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aptan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4초

생쥐 초기배아의 단백질 합성양상에 미치는 돌연변이 유발원의 영향 (Effects of Mutagens on the Synthetic Patterns of Proteins During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s in Mice)

  • 이양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9-160
    • /
    • 1980
  • 생쥐 초기발생배에서 일어나는 단백질 합성양상에 미치는 환경성 돌연변이원인 MMS와 captan의 효과를 2차원 전기영동법과 fluorography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착상이전까지 크게 나누어 세종류의 단백질이 합성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즉, 첫번째 종류는 난자형성기간동안에 합성, 축적되었다가 수정과 동시에 활성화된 m-RNA에 의하여 합성되는 단백질 종류이다. 이러한 단백질들은 거의 MMS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둘째번 종류로서는 새로 전사된 m-RNA에 의하여 합성된 시기에 따른 특유의 것들로서 MMS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그 합성이 억제되는 단백질들이다. 세번째 종류로서는 수명이 끝난 m-RNA를 반복적으로 전사함으로서 합성되며, MMS에 의하여 억제되는 단백질들이다. 이와같이 MMS는 새로 전사된 m-RNA에 의한 거의 모든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반면에, MMS로 처리되지 않은 정상적인 발생배에서는 관찰할 수 없는 새로운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는 경우가 있었다. Captan은 생쥐 상실배의 단백질합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 PDF

강원도산 농산물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Survey on the Contents of Residual Pesticide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on Kangweon-Do)

  • 심태흠;이태준;김기철;유미정;정의호;이해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49-156
    • /
    • 1992
  • '90년 '91년 2개년에 걸쳐 강원도내에서 생산 또는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35종에 대하여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보건위생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기염소제 및 유기인제 등을 ECD와 NPD가 부착된 gas chromatograph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농산물 157건 중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76건으로서 48.4%이었고, 이중 2종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24건으로서 15.3%를 점하고 있다. 특히 Captan은 대산 농산물 81건 중 43건에서 검출되어 검출률이 53.1%이었다. 2. Endrin , Captafol. Parathion , Fenitrothion , Fenthion 및 EPN은 전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3. 각 농약의 잔류량은 DDT가 ND-0.138 ppm, BHC가 ND-0.142 ppm, Aldrin 및 Dieldrin이 ND-0.010 ppm, CAptan이 ND-1.067 ppm, Diazinon이 ND-0.060 ppm, malathion이 ND-0.075 ppm, Phenthoate가 ND-0.009 ppm, DDVP가 ND-0.040 ppm이었다. 단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농산물은 1건도 없었다.

  • PDF

과채류(果菜類) 중(中) 농약잔류(農藥殘留) 수준조사연구(水準調査硏究) (Investig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 류홍일;서윤수;김인기;김학엽;전성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66
    • /
    • 1987
  • 수종(數種)의 과채류(果菜類)에 대(對)한 농약(農藥)의 잔류량(殘留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채소류(菜蔬類)(무우, 배추, 오이, 도마토)에서의 MEP, Malathion이 검출(檢出)빈도가 비교적 높았으며, Parathion, Captan은 전시료(全試料)에서 부검출(不檢出)되었으며 검출(檢出)된 농약(農藥)의 잔류량(殘留量)도 낮은 수준(水準)으로서 허용기준(許容基準)의 $\frac{1}{3}{\sim}\frac{1}{66}$이었다. 2. 과실류(果實類)(포도, 복숭아)에서는 MEP, PAP, Parathion의 검출(檢出)빈도가 높았고 Diazinon, Captan은 전시료(全試料)에서 부검출(不檢出)되었다. 검출(檢出)된 농약잔류량(農藥殘留量)은 극히 낮은 수준(水準)으로서 허용기준(許容基準)의 $\frac{1}{8}{\sim}\frac{1}{500}$이었다. 3. 국내생산(國內生産) 과채류중(果菜類中)의 농약잔류량(農藥殘留量)은 국내외(國內外)의 잔류허용기준(殘留許容基準)에 훨씬 미달(未達)되는 수준(水準)이었으며 그 잔류량(殘留量)도 세정(洗淨)이나 조리과정(調理過程)에서 상당한 량(量)이 제거(除去)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실제로 인체에 섭취(攝取)되는 잔류농약(殘留農藥)의 량(量)은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almonella System에 있어서의 농약의 돌연변이 유발성 (Mutagenicity of Pesticides in the Salmonella System)

