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reduction

검색결과 2,320건 처리시간 0.025초

개인성향 요인이 탄소저감형 교통서비스 잠재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Attitudinal Factors on Stated Preference of Low-carbon Transportation Services)

  • 이윤희;이경재;추상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9-65
    • /
    • 2023
  • 최근 전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국제사회가 '탄소중립'을 선언하면서 '탄소'를 고려한 다양한 수단선택모형 연구가 실시되고 있으나, 탄소에 대한 개인성향을 반영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탄소저감형 이동수단(전동킥보드 등)을 포함한 대중교통 서비스로 SPT(Sustainable Public Transit)라는 새로운 수단을 제시하고, 수도권 통근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SP(Stated Preference)조사를 활용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응답자의 탄소에 대한 개인성향을 분석한 후, 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하여 SPT에 대한 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SPT 잠재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소득, 개인성향('새로운경로 탐색에 대한 열정', '수단간 환승 선호', '탄소저감지식', '탄소저감실천') 변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단선택모형 구축시 수단의 속성변수로 탄소배출량을 선정하거나, 탄소저감과 관련한 개인성향 변수를 구축했다는 부분에서 의의가 있다.

여러 가지 pH 수용액에서 Bis-Cobalt Phenylporphyrin 유도체들에 의한 산소의 전극 촉매적 환원 (The Electrocatalytic Reduction of Oxygen by Bis-Cobalt Phenylporphyrins in Various pH Solutions)

  • 최용국;조기형;박종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735-743
    • /
    • 1993
  • Cofacial bis-cobalt tetraphenylporphyrin(Co-TPP) 유도체 화합물들이 수식된 유리질 탄소 전극과 carbon microelectrode을 작업 전극으로 사용하여 여러가지 pH 용액에서 순환 전압전류법 및 시간 전류법에 의해 산소의 환원반응을 조사하였다. 산성용액에서 monomer인 cobalt tetraphenylporphyrin 화합물이 수식된 전극에서 산소의 환원반응경로는 중간 생성물인 H$_2$O$_2$로 가는 2전자 반응으로, dimer인 cofacial bis-cobalt tetraphenylporphyrin 유도체 화합물들이 수식된 전극에서는 최종 생성물인 H$_2$O로 가는 4전자 반응으로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산소의 환원반응은 전체적으로 비가역적이며 확산지배적인 반응으로 주어졌다. pH 변화에 따른 산소의 환원전위는 pH 13에서 pH 4 까지는 직선관계가 성립하였으나 강한 산성용액에서는 이들 관계가 성립하지 않았다. 산성용액에서 산소의 환원전위는 알몸 유리질 탄소전극에서 보다 monomer Co-TPP 화합물이 수식된 유리질 탄소전극에서는 400 mV만큼, dimer Co-TPP 화합물이 수식된 전극에서는 750 mV 만큼 더 양전위 방향으로 이동되었다.

  • PDF

카본나노튜브 나노유체의 동점성계수 증가로 인한 관내 유동에서의 항력 감소 (Drag Reduction Induced by Increased Kinematic Viscosity of Nanofluids Containing Carbon Nanotubes in A Horizontal Tube)

  • 유지원;정세권;최만수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71-277
    • /
    • 2013
  • This article reports the drag reduction phenomenon of aqueous suspensions containing carbon nanotubes (CNTs) flowing through horizontal tubes. Stable nanofluids were prepared by using a surfactant. It is found that the drag forces of CNT nanofluids were reduced at specific flow conditions compared to the base fluid. It is found that the friction factor of CNT nanofluids was reduced up to approximately 30 % by using CNT nanofluids. Increased kinematic viscosities of CNT nanofluids are suggested to the key factors that cause the drag reduction phenomenon. In addition, transition from laminar to turbulent flow is observed to be delayed when CNT nanofluids flow in a horizontal tube, meaning that drag reduction occurs at higher flow rates, that is, at higher Reynolds numbers.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High Pressure Carbon Dioxide on Metal Electrodes and Gas Diffusion Electrodes

  • Hara, Kohjiro;Sakata, Tadayoshi
    • 분석과학
    • /
    • 제8권4호
    • /
    • pp.683-689
    • /
    • 1995
  •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under high pressure on Fe electrodes and a gas diffusion electrode containing Pt catalyst (Pt-GDE) had been investigated. Formic acid was formed on Fe electrode with a faradaic efficiency of 60% at a current density of $120mA\;cm^{-2}$ under 30 atm of $CO_2$. Hydrocarbons such as $CH_4$, $C_2H_6$, $C_3H_6$, $1-C_4H_8$, and $n-C_5H_{12}$ are also formed. The distribution of hydrocarbons followed well the Schultz-Flory distribution. $CH_4$ was formed efficiently as the main reduction product on Pt-GDE.

