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cer cell proliferation

검색결과 1,877건 처리시간 0.028초

Antimutagenic Effects of Ginsenoside Rb$_1$, Rg$_1$ in the CHO-K1 Cells by Benzo[a]pyrene with Chromosomal Aberration Test and Comet Assay

  • Kim, Jong-Kyu;Kim, Soo-Jin;Rim, Kyung-Taek;Cho, Hae-Won;Kim, Hyeon-Yeong;Yang, Jeong-Su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5권2호
    • /
    • pp.126-132
    • /
    • 2009
  • The usage and types of chemicals are advancing, specializing, large-scaled increasing, and new chemical exposed workers are concerning to occupational disease.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in the body from carcinogen, mutation and DNA damage in cancer is protected by natural antioxidants (phytochemicals) with antimutagenic effect. There were many reports of ginsenoside Rb$_1$, Rg$_1$ grievances of the genetic mutation to suppress the effect confirm the genetic toxicity test with chromosomal aberration test and the Comet (SCGE) assay confirmed the suppression effect occurring chromosomal DNA damage. We had wanted to evaluate the compatibility and sensitivity between the chromosomal aberration (CA) test and the Comet assay. We used the CA test and Comet assay to evaluate the anti-genotoxicity of ginsenoside Rb$_1$ and Rg$_1$, in CHO-K1 (Chinese hamster ovary fibroblast) cell in vitro, composed negative control (solvent), positive control (benzo[a]pyrene), test group (carcinogen+variety concentration of ginsenoside) group. The positive control was benzo[a]pyrene (50 $\mu$M), well-known carcinogen, and the negative control was the 1 % DMSO solvent. The test group was a variety concentration of ginsenoside Rb$_1$, Rg$_1$ with 10$^{-8}$%, 10$^{-6}$%, 10$^{-4}$%, 10$^{-2}$%, 1%, 10%. In chromo-somal aberration test, we measured the number of cells with abnormally structured chromosome. In Comet assay, the Olive tail moment (OTM) and Tail length (TL) values were measured. The ratio of cell proliferation was increased 8.3% in 10$^{-8}$%, 10$^{-6}$%, 10$^{-4}$%, 10$^{-2}$%, 1%, 10% Rb$_1$ treated groups, and increased 10.4% in 10$^{-10}$%, 10$^{-8}$%, 10$^{-6}$%, 10$^{-4}$%, 10$^{-2}$%, 1% Rg$_1$ treated groups. In the CA test, the number of chromosomal aberration was decreased all the Rb$_1$ and Rg$_1$ treated groups. In the Comet assay, the OTM values were decreased in all the Rb$_1$ and Rg$_1$ treated groups. To evaluate the compatibility between CA and Comet assay, we compared the reducing ratio of chromosomal abnormalities with its OTM values, it was identified the antimutagenicity of ginsenoside, but it was more sensitive the CA test than the Comet assay. Ginsenoside Rb$_1$ and Rg$_1$ significantly decrease the number of cells with chromosomal aberration, and decrease the extent of DNA migration. Therefore, ginsenoside Rb$_1$, Rg$_1$ are thought as an antioxidant phytochemicals to protect mutagenicity. The in vitro Comet assay seems to be less sensitive than the in vitro chromosomal aberration test.

인체유방암세포의 tight junction 기능 조절을 통한 genistein의 암세포 침윤 억제 효과 (Anti-invasive Activity of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by Genistein through Modulation of Tight Junction Function)

  • 김성옥;정영기;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00-1208
    • /
    • 2009
  • Tight junctions (TJs)은 인접된 세포 사이의 전해질 및 거대분자 확산 조절에 관여하는 paracellular permeability의 장벽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MCF-7 및 MDA-MB-231 인체유방암세포에서 대두의 대표적인 생리활성물인 genistein에 의한 암세포의 침윤 억제에서 TJs의 견고성 및 투과성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genistein에 의한 유방암세포의 증식 억제, 암세포 이동성의 저하 및 침윤성의 억제는 TJs의 증가된 견고성과 연관이 있었으며, 이를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의 증가 및 paracellular permeability의 감소로 확인하였다. Genistein은 두 유방암세포에서 TJs의 주요 조절 단백질로서 paracellular transport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laudin-3 및 claudin-4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그리고 genistein은 암세포의 전이 조절 관련 유전자들인 like growth factor-1 receptor 및 snail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thrombospondin-1 및 E-cadherin의 발현은 증가시켰다. 또한 small interfering RNA를 이용하여 genistein의 유방암세포의 침윤 억제에서 claudin-3단백질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genistein이 TJs의 견고성 증가를 통하여 암세포의 침윤성을 억제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아마도 claudin 단백질의 발현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genistein이 종양 전이억제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1,2-Dimethylhydrazine에 의해 유발된 Colonic Aberrant Crypt Foci에 대한 마늘추출물의 암예방효과 (Chemopreventive Effects of Garlic Extracts on Rat Colonic Aberrant Crypt Foci Induced by 1,2-Dimethylhydrazine)