  • 백형석;변우현;전문진;이세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59-165
    • /
    • 1977
  • Salmonella typhimurium LT-2의 histididine auxotroph 중 base substitute mutant인 TA 1535와 TA100, 그리고 frame-shiftmutant인 TA 1538과 TA 98을 각각 사용하였고 microsomal enayme activation system을 병용하여 국내 사용농약 20종에 대한 돌연변이 유발성을 검하였다. 이중 다음 4종의 농약이 양성 및 의양성의 유발성을 나타냈다. (1) Captan은 강력한 돌연변이 유발성질로서 TA1535, TA100 및 TA98에 대해 직접적으로 10$\mu\textrm{g}$/plate의 농도에서 plate당 각각 205, 1012, 그리고 297의 돌연변이 균종의 출현을 나타냈으며 microsomal enzyme activation에 의해 그 유발능력이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2) Micut는 TA100에 대해 직접적으로 10mg/plate의 농도에서 55 revertant 정도의 미비한 돌연변이 유발성을 나타냈다. (3) Dimethoate는 TA100에서 역시 직접성으로 처리가능 최고농도인 0.2λ/plate에서 55 revertant/plate 정도의 징약한 돌연변이 유발성을 바타냈다. (4) Triforing도 역시 TA 100에서 직접적으로 10mg/plate로 처리된 농도에서 78 revertant/plate정도의 약한 돌연변이 유발성을 나타했다.

  • PDF

수입종자에서의 병원균분리와 약제처리효과 (Detection of Seed Born Fungi from the Imported Seed and Effect of Fungicide for Them)

  • 엄경호;성재모;조완기;유기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7-313
    • /
    • 1983
  • 수입된 참외종자외 30종에서 Alternaria spp. 등 25종의 진균이 검출되었으며 박종자에서 Fusarium moniliforme 등 8종이 검출되어 공시종자중 가장 많은 종류의 진균이 분리되었다. 낙엽송종자외 5종에 약제처리한 결과 Vitathiram으로 처리된 수박종자에서 Rhynchosporium이 검출되었고 Benlate-T와 Captan을 처리한 종자에서 Alternaria spp.가 검출되었으며 무처리에서는 Alternaria spp. 등 6종의 진균이 검출되었다. 종자소독제처리에 대한 발아시험에서는 종자소독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무처리나 약제처리가 거의 비슷한 발아율을 나타내고 있어 종자소독제가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수입 과일에 살포된 수확 후 처리농약(Post-harvest pesticide)의 경시적 변화 (Residue Levels of Pesticides in Post-Harvest Treated Import Fruits During Storage)

  • 황래홍;조태희;조인순;엄정훈;최부철;박영혜;김현정;김정헌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5-250
    • /
    • 2010
  • 수입과일을 대상으로 captan, chlorpyrifos, methidathion 및 kresoxim-methyl 을 각각 1000, 250, 400 및 157 $mgkg^{-1}$ 농도로 수확 후 처리 하여 저장 기간에 따른 경시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captan은 처리 직후 과일 전체에서 0.9-12.5 $mgkg^{-1}$, 과육에서 ND-0.23 $mgkg^{-1}$ 으로 조사 되었으며, 4주 후에는 과일 전체에서 0.7-3.2 $mgkg^{-1}$, 과육에서 ND-0.67 $mgkg^{-1}$으로 조사되었다. chlorpyrifos은 처리 직후 과일 전체에서 0.4-2.2 $mgkg^{-1}$, 과육에서 ND-0.32 $mgkg^{-1}$으로 조사 되었고, 4주 후에는 과일전체에서 0.3-0.9 $mgkg^{-1}$, 과육에서 ND-0.02 $mgkg^{-1}$으로 조사 되었다. methidathion은 처리 직후 과일 전체에서 0.7-3.1 $mgkg^{-1}$, 과육에서 ND-0.05 $mgkg^{-1}$으로 조사되었고, 4주 후에는 과일 전체에서 0.4-2.0 $mgkg^{-1}$, 과육에서 ND-0.05 $mgkg^{-1}$으로 조사 되었다. kresoxim-methyl은 처리 직후 과일 전체에서 1.3-2.1 $mgkg^{-1}$, 과육에서 ND-0.16 $mgkg^{-1}$으로 조사 되었고, 4주 후에는 과일 전체에서 1.3-1.8 $mgkg^{-1}$, 과육에서 ND-0.15 $mgkg^{-1}$으로 조사 되었다. 농약처리 4주 후 농도의 감소율은 captan이 5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chlorpyrifos, methidathion 및 kresoximmethyl이 각각 47, 41 및 11% 순으로 조사 되었다.

