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amate pesticid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9초

Bacterial Mixture from Greenhouse Soil as a Biocontrol Agent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on Oriental Melon

  • Seo, Byoung-Joo;Kumar, V.J. Rejish;Ahmad, Rather Irfan;Kim, Byung-Chun;Park, Wan;Park, So-Deuk;Kim, Se-Eun;Kim, Sang-Dal;Lim, Jeong-Heui;Park, Yong-H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호
    • /
    • pp.114-117
    • /
    • 2012
  • The biological control efficacy of a greenhouse soil bacterial mixture of Lactobacillus farraginis, Bacillus cereus, and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s with antinematode activity was evaluated against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Two control groups planted in soil drenched with sterile distilled water or treated with the broad-spectrum carbamate pesticide carbofuran were used for comparis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bacterial mixture is effective as a biocontrol agent against the root-knot nematode.

Ellman 효소법에 의한 대전시 상수도내 살충제의 잔류농도 결정 및 그 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aining Concentration of Pesticides in Tap Water of Taejon City by Ellman′s Enzyme Method and the Countermeasure)

  • 이봉호;이영순;전종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26
    • /
    • 1999
  • The degree of pesticides accumulation in tap water in Taejon from June 1995 to Apr 1996 was measured by Ellman's coupled enzyme assay. Since organic phosphate and carbamate pesticides specifically inhibit the neurotransmitter modulating enzyme acetylcholinesterase(AChE), the enzyme activity can be used as a diagnosis for the pesticides accumulation in water and various samples. During the period of this study, the enzyme activity was changed almost every week. The lowest enzyme activity was 64 % of that of the control reaction and there are several days showing about 100 % enzyme activity. In general, the enzyme activity is higher in summer than other seasons especially early spring times. The pH value of tap water was very close to neutral(pH 7.0) and it seems that the enzyme activity was not affected by the small pH changes. Either boiling of tap water or addition of NaOH solution decomposed the pesticide components. These results show that AChE assay is a convenient, sensitive, and reliable method for detection of pesticides in water samples.

  • PDF

제제방법별(製劑方法別) 혼합입제(混合粒劑) 농약(農藥)의 특성(特性)과 약효(藥效)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fficacy of Combined Pesticide Granules Formulated by Different Ways)

  • 오병열;박영선;심재완;강창식;이형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1호
    • /
    • pp.90-95
    • /
    • 1986
  • 입제농약(粒劑農藥)의 제제방법(製劑方法)에 따른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과 병해충 방제효과를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습식법(濕式法)과 피복법(被覆法)으로 제조(製造)한 probenazole + carbofuran(6%+3%)입제(粒劑)를 공시약제供試藥劑)로 하여 실내(室內) 및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피복법(被覆法)에 의한 입제(粒劑)는 습식법(濕式法)에 의한 입제(粒劑)보다 주성분(主成分)의 경시안정성(經時安定性)이 양호(良好)하였으며 수중(水中) 주성분(主成分) 용출속도(溶出速度)도 완만(緩慢)하였다. 2. 약제처리초기(藥劑處理初期)의 추청(秋晴)벼 지상부중(地上部中) 농약잔류(農藥殘留) 농도(濃度)는 습동법(濕東法)에 의한 입제(粒劑)가 피복법(被覆法)에서 보다 높게 유지(維持)되었으나, 약제처리(藥劑處理) 8일후(日後)에는 반대(反對)의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3. 도열병(稻熱病)의 방제효과는 입제(粒劑)의 제제방법조간(製劑方法間)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벼멸구의 방제효과는 피복법(被覆法)에 의한 입제(粒劑)가 우수(優秀)하였다. 4. 피복법(被覆法)에 의한 probenazole+carbofuran 입제(粒劑)의 생산비(生産費)는 습식법(濕式法)의 경우(境遇)보다 약(約) 6%의 절감(節減) 효과가 있었다.

