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cer chemotherapy

검색결과 2,667건 처리시간 0.025초

안와 및 안부속기 종양의 방사선치료에서 백내장의 예방을 위한 렌즈보호 장치의 효용성 (Efficacy of Lens Shielding Device to Prevent Cataract with Radiotherapy for Orbit or Ocular Adnexal Tumor)

  • 조정근;조현상;한태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139-144
    • /
    • 2007
  • 안와 림프종의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인 방사선 치료는 안구 질환의 증가로 인해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다. 항암화학요법과 치료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치료 및 예후가 좋아지고는 있지만 백내장, 안구건조, 망막병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와 림프종의 방사선치료 시 백내장 발생의 방어수단으로써 Lens Shielding Device(이하 LSD)를 고안 제작하였고 이의 제작방법과 방사선 차폐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안구 표면에 해당하는 깊이에서 TLD의 측정결과는 3개의 평균값이 5.7%로 나타났고 관심부위인 수정체의 위치에서는 TLD 4.2%, markus chamber 5.1%의 선량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안와에 발생한 림프종의 방사선 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제작한 LSD는 치료 중 조사받게 되는 총 30Gy의 선량 중에서 5%에 해당하는 약 1.5Gy의 방사선량만이 수정체와 각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백내장의 역치선량인 2Gy와 임상적으로 백내장이 발생된다고 보고된 5Gy보다 적은 선량이 조사됨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 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부작용의 예방에 유용한 기구임을 확인하였고 환자의 안구와 일치되도록 개인별로 제작하여 착용 시 이물감에 의한 불편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 시 고정 또한 매우 용이함을 검증하였다.

Sulforaphane에 의한 p53 및 caspase-3 의존 신호전달계를 통한 인간 연골암 세포주 HTB-94에서의 세포사멸 기전 연구 (Sulforaphane-Induced Apoptosis was Regulated by p53 and Caspase-3 Dependent Pathway in Human Chondrosarcoma, HTB-94)

  • 이원길;김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51-857
    • /
    • 2011
  • Sulforaphane (SFN)은 브로콜리와 다른 십자화과 채소로부터 분리해 낸 이소시아네이트 구조를 갖는 물질이다. 최근 연구에서는 다양한 암세포에서 SFN이 세포주기를 억제하여 증식저해와 세포사멸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골암 세포주 HTB 94를 이용하여 연골암세포에서의 SFN의 세포사멸 분자적 기전을 연구하였다. SFN은 처리농도 의존적으로 연골암세포의 증식억제와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세포형태변화 및 핵염색, MTT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Apoptotic 세포는 DNA 단편전기영동 분석을 통한 분절 DNA 확인 및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한 subG1 구간의 세포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골암세포주 HTB-94에 SFN 처리 시 p53 단백질의 발현증가 및 pro-caspase-3의 분해를 통한 caspase-3의 활성을 증가를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연골암세포주 HTB-94에 SFN을 처리시 유도되어지는 세포사멸은 p53과 caspase-3 의존적인 신호조절경로를 통하여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SFN의 증식억제 효과 및 연골암세포 세포사멸 유도기전을 이용하여 향후 연골암세포의 치료약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폐 편평세포암에서 자발성 아포토시스와 원격전이 (Spontaneous Apoptosis and Metastasis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 오윤경;기근홍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203-208
    • /
    • 1999
  • 목적 : 폐암 환자의 대부분은 진단 당시 수술을 받을 수 없는 병기로 발견되기 때문에 수술 조직이 아닌 기관지내시경 조직에서 자발성 아포토시스 정도를 평가하여 이의 임상적 의의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9월부터 1994년 9월까지의 4년동안 흉부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폐 편평세포암 환자 중 조직표본이 충분히 보관되어 있으며 추적이 가능하였던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기는 II기가 1명, IIIa기 8명, IIIb기 5명, IV기 5명이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으로 자발성 아포토시스율(Al)과 p53 단백질 양성률을 관찰하였다. 결과 : 19명 중 16명은 $5\~15$ 개월 후에 사망하였으며 3명은 55, 67, 67 개월간 생존하고 있다. 중앙생존기간은 17개월, 평균 생존기간은 24 개월이었다. AI는 $0\~1\%$의 범위로 중앙값이 $0.4\%$였다. AI가 낮은 군에서 진단 당시 원격전이가 있었던 경우가 $50\%$ (5/10) 였고, 높은 근에서는 원격전이가 전혀 없었다(0/9). 생존기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예후인자들의 분석 결과 단변량 분석에서는 M병기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다변량 분석에서는 AI, 화학요법, M병기, T병기, 병기가 의의가 있었다. 자발성 아포토시스와 p53 변이 사이의 관련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AI는 진단 당시 원격전이와 관련이 있으며, p53 변이와는 관련이 없었다. AI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보다 생존기간이 짧은 경향을 보였다.