  • PDF

항공기용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의 기술동향 (Technique Status of Carbon Fibers-reinforced Composites for Aircrafts)

  • 김기석;박수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2호
    • /
    • pp.118-124
    • /
    • 2011
  • 최근 모든 산업분야에서 기존 소재의 물성을 뛰어넘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을 만족하는 새로운 소재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연료 절감과 이산화탄소($CO_2$)와 같은 온난화 가스 배출의 절감을 통한 환경보호가 요구됨에 따라 우주항공 산업에서는 신규 소재를 통한 구조체 경량화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또한, 신규 소재의 다양한 응용을 위하여 우수한 기계적 물성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특성에 부합되는 고기능성 맞춤형 재료의 개발은 현재의 재료 과학기술의 최우선적인 목표이며, 이러한 맞춤형 재료에 가장 근접한 소재는 탄소섬 유강화 복합재료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최근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는 항공기 경량화를 위한 필수적인 물질로서 그 수요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항공기의 경량화를 위한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의 필요성과 더불어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의 기술동향에 대하여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Li(NCM)O2계(係) 이차전지(二次電池) 공정(工程)스크랩의 탄소환원처리(炭素還元處理)에 의한 리튬회수(回收) 및 NCM 분말(粉末)의 침출거동(浸出擧動) (Recovery of Lithium and Leaching Behavior of NCM Powder by Carbon Reductive Treatment from Li(NCM)O2 System Secondary Battery Scraps)

  • 김대원;장성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4호
    • /
    • pp.62-69
    • /
    • 2013
  • $Li(NCM)O_2$계 폐리튬전지 공정 스크랩의 재활용 연구의 일환으로서 리튬화합물의 회수와 NCM전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침출거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탄소를 이용하여 층상 구조의 NCM계 산화물 분말을 분해시켰으며, $600^{\circ}C$ 이상의 탄소반응으로 리튬은 탄산리튬으로 변화시켰다. 탄산리튬은 수세 후 농축과정을 거쳐 순도 99% 이상의 탄산리튬 분말로 회수하였다. 그리고 탄소에 의한 환원 반응율은 $800^{\circ}C$에서 약 88%을 나타내었으며, 탄소환원 처리 후 분말에 대한 황산 침출 결과, 2M 이상의 황산농도에서 코발트, 니켈, 망간의 침출율은 99% 이상이었다.

Mesoporous Carbon as a Metal-Free Catalyst for the Reduction of Nitroaromatics with Hydrazine Hydrate

  • Wang, Hui-Chun;Li, Bao-Lin;Zheng, Yan-Jun;Wang, Wen-Yi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9호
    • /
    • pp.2961-2965
    • /
    • 2012
  • Mesoporous carbons with tailored pore size were prepared by using sucrose as the carbon source and silicas as the templates. The silica templates were obtained from a hydroxypropyl-${\beta}$-cyclodextrin-silica hybrids using ammonium perchlorate oxid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to remove the organic matter. The structures and surface chemistry properties of these carbon materials were characterized by $N_2$ adsorption, TEM, SEM and FTIR measurements. The catalytic performances of these carbon material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reduction of nitroaromatic using hydrazine hydrate as the reducing agent. Compared with other carbon materials, such as active carbon, and carbon materials from the silica templates obtained by using calcination to remove the organic matter, these carbon materials exhibited much higher catalytic activity, no obvious deactivation was observed after recycling the catalyst four times. Higher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and the presence of abundant surface oxygen-containing functional groups, which originate from the special preparation process of carbon material, are likely responsible for the high catalytic property of these mesoporous carbon materials.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환원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Using a Proton Exchange Membrane)

  • 김학윤;안상현;황승준;유성종;한종희;김지현;김수길;장종현
    • 전기화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16-221
    • /
    • 2012
  • 전기화학적 환원을 통한 이산화탄소의 활용을 위한 노력은 오래 전부터 계속되어 왔다. 최근에는 액체연료 중 가격이 비싸고 그 활용도가 높은 포름산의 생성을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실제 포름산을 생성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효율의 개선과 분석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환원을 이용한 포름산 생성에 필요한 시스템의 제조, 반응 조건의 개발 및 분석 방법의 정량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환원을 통한 포름산의 생성을 진행하고 생성된 포름산의 양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셀은 양이온 교환막을 사용하는 대용량의 회분형 셀을 이용하였으며 전위차계를 통하여 삼전극에서 전기화학 실험을 진행하였다. 전기화학 실험은 다양한 촉매 금속을 이용하여 선형 전위 주사법과 chronoamperometry를 통해 진행했으며 이 때 기준전극은 염화은 전극을 이용하였고 상대전극은 백금 전극을 사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생성된 포름산의 농도를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를 통하여 분석하여 시스템의 적정성과 분석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Selective Reduction of $\alpha,\beta$-Unsaturated Ketones with Borohydride Exchange Resin-$CuSO_4$ in Methanol

  • Yoon, Nung-Min;Sim, Tae-B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4권6호
    • /
    • pp.749-752
    • /
    • 1993
  • Borohydride exchange resin $(BER)-CuSO_4$ system readily reduces {\alpha},{\beta}$-unsaturated ketones to the corresponding saturated alcohols quantitatively. This reduction tolerates many functional groups such as carbon-carbon multiple bonds, chlorides, epoxides, esters, amides and nitriles.

Carbon Reduction Investments under Direct Shipment Strategy

  • Min, Daiki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21권1호
    • /
    • pp.25-29
    • /
    • 2015
  • Recently much research efforts have focused on how to manage carbon emissions in logistics operations. This paper formulates a model to determine an optimal shipment size with aims to minimize the total cost consisting not only of inventory and transportation costs but also cost for carbon emissions. Unlike the literature assuming carbon emission factors as a given condition, we consider the emission factors as decision variables. It is allowed to make an investment in improving carbon emission factors. The optimal investment decision is shown to be of a threshold type with respect to unit investment costs. Moreover, the findings in this work provide insights on the various elements of the investment decision and their imp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