  • 김태명;류재면;권현정;황인국;반정옥;정헌상;홍진태;김대중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321-330
    • /
    • 2007
  • Garlic (Allium sativum L.) with the food supplement material and medicine was used traditionally in Asia and Europe. Epidemiological studies revealed that the intake of garlic reduced incidences of various cancer including digestive system.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rlic ethanol extract on the development of colonic aberrant crypt foci (ACF) induced by 1,2-dimethylhydrazine (DMH) in male F344 rats. Five-week-old rats were given four times for two weeks to subcutaneous injections by DMH (30 mg/kg body weight) to induce ACF.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groups that fed diet containing garlic ethanol extract at five different doses (0.1, 0.2, 0.5, 2, 5%), respectively, animals were evaluated for the total number of ACF and total aberrant crypts (AC) per colon detected from methylene blue-stained rat colon. ACF were formed in animals in DMH-treated group. The feeding suppressed potently the appearance ACF in the colon of rats. Especially, fed diet containing garlic ethanol extract at intermediate dose (0.5%)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ACF and AC per colon (p < 0.05). Garlic ethanol extract inhibited DMH-induced overexpression of Activator Protein-1 (AP-1) and ${\beta}-catenin$ genes related to cell proliferation that also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p21Waf1/Cip1 mRNA, a cell cycle-regulating gen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arlic ethanol extract may inhibit ACF formation, ${\beta}-catenin$ gene as the early preneoplastic marker of malignant potential in the process of colon carcinogenesis.

마우스 비장 림프구 및 과립구에 대한 톡소포자충 RH tachyzoite 감염 실험 (Experimental infection of murine splenic Iymphocytes and grrnulocytes with Toxoplasma gondii RH tachyzoites)

  • 채종일;국진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2호
    • /
    • pp.79-86
    • /
    • 1997
  • 톡소포자충의 숙주-기생충 상호관계 연구의 일환으로 마우스 비장에서 분리한 T 림프구. B 림프 구 및 과립구(대부분 호중구로 구성)에 톡소포자층의 tachyzoites를 감염시킨 후 감염된 림프구와 호중구의 미세형태 변화를 관찰하는 한편 각 세포의 충체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동위원소 흡수시 험법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충체는 병원성이 강한 RH 주를 샤용하였고 각 세포는 BALB/c와 CBA 마우스의 비장에서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감염 후 24시간에 관찰한 결과, T 림프구, B 림프 구 및 호중구는 마우스 주에 상관없이 세포질 내에 tachyzoites가 한 개, 두 개 또는 7-8개까지 관찰되었다. 감염된 T 림프구는 충체 주변에 형성죈 parasitophorous vacuole로 인해 핵이 한 쪽으로 밀리며. 미토콘드리아의 수가 증가하였다 감염된 B 림프구는 조내형질세망(RER)이 대조군에 비해 발달하지 않았으며 감염된 호중구는 과립의 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림프구와 호중구의 톡소포자충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3H-uracil 흡수량으로 정량화한 결과. 마우스 주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모든 종류의 세포 내에서 충체가 활발히 증식함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BALB/c와 CBA 마우스의 비장 T 림프구, B 림프구 및 호중구는 모두 톡소포자충의 tachyzoites 감염에 대해 감수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고, 감염된 면역세포는 그 기능이 저하될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진피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산소종 생성을 통한 인체 백혈병 세포의 apoptosis 유발 (Induction of Apoptosis by Citri Pericarpium Methanol Extract through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in U937 Human Leukemia Cells)