  • PDF

Gene Expression Analysis of Methotrexate-induced Hepatotoxicity between in vitro and in vivo

  • Jung, Jin-Wook;Kim, Seung-Jun;Kim, Jun-Sup;Park, Joon-Suk;Yeom, Hye-Jung;Kim, Ji-Hoon;Her, Young-Sun;Lee, Yong-Soon;Kang, Jong-Soo;Lee, Gyoung-Jae;Kim, Yang-Seok;Kang, Kyung-Sun;Hwang, Seung-Yong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1권4호
    • /
    • pp.256-261
    • /
    • 2005
  • The recent DNA microarray technology enables us to understand gene expression profiling in cell line and animal models. The technology has potential possibility to comprehend mechanism of multiple genes were related to compounds which have toxicity in biological system. So, microarray system has been used for the prediction of toxicity through gene expression induced by toxicants. It has been shown that compounds with similar toxic mechanisms produce similar changes in gene expression in vivo system. Here we focus on the use of toxicogenomics for the determination of gene expression analysis associated with hepatotoxicity in rat liver and cell line (WB-F344). Methotrexate (MTX) is a chemotherapy agent that has been used for many years in the treatment of cancer because it affects cells that are rapidly dividing. Also it has been known the toxicity of MTX, in a MTX abortion, it stops embryonic cells from dividing and multiplying and is a non-surgical method of ending pregnancy in its early stages. We have shown DNA microarray analyses to assess MTX-specific expression profiles in vivo and in vitro. Male Sprague-Dawely VAF+ albino rats of 5-6 weeks old and WB-F344 cell line have been treated with MTX. Total RNA was isolated from Rat liver and cell line that has treated with MTX. 4.8 K cDNA microarray in house has been used for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MTX treatment. We have found quite distinct gene expression patterns induced by MTX in a cell line and in vivo system.

이등제통탕(二藤除痛湯)이 Taxol 처리 및 좌골신경의 압박 손상 후 유발된 랫드의 말초신경병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ideungJetong-Tang on Peripheral Neuropathy Induced by Taxol and Compression Injury in the Rat Sciatic Nerve)

  • 정호영;김철중;조충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33-146
    • /
    • 2012
  • Background: Most antitumor agents have the side effect of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CIPN). Cancer patients who take antitumor agents suffer from CIPN, but there is no known treatment for it. Unlike the central nerve system, the peripheral nerve can self-repair, and the Schwann cell takes this mechanism. Objectives: In this study, we researched the effect of YideungJetong-Tang (YJT) extract on taxol-induced sciatic nerve damage, through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Also, we studied the effect of YJT extract on neurite recover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after compression injury of sciatic nerve in vivo. Methods: Vehicle, taxol and taxol+YJT were respectively applied on sciatic nerve cells of rat in vitro, then the cells were cultured. The sciatic nerve cells and Schwann cells were then observed using Neurofilament 200, Hoechst, ${\beta}$ -tubulin, S-$100{\beta}$, caspase-3 and phospho-Erk1/2. CIPN was induced by taxol into the sciatic nerve of rat in vivo, then YJT extract was taken orally. The axons, Schwann cells and neurites of the DRG sensory nerve were then observed using Neurofilament 200, ${\beta}$-tubulin, Hoechst, S-$100{\beta}$, phospho-Erk1/2 and caspase-3. YJT was taken orally after sciatic nerve compression injury, and the changes in axon of the sciatic nerve, Schwann cells and TNF-${\alpha}$ concentration were observed. Results: The taxol and YJT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Schwann cell recovery, neurite growth and recovery. In vivo, YJ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howed Schwann cell structural improvement and axons recovering effect after taxol-induced Schwann cell damage. After sciatic nerve compression injury, recovery of distal axon, changes of Schwann cell distribution, and anti-inflammatory response were observed in the YJT.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after taxol-induced neurite damage of sciatic nerve in vivo and in vitro, YJT had significant effects on sciatic nerve growth and Schwann cell structural improvement. In vivo, YJT improved recovery of distal axons and Schwann cells and had an anti-inflammatory effect.

