 형성과 NPG 전극 표면 상의 전기화학적 글루코오스 산화반응을 관찰하였다. 세 가지 카복실산 용액 조건 중에서 포름산 용액 조건하의 양극산화를 통해 형성된 NPG 전극에서 글루코오스의 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포름산 용액 조건하의 양극산화 과정에서 가장 우수한 글루코오스 산화 활성을 얻기 위한 최적 조건은 인가전위 5.0 V와 반응시간 4시간이었다. 카복실산 용액 하에서 형성된 NPG 상의 전기화학적 글루코오스 산화 활성을 염소이온의 부재 및 존재 하 조건에서 관찰하고, 이를 옥살산 용액 하에서 형성된 NPG 상의 거동과 비교 분석하였다. 포름산 용액 하에서 최적 조건으로 형성된 NPG 전극상에서 글루코오스의 전류법 검출 응용을 제시하였다.

첨가제에 따른 변성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마찰에 의한 표면 파괴 거동 연구 (A Study on Friction-induced Surface Fracture Behaviors of Carboxylic Acid Modified Styrenic Thermoplastic Elastomer as Additives)

  • 전준하;박상민;이진혁;엄기용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3호
    • /
    • pp.95-10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 산화아연, 아연이온이 코팅된 실리카가 carboxylic acid로 변성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m-TPS) film의 마찰시 표면 파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일반 실리카를 첨가한 m-TPS film은 실리카 입자간의 강한 filler-filler interaction에 의한 낮은 분산성 때문에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과 마찰시 표면 파괴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아연 또는 아연이온이 코팅된 실리카를 첨가한 m-TPS는 zinc ion과 carboxylic acid group 간의 ionic cluster 형성을 통하여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과 마찰 시 표면 파괴가 개선되었다. Zinc ion과 carboxylic acid group 간의 ionic cluster 형성은 $1550{\sim}1650cm^{-1}$의 zinc carboxylate group stretch 피크의 FT-IR 분석 결과로 확인하였다.

이온결합 형성에 따른 이액형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기계적 특성 향상 (Enhanc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2K Polyurethane Adhesives via Forming Ionic Bonds)

  • 권하은;김두헌;김구니
    • 접착 및 계면
    • /
    • 제22권4호
    • /
    • pp.128-13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acid group을 포함하는 acid 폴리올을 합성하였고, acid 폴리올을 함량별로 도입하여 신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개발하였다. Acid 폴리올 도입하였을 때 acid content가 0.1~0.3 wt%일 때 기계적 물성이 최댓값을 나타냈으며, 0.5 wt% 이상의 함량에서는 기계적 물성 및 접착 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cid group으로는 carboxylic acid와 sulfuric acid를 도입하여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carboxylic acid가 sulfuric acid보다 강한 수소 결합력을 보이며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ZnO와 CaCO3를 도입하여 입자의 크기와 물성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ZnO와 CaCO3를 도입한 경우 acid group과 이온결합이 형성되어 기계적 물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Sulfuric acid를 도입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의 슬립특성 및 기계적 물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lip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Containing Sulfuric Acid)

  • 목동엽;신현등;김동호;김구니;김인수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4호
    • /
    • pp.256-262
    • /
    • 2013
  • Sulfuric acid group을 도입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제조하였으며, sulfuric acid의 함량을 변경하여 acid 함량에 따른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carboxylic acid를 도입한 폴리우레탄을 제조하여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acid group을 도입함으로써 인장강도, 마모 등 기계적 물성 및 그립 특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Acid 함량별로 물성을 측정한 결과, 일정한 함량까지 기계적 물성은 증가하며 일정 함량 이상에서는 기계적 물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t slip의 경우 또한 acid group 도입에 의해 친수성이 증가함으로 acid 함량이 증가할수록 wet slip은 증가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rboxylic acid를 도입한 폴리우레탄과 비교 결과, 수소결합력이 약해 기계적 물성은 낮게 나타났으나 rebounding 특성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enolic Compounds from Duchesnea chryszntha and their Cytotoxic Activities in Human Cancer Cell

  • Lee, Ihn-Rhan;Yang, Mi-You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7권6호
    • /
    • pp.476-479
    • /
    • 1994
  • Five po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80% aq. acetone extract of Duchesnea chyrysantha. Their crytotoxicities were screened by the colorimetric tetrazolium assay (MIT assay). Gallic acid, methyl caffeate, protocatechuic acid and pedunculagin mildly inhibited the survival of $PC_{14}{\;}and{\;}MKN_{45}$ human cancer cell. Brevifolin carboxylic acid showed a strong cytotoxic activity.