  • 김가희;이문희;한민호;박철;홍수현;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057-1063
    • /
    • 2013
  • 진피(Citri Pericarpium)의 항암작용 기전 해석을 위하여 U937 백혈병 세포의 apoptosis 유발에 미치는 메탄올 추출물(EMCP)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apoptosis 조절에 중요한 몇 가지 유전자들의 발현 및 활성 변화, ROS의 생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EMCP 처리에 의한 U937 세포의 증식 억제는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음을 DAPI 염색을 통한 apoptotic body 출현의 증가 및 Flow cytometry 분석에 의한 Sub-G1기 세포 빈도의 증가로 확인하였다. EMCP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서 Bax 발현 증가, caspases의 활성 및 PARP의 단편화 등이 동반되었으며, ROS 생성의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산화적 손상에 대해 세포나 조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인 HO-1의 발현이 EMCP의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ROS 생성 억제제인 NAC의 전처리에 의해 감소된 HO-1의 발현은 전사인자인 Nrf2의 핵으로의 이동 억제와 관련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EMCP 처리에 의한 U937 세포의 apoptosis 유발에는 ROS 생성의 증가와 pNrf2에 의해 조절되는 HO-1의 발현 증가가 중요한 기전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자료는 진피의 항암기전 해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삼색도장버섯(Daedaleopsis tricolor)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면역 활성 및 항암 효과 (The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Daedaleopsis tricolor)

  • 심성미;임경환;김정완;이우윤;김하원;이민웅;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61-167
    • /
    • 2003
  • 삼색도장버섯으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세포독성 실험 결과, 열수 추출물은 $0{\sim}2,000\;{\mu}g/ml$의 농도에서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없었으나, 중성염용액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약간의 독성을 나타내었다. Sarcoma 180 복수암에 대한 항암 효과는 중성염용액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77.4%의 높은 생명 연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삼색도장버섯의 중성염용액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비장세포를 $1.7{\sim}2.4$배 증가시켰고,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2.2{\sim}8.7$배 증가시킴으로써 비장세포의 증식능과 B 임파구의 면역 활성 효과를 증가시켰다. 대식세포주 RAW 264.7에 $50;{\mu}g/ml$의 농도로 중성염용액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양성 대조군이 $79\;{\mu}M$의 nitric oxide(NO)를 발생시킨 것에 비해 다소 높은 $90\;{\mu}M$의 NO를 발생되었다. 또한 중성염용액 추출물을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마우스 복강에 투여하였을 시 대조군에 비하여 복강세포수가 10배 증가하였으며 혈액 내 백혈수 또한 2배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삼색도장버섯의 중성염추출물은 항암 효과와 숙주의 면역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G-CSF 단백질 N-말단의 비 알파-Helix 영역의 돌연변이에 의한 분비 조절 (Modulation of G-CSF Secretion by Mutations of Non Alpha-Helical Region in N-Terminus)

  • 박정혜;박정애;강석우;구태원;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778-1783
    • /
    • 2011
  • 조혈에 관여하는 cytokine은 골수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촉진시켜 혈구세포 생산을 조절한다. 이런 cytokine을 조혈성장인자(hematopoitic growth factor)이라고 하고, 그 중에서 호중구 세포(neutrophil) 성장에 관여하는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G-CSF)는 임상적 치료제로서 아주 중요하다. 왜냐하면 화학적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심각한 호중구 세포가 감소하는 증세(neutropenia)가 발생하여 감염으로 인한 사망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두 종류의 G-CSF 재조합 단백질이 치료제로 승인 받아 사용되고 있으며, G-CSF 재조합 단백질 생산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본 연구팀은 누에에서 유래된 Bm5 세포주에서 G-CSF의 생산을 증대하기 위해 누에 prophenoloxidase activating enzyme의 Endoplasmic reticulum targeting signal sequence유전자와 사람 G-CSF 유전자를 융합한 chimera 유전자를 제작하여 재조합 G-CSF 단백질을 생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chimera 유전자가 생산하는 재조합 G-CSF 단백질의 N-말단에 3 개의 아미노산이 결여되는 3 종류의 돌연변이 유전자를 제작하여 G-CSF 단백질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중 한 돌연변이 유전자에 의해 세포 밖으로 분비된 G-CSF 단백질의 생산이 현저히 감소하여, N-말단 부분이 이 단백질의 분비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환혼산(還魂散)이 실험적(實驗的)으로 유발(誘發)한 종양(腫瘍)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Hwanhonsan Extract against Chemically Induced and Xenografted Mice Tumor)