인간 만성백혈병 세포주에서의 Vitamin E Succinate에 의한 세포사멸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Vitamin E Succinate in Human Erythroleukemia K562 Cells)

  • 장창덕;김종명;안원근;박혜련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896-904
    • /
    • 2007
  • 비타민 E 유도체인 $RRR-{\alpha}-tocopheryl$ succinate (vitamin E succinate, VES)는 만성골수성 백혈병 세포인 K562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VES의 처리에 의해 apoptosis가 유도되는 과정에서 K562 세포 내의 ROS의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ROS와 관련된$NF-{\kappa}B$, COX-2 그리고 $p21^{WAF1/CIP1}$등의 유전자가 활성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apoptosis의 과정 중 중요한 역할을 하는 Bax의 발현증가 및 손상된 DNA의 회복에 중심적 기능을 하는 PARP의 분열이 야기되었다. VES를 처리한 세포의 세포주기 분석에서는 apoptotic phase인 sub-Gl phase에서 세포사멸이 증가되고, 형태적으로는 염색질의 응축이 일어나는 결과로 미루어볼 때 VES는 K562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한 것을 알 수 있다. C57BL/C의 림프종 이종이식을 통한 VES의 항암활성 실험 결과, C57BL/C의 대조군에 비하여 종양의 성장억제를 확인하였으며 높은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백혈병 치료에 대한 분자적 기초를 제공하였으며 동물실험을 통하여 보다 실질적인 백혈병 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Changes in Oral Microbiota in Patients Receiving Radical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The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Kim, Jin Ho;Choi, Yoon Hee;An, Soo-Youn;Son, Hee Young;Choi, Chulwon;Kim, Seyeon;Chung, Jin;Na, Hee Sam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3권1호
    • /
    • pp.13-21
    • /
    • 2018
  • Radiotherapy (RT) is a mainstay in the treatment of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For locally advanced HCSCC,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benefits HCSCC patients in terms of better survival and loco-regional control. In this study, we evaluated changes in oral microbiota in patients, who received CCRT for head and neck cancer. Oral rinsed samples were weekly collected before and during CCRT and at 4 weeks following treatment from HNSCC patients, who had received 70 Gy of radiation delivered to the primary sites for over 7 weeks and concurrent chemotherapy. Oral microbiota changes in three patients were analyzed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using 16S rRNA 454 pyrosequencing. On an average, 15,000 partial 16S rRNA gene sequences were obtained from each sample. All sequences fell into 11 different bacterial phyla. During early CCRT, the microbial diversity gradually decreased. In a patient, who did not receive any antibiotics during the CCRT, Firmicutes and Proteobacteria were the most abundant phylum. During the early CCRT, proteobacteria gradually decreased while Firmicutes increased. During the late CCRT, firmicutes gradually decreased while Bacteroides and Fusobacteria increased. In all the patients, yellow complex showed a gradual decrease, while orange and red complex showed a gradual increase during the CCRT. At 4 weeks after CCRT, the recovery of oral microbiota diversity was limited. During CCRT, there was a gradual increase in major periodontopathogens in association with the deterioration of the oral hygiene. Henceforth, it is proposed that understanding oral microbiota shift should provide better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oral care programs for patients receiving CCRT for HNSCC.