  • PDF

Carbamate 중독에 대한 감초, 흑두 추출액의 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ventive Effect of Extract of Glycyrrhizae Radix and Glycine Semen on NAC Intoxication)

  • 신일순;민경진;강회양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1-68
    • /
    • 1993
  •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preventive effect of Glycyrrhizae Radix and Glycine Semen Extract (GGE) against NAC intoxication. NAC is widely used pesticide in many countries and derivative of carbamats and GGE is well-known antidote to some kinds of toxicants which was referenced from oriental medicine tex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fter injecting NAC (100,140 mg/kg), determined Ch.E activities decrease 44.77~50.86% for all experimental groups at one hour after exposure, and were gradually recovered in the course of time. 2) In toxicity test of GGE, there were no sign of death or poisoning up to 5000 mg/kg of GGE for p.o. in mice. From this, we suggest that the LD$_{50}$ of GGE would be above 5000 mg/kg. 3) The Ch.E activity in control group was 471.43 $\pm$ 4.85 luff, group I was 215.27 $\pm$ 23.13 IU/l, group II and group III were 304.03 $\pm$ 9.03 IU/l, 433.81 $\pm$ 21.73 IU/l, respectively.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with experimental group I, remarkable difference revealed (p< 0.01), but the Ch.E activities of group II and III were similar to those of control group. This is indicate that GGE possess a potent activity of recovering Ch.E. GGE had a very remarkable preventive effect on NAC toxicity, and it was able to know that Ch.E activity dramatically increased according to GGE dosage increasing. 4) When GGE and NAC were administered by p.o. simultaneously, LD$_{50}$ and confidence intervals of each group were as follows: the control group: 270 mg/kg, 234.99~310.23 mg/kg, group I and II (GGE 500 mg/kg, 1000 mg/kg by p.o.): 310 mg/kg, 271.69~353.71mg/kg, and 325 mg/kg, 285.09~370.50 mg/kg, respectively. In the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protective index was 1.1 and 1.2,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 GGE has reactivation effect to decreasing Ch.E activity induced by exposure to NAC. Furthermore, GGE shows a preventive effect on NAC intoxication.

  • PDF

잔류농약 다성분 동시분석법에 관한 연구(I): GC-ECD 및 NPD를 병렬 사용한 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Various Pesticides (I): Analysis by GC with ECD and NPD Dual Detectors)

  • 노경아;김진호;김현위;이윤경;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27-431
    • /
    • 1997
  • 유기인제, 유기염소제, 카바메이트제 및 피레쓰로이드제 농약을 한 번의 전처리와 주입으로 동시에 분석할수 있는 실험법을 연구하였다. 자동 soxhlet 추출 장치로 쌀시료로 부터 농약을 추출해내고, 이 추출물의 용매를 증발시킨후 hexane에 재용해하고 Sep-Pak florisil catridge를 이용한 고체상 추출법으로 정제하였다. Soxhlet 추출의 용매는 acetone을 사용하였고, 정제시의 용출용매로는 ethyl acetate : n-hexane (1:1) 혼합 용매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전처리 과정을 거친 시료액을 GC에 주입하고, 하나의 칼럼에 병렬로 연결된 ECD와 NPD를 통해 검출하였다. ECD를 통해서는 유기염소제와 피레쓰로이드제 농약들이 검출되고, NPD를 통해서는 유기인제와 카바메이트제 농약이 선택적으로 동시에 검출되어진다. 이 분석법으로 쌀시료에 대해 5회의 회수율 실험을 하였을 때 dichlorvos와 captan을 제외한 46종 농약이 60% 이상의 회수율을 나타내었고, 5회 반복된 실험치 간의 표준편차는 $1.12{\sim}14.44$의 범위로 나타나 비교적 양호한 재현성을 보였다.