  • PDF

알카리성 분위기에서 소석고의 수화에 미치는 카르복실산의 영향 (Effect of Carboxylic Acid on the Hydration of Plaster of Paris under Alkalinity)

  • 이승헌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1107-1114
    • /
    • 1994
  • Although various theories have been presented on the mechanism of setting retardation of plaster in addition to organic admixtur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at Hydration studies of plaster of paris in the presence of carboxylic acids under alkalinity are examined in the coordination chemistry. Setting of plaster of paris is retarded by the addition of carboxylic acids except oxalic acid. And setting of plaster of paris contained 5 wt% of Ca(OH)2 is also retarded by the addition of above-mentioned carboxylic acids. The degree of retarding effect under alkalinity is found to be a function of the number of the functional group and the length of carbon chain of carboxyl acids. These reasons are attributed to the soluble complex formation, that is calcium complex formation between calcium ion and carboxylic acids. The author's proposal was confirmed by the results of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ment. The formation of calcium complex was surpported by IR spectra.

  • PDF

포스핀류가 배위된 팔라듐 착물에 의한 불포화카르복실산의 카르보닐화 고리반응 (제 3 보). 팔라듐 (0, II)-포스핀계 착물에 의한 불포화카르복실산의 카르보닐화 반응 및 그의 이론적 연구 (Carbonylative Cyclization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by Palladium Complexes with Phosphines [III] Palladium (0, II)-Phosphine Complexes Catalyzed Cabonylation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It's Theoretical Studies)

  • 도명기;김봉곤;정맹준;송영대;박병각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903-909
    • /
    • 1993
  • 팔라듐(0, II)-포스핀계 착물을 촉매로 하여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및 3-butenoic acid 같은 불포화가크복실산의 카르보닐화 고리반응에서 생성가능한 물질의 구조를 확인하고, 그 반응메카니즘을 MM2 와 EHMO 계산에 의해서 추정하였다. 이 반응은 ${\pi}$ -착물을 거쳐 금속 함유 고리화합물을 만든 다음 산화성 첨가반응과 환원성 제거반응이 일어나 진행된다. ${\pi}$ -착물을 안정화시키는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등은 카르보닐화 고리반응이 진행되지 않고, 3-butenoic acid는 무수카르복실산 유도체로서 glutaric anhydride와 3-methylsuccinic anhydride 및 이중결합이 자리옮김된 crotonic acid가 얻어졌다.

  • PDF

Fluoro-quinolone Carboxylic Acid 유도체로부터 탄소-불소 및 수소-불소간 Coupling Consstants의 조사 (Survey of Carbon- and Proton-Fluorine Coupling Constants in Fluoro-quinolo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 고동수;이인원;임융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7호
    • /
    • pp.550-555
    • /
    • 1998
  • Fluoro-quinolone carboxilic acid 유도체에서, 탄소-불소간 one bond coupling constants는 위치와 무관하게 249 Hz에서 257 Hz 사이의 값을 갖는데, geminal 및 vicinal coupling constants는 위치에 따라 그 값의 차이가 많이 생긴다. 즉, seminal coupling constants는 6 Hz에서 23 Hz의 값을 보이고 vicinal coupling constants는 1.9 Hz에서 7 Hz의 값을 보인다. 또한 수소-불소간 three bond coupling constants는 9 Hz에서 10.3 Hz의 값을 보이고, four bond coupling constants는 6 Hz에서 8.3 Hz의 값을 보인다.

  • PDF

카복실산으로 표면개질된 다중층 탄소나노튜브의 구조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Carboxylic Acid-functionaliz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 김정수;이건웅;오원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878-882
    • /
    • 2007
  • Carboxylat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NTs) were in detail characterized by XRD, XPS, FTIR, and thermogravimetric measurements. Carboxylic acid groups were functionalized to MWNTs under aqueous acid condition. The changes of sonication and reflux conditions rarely influenced the degree of carboxylation on MWNTs, but decreased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resultant carboxylated MWNTs. XRD results showed that the diffraction peaks (100), (101), and (102) of pristine MWNTs disappeared after acid treatment, but the diffraction peak (002) was Preserved in the carboxylated MWNTs. The introduction of carboxylic acid groups on MWNTs caused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the resultant carboxylated MWNTs in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