살진균제인 캡탄 처리 후 갈색거저리의 해독효소 유전자 발현 (Gene Expression of Detoxification Enzymes in Tenebrio molitor after Fungicide Captan Exposure)

  • 장호암;백형선;김보배;알리 모하마디 코줄 마리암;패트나익 바랫 부산;조용훈;한연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55-163
    • /
    • 2022
  • 최근 살진균제는 세계 식량 안보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 요소이며, 그 사용량은 증가하고 있다. 살진균제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곤충에 영향을 미쳐 유전자 및 분자 수준의 변화를 일으킨다. 곤충은 다양한 해독 매커니즘을 통해 살진균제를 포함한 농약으로부터 유발되는 활성산소(ROS) 독성을 제거한다. 본 연구는 살진균제 캡탄의 비치명적 투여량(0.2, 2, and 20 ㎍/µL)을 주입 후 갈색거저리의 유충에서 해독효소의 mRNA 발현량을 분석했다. 갈색거저리의 전사체 분석을 통해 해독 매커니즘 관련 유전자인 퍼옥시다제(POX), 카탈라제(CAT),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 및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라제(GST)를 발굴하였다. 처리 24시간 후 TmPOX5 mRNA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 3 시간 후 TmSOD4의 mRNA가 유사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2 ㎍/µL 처리 24시간 후 TmCAT2의 mRNA 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캡탄 노출 후 TmGST1 및 TmGST3의 mRNA 발현량도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TmPOX5 및 TmSOD4 유전자는 갈색거저리에서 캡탄 노출에 대한 바이오마커 또는 생체이물 센서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삼의 모잘록병 방제에 관한 시험 (Chemical Control of Damping-off of Ginseng Caused by Rhizoctomia solani)

  • 이종화;김홍진;배효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3-147
    • /
    • 1978
  • 가. 인삼의 모잘록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10종의 약제를 공시하여 실내 및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나. 공시약제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토양관법으로 그리고 포장에서는 모잘록병균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균포와 자연발병상태의 균포에서 종자소독, 토양소독, 토양관주법으로 처리하였던 바, 다. 모잘록병 방제를 위해 기대되는 약제로는 Homai, Captan, Validamycin, Tachigaren등이 있다.

  • PDF

쌀의 저장온도, 세척 및 취반이 일부 농약잔류의 제거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Washing, and Cooking on Postharvest-treated Pesticide Residues in Polished Rice)

  • 한선희;조한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16
    • /
    • 1999
  •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washing, and cooking on postharvest-treated pesticide residues in polished rice was investigated. After being treated with each 500 mg/kg of captan, carbaryl, phenthoate, fenthion, fenitrothion, chlorpyriphos-methyl, pirimiphos-methyl, the polished rice was stored for 8 weeks at 4 and 3$0^{\circ}C$, respectively. The penetation rate of carbaryl was the highest as 27.5% and the others, 13 to 18%. The half lives of pesticide residues were estimated as 30 to 230 weeks at 4$^{\circ}C$, but 1 to 12 weeks at 3$0^{\circ}C$. The residues were reduced faster at 3$0^{\circ}C$ than at 4$^{\circ}C$. The half lives of pesticide residues by water washing were estimated as 0.7 to 4.6 trials and the removed with the washing trials. The residues of captan and carbaryl in cooked rice were removed 100 and 98%, respectively, comparing to initial residues concentration in treated rice but those of other 5 pesticides were removed 80%.

  • PDF

각종 살균제(殺菌劑)가 주요과수(主要果樹)의 화분발아(花粉發芽) 및 화분관신장(花粉管伸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Various Fungicides on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Tube Growth in Some Fruit Trees)

  • 구자형;이재창
    • 농업과학연구
    • /
    • 제5권1호
    • /
    • pp.7-14
    • /
    • 1978
  • 각종(各種) 살균제(殺菌劑)가 주요과수(主要果樹)의 화분발아(花粉發芽) 및 화분관신장(花粉管伸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Difolatan-wp, Lime-Sulfur, Captan-wp, Bordeaux액(液)은 화분발아(花粉發芽) 현저(顯著)히 억제(抑制)시켰다. 2. Daconil-wp과 Zimaneb-wp가 미치는 영향(影響)은 Difolatan-wp등(等)에 비(比)하여 다소(多少) 가벼웠다. 3. Polyram-combi-wp, Topsin-wp, Benlate-wp는 발아(發芽)를 억제(抑制)하지 않았으나 화분관신장(花粉管伸長)을 다소(多少) 저해(沮害)하였다. 4. Polyoxin-wp는 오히려 화분관신장(花粉管伸長)을 촉진(促進)시켰다. 그러나 발아율(發芽率)의 증가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