  • PDF

잔류농약 다성분 동시분석법 : GC-MSD (SIM mode)를 사용한 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Various Pesticides : Analysis Utilizing GC/MSD (SIM mode))

  • 노경아;김현위;이윤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21-727
    • /
    • 1998
  • 유기인제, 유기염소제, 카바메이트제 및 피레쓰로이드제 농약을 한 번의 전처리와 주입으로 동시에 정량 및 정성분석할수 있는 실험법을 연구하였다. 자동 soxhlet 추출 장치로 쌀시료로 부터 농약을 추출해내고, 이 추출물의 용매를 증발시킨후 hexane에 재용해하고 Sep-Pak florisil catridge를 이용한 고체상 추출법으로 정제하였다. Soxhlet 추출의 용매는 acetone을 사용하였고, 정제시의 용출용매로는 ethyl acetate-n-hexane (1:1) 혼합 용매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전처리 과정을 거친 시료액을 GC에 주입하고, 중간극성의 칼럼에 질량검출기를 통해 검출하였다. 이 분석법으로 쌀시료에 대해 3회의 회수율 실험을 하였을 때 captafol과 captan 등을 제외한 42종 농약이 70% 이상의 회수율을 나타내었고, 3회 반복된 실험치 간의 표준편차는 $0.29{\sim}9.07$의 범위로 나타나 비교적 양호한 재현성을 보였다.

  • PDF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토양흡착성과 간이선발모형을 이용한 용탈 잠재성 평가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Pesticides in Four Soils and the Evaluation for Their Leaching Potential Using Two Screening Models)

  • 김찬섭;박병준;임양빈;류갑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1-349
    • /
    • 2005
  • 유기인계 농약 5종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 4종의 토양에 대한 흡착계수를 구하여 이동성을 구분하고, 흡착계수와 토양 반감기를 이용하여 토양 중에서의 농약의 용탈 잠재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비이온성 농약인 유기인계 살충제 chlorpyrifos-methyl, diazinon, fenitrothion, isazofos, parathion과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fenobucarb(BPMC)와 metolcarb 및 카바메이트게 제초제 dimepiperate와 molinate를 대상농약으로 하였고, 논, 밭, 산림토양 및 제주도 화산회토를 시험토양으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유기탄소기준흡착계수(Koc)에 의한 이동성 분류체계에 의하면 metolcarb, molinate, 및 fenobucarb는 mobile, isazofos를 포함하는 6종 농약은 토양에 따라 moderately mobile 또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였다. 그리고 Koc와 토양 중에서의 반감기를 기준으로 지수화한 Groundwater Ubiquity Score(GUS) index 방법과 Koc와 분해상수 및 토양환경조건의 영향을 고려하는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이용한 용탈잠재성은 metolcarb, fenobucarb 및 molinate는 용탈 가능성이 있고 isazofos, dimepiperate 및 diazinon은 약간의 용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enitrothion, parathion 및 chlorpyrifos-methyl은 용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변형하여 Koc값 대신에 Kd값으로 평가하면 유기물 함량이 높은 제주토양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낫은 다른 토양에 비하여 농악의 용탈잠재성이 낮은 것으로 나하나 농약의 흡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양 유기물이 용탈 잠재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담배가루이 Biotype B와 Q의 약제감수성과 효소활성 비교 (Comparison of insecticide susceptibility and enzyme activities of biotype B and Q of Bemisia tabaci)