Poly(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fluorescein O-methacrylate)가 도입된 산화철 나노 입자의 제조 및 발열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fluorescein O-methacrylate)-coated iron oxide nanoparticles)

  • 류성곤;정인우
    • 접착 및 계면
    • /
    • 제19권3호
    • /
    • pp.106-112
    • /
    • 2018
  • 악성 조직의 온열 치료는 성공적인 암 치료 방법의 하나로서 방사선 치료 및 화학 요법에 비해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온화한 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어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열 치료를 목적으로 생체 적합성 고분자인 poly(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fluorescein O-methacrylate) (P(MPC/FOM))를 코팅한 초상자성 산화철 나노 입자 (IONP)를 제조하고 관련 특성을 분석하였다. 15 nm 직경을 갖는 IONP는 먼저 공침법에 의해 제조된 후, 4-cyanopentanoic acid dithiobenzoate (CTP) 을 사용하여 IONP의 표면을 개질하였으며, 이 후 MPC 및 FOM 단량체의 reversible addition-fragmentation chain transfer (RAFT) 공중합을 통해 P(MPC/FOM)의 코로나 층을 형성시켰다. 투과 전자 현미경 (TEM)과 동적 광 산란 (DLS) 분석을 통해 IONP@P(MPC/FOM)의 형태 및 수력학적 크기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열 중량 분석 (TGA)을 통해 P(MPC/FOM) 코로나 층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류 자기장을 이용해 IONP 분산액을 노출시킨 결과, 0.2 중량 %의 IONP @ P(MPC / FOM) 수분산액이 온열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G-CSF 단백질 N-말단의 비 알파-Helix 영역의 돌연변이에 의한 분비 조절 (Modulation of G-CSF Secretion by Mutations of Non Alpha-Helical Region in N-Terminus)

  • 박정혜;박정애;강석우;구태원;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778-1783
    • /
    • 2011
  • 조혈에 관여하는 cytokine은 골수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촉진시켜 혈구세포 생산을 조절한다. 이런 cytokine을 조혈성장인자(hematopoitic growth factor)이라고 하고, 그 중에서 호중구 세포(neutrophil) 성장에 관여하는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G-CSF)는 임상적 치료제로서 아주 중요하다. 왜냐하면 화학적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심각한 호중구 세포가 감소하는 증세(neutropenia)가 발생하여 감염으로 인한 사망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두 종류의 G-CSF 재조합 단백질이 치료제로 승인 받아 사용되고 있으며, G-CSF 재조합 단백질 생산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본 연구팀은 누에에서 유래된 Bm5 세포주에서 G-CSF의 생산을 증대하기 위해 누에 prophenoloxidase activating enzyme의 Endoplasmic reticulum targeting signal sequence유전자와 사람 G-CSF 유전자를 융합한 chimera 유전자를 제작하여 재조합 G-CSF 단백질을 생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chimera 유전자가 생산하는 재조합 G-CSF 단백질의 N-말단에 3 개의 아미노산이 결여되는 3 종류의 돌연변이 유전자를 제작하여 G-CSF 단백질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중 한 돌연변이 유전자에 의해 세포 밖으로 분비된 G-CSF 단백질의 생산이 현저히 감소하여, N-말단 부분이 이 단백질의 분비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골육종에서 Maspin 발현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Maspin Expression in Osteosarcoma)

  • 최재림;한일규;이미라;조환성;오주한;김한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6-33
    • /
    • 2009
  • 목적: 골육종에서 maspin의 발현 정도를 살펴보고 골육종 임상 경과와의 연관성을 고찰해 본다. 대상 및 방법: 39 예의 골육종 조직에서 maspin 의 발현 정도를 RT-PCR 기법을 이용해 관찰하였으며, 골조직의 항암 화학요법에 대한 반응, 절제 후 국소 재발, 원격전이 등과 같은 임상적 지표와의 연관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저자가 정한 maspin 고 발현군에서는 저 발현군에 비해 항암 화학요법의 반응도가 높고 원격 전이와 국소 재발도 유의성 있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 전이도 maspin 고발현군과 항암 화학요법 반응도가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낮게 동반되었다. 그리고 5년 metastasis-free survival이 maspin 저 발현군($25.4{\pm}13.0%$) 보다 고 발현군($69.0{\pm}10.5%$)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06). 결론: 골육종에서 maspin 유전자의 발현은 종양세포의 항암 화학요법 반응도 및 원격 전이, 5년 metastasis-free survival에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고 있어 골육종의 예후를 예견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