  • 김은희;성재욱;양정오;안희근;윤창만;서미자;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20-330
    • /
    • 2007
  • 충북 진천군 이월면 장미재배지와 경남 밀양시 고추밭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에 대해서 16S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PCR 산물을 EcoT14 I (Sty I)과 Stu I을 처리한 결과 경남 밀양시 고추밭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는 Sty I 에서 555pp와 311bp 두 개의 단편이 만들어져 biotype Q임을 확인하였고, 충북진천군 장미재배지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는 Stu I에서 560bp와 3060p 두 개의 단편이 만들어서 biotype B임을 확인하였다. 두 biotype에 대한 12종 살충제로 발육단계별 약제감수성, 침투이행성 및 잔효성을 비교하였고, 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AChE), glutathione S-transferase 등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저해정도를 검토하였다. 두 biotype간에 약제감수성 차이가 있었고, biotype B가 Q보다 더 감수성이었다. 엽면침투이행성과 근부침투이행성 및 잔효성에서도 biotype B가 Q보다 더 감수성이었다. 유기인계인 fenitrothion과 카바메이트계인 fenothiocarb의 저해제에 대해서 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AChE), glutathione S-transferase등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biotype Q가 B보다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담배가루이 biotype Q가 B보다 약제에 대해서 저항성임을 알 수 있었다.

시설 재배 작물 주요 해충에 대한 약제저항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Insecticide Resistance of Major Insect Pests in Plastic House)

  • 최병렬;박형만;유재기;김선곤;백채훈;이시우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80-390
    • /
    • 2005
  • 현재 우리나라에서 비닐하우스의 주요 해충으로는 총채벌레(Thrips palmi and Frankliniela occidentalis),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 등을 들 수 있다. 위 해충들의 방제 약제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오이총채벌레에 대해 2000년에는 방제약제가 좋은 효과를 보였으나, 2003년에는 감수성이 모두 떨어져, 앞으로 이 해충의 방제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꽃노랑총채벌레는 neonicotinoid계통인 imidacloprid 와 thiamethoxam에 대해서는 저항성을 보이고 있으나 chlorfenapyr, spinosad, emamectinbenzoate, fipronil 등에 대해서는 높은 감수성을 유치하고 있었다. 점박이응애는 기존약제에 대해서는 높은 저항성을 보이나, 비교적 최근 약제인 abamectin, milbemectin, chlorfenapyr에 대해서는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목화진딧물은 지역에 따라 감수성 계통에 비교하면 10배 정도의 감수성 저하를 보이고 있으나, 추천 농도와 비교하면 매우 낮아 방제 시 문제점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온실가루이는 기존 약제에 속하는 유기인계, carbamate계, pyrethroid계 살충제에 대해서는 저항성을 보이고 있으나, imidacloprid, spinosad, pymetrozine에 대해서는 높은 감수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HPLC를 이용한 Isoproturon, Phenmedipham, Pyridate 및 Nitenpyram 4종 성분의 잔류농약 분석법 개발 (Analysis of Four Pesticides, Isoproturon, Phenmedipham, Pyridate and Nitenpyram Residue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Array Detector)

  • 양성용;구윤창;;허경;김형국;안은미;신한승;이진원;이광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65-1170
    • /
    • 2010
  • Bis-carbamate계(phenmedipham), urea계(isoproturon), thiocarbamate계(pyridate) 및 vinyllidenediamine계(nitenlyram) 4종의 농약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사용된 칼럼은 C-18($250\;mm{\times}4.6\;mm$, $5\;{\mu}m$ diameter particle size)이며 isoproturon, phenmedipham은 acetonitrile과 물을 50:50으로 섞어서 사용하였으며, pyridate는 acetonitrile과 물을 85:15로, nitenpyram은 phosphoric acid를 이용하여 pH 2.5로 맞춘 50 mM $KH_2PO_4$와 acetonitrile을 90:10으로 섞어 유속 1 mL/min의 isocratic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시료 주입량은 $10\;{\mu}L$이며 retention time은 isoproturon 6.12분, phenmedipham 8.63분, pyridate 9.40분, nitenpyram 12.76분, 정량한계는 모두 0.05 mg/kg이었다. 회수율 실험은 쌀, 사과 및 대두에 4종의 농약 표준품을 각각 0.05, 0.1 및 0.5 mg/kg이 되도록 세 가지 농도로 spiking 하였으며, 회수율 및 분석오차는 70.18~118.08% 범위와 10% 이내를 만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