  • 송효원;류도곤;조동기;엄상섭;강성도;고정수;성은경;윤용갑;조남수;이춘우;강순수
    • 동의생리학회지
    • /
    • 제14권2호통권20호
    • /
    • pp.229-237
    • /
    • 1999
  • Hwanhonsan has been used for curing tumor as a Oriental medicine without any experimental evidence to support the rational basis for their clinical us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ssible therapeutic or antitumoral effects of Hwanhonsan extract against cancer, and to study some mechanisms responsible for its effect. Some kind of tumors were induced by the typical application of 3-methylcholanthrene(MCA) or by the implantation of malignant tumor cells such as leukemia cells(3LL cells) or sarcoma cells(S180 cells) and FasII cells. Treatment of the Hwanhonsan extract(daily 1 mg/mouse, i.p.) was continued for 7 days prior to tumor induction and after that the treatment was lasted for 20 hrs. Against squamous cell carcinoma induced by MCA, Hwanhonsan decreased. not only the frequency of tumor production but also the number and weight of tumors per tumor bearing mice(TBM). Hwanhonsan also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3LL cells and S180 cells implanted tumors by frequency and their size, and some developed tumors were regressed by the continuous treatment of Hwanhonsan extract into TBM. However, when tumor was induced by FsaII cells implantation, the growth of implanted cells in mice was delayed by the water extract of Hwanhonsan until 7 days and then rapid growth ensued. In vitro treatment of Hwanhonsan extract had no inhibitory effect on the tumor induced by some kind of cell lines such as A431 cells strain but i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3LL cells, S180 cel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wanhonsan extract exhibited a significant prophylactic benefits against tumors and its antitumor activity was manifested depending on the type of tumor cells.

  • PDF

연 및 neferine의 암세포 항 성장 및 세포사멸 활성 (Anti-proliferative and Pro-apoptotic Activities of Nelumbo nucifera and Neferine in Human Colorectal HCT116 Cells)

  • 김용현;이은주;정정욱;손호용;박종이;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080-108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연(Nelumbo nucifera)의 잎(leaf, NL), 자육(seed, NS), 자방(seedpod, NSP)의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암세포 항 성장 활성과 세포사멸 활성을 연구하였다. 추출물 NL, NS, NSP는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을 감소시켰을 뿐 만 아니라 항암 유전자인 NAG-1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또한, NL은 NAG-1 단백질의 발현과 PARP cleavage를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PARP cleavage는 NAG-1 siRNA의 transfection에 의해 부분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NAG-1이 NL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에 기여하는 유전자 중의 하나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연근 유래의 순수물질인 neferine도 농도의존적으로 HCT116 세포 생존율을 감소시켰으며, NAG-1 단백질의 발현과 PARP cleavage를 농도의존적, 시간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Neferine에 의해 유도된 PARP cleavage는 NAG-1 siRNA의 transfection에 의해 부분적으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NAG-1 단백질이 neferine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에도 기여하는 유전자 중의 하나라는 것을 시사한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연근 부위별 추출물과 연근유래 순수물질인 neferine에 의한 암세포 항 성장 활성과 세포사멸 활성의 분자 생물학적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Ginsenoside Rg3 in combination with artesunate overcomes sorafenib resistance in hepatoma cell and mouse models

  • Chen, Ying-Jie;Wu, Jia-Ying;Deng, Yu-Yi;Wu, Ying;Wang, Xiao-Qi;Li, Amy Sze-man;Wong, Lut Yi;Fu, Xiu-Qiong;Yu, Zhi-Ling;Liang, Ch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418-425
    • /
    • 2022
  • Background: Sorafenib is effective in treating hepatoma, but most patients develop resistance to it. STAT3 signaling has been implicated in sorafenib resistance. Artesunate (ART) and 20(R)-ginsenoside Rg3 (Rg3) have anti-hepatoma effects and can inhibit STAT3 signaling in cancer cell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g3 in combination with ART (Rg3-plus-ART) in overcoming sorafenib resistance, and to examine the involvement of STAT3 signaling in these effects. Methods: Sorafenib-resistant HepG2 cells (HepG2-SR) were used to evaluate the in vitro anti-hepatoma effects of Rg3-plus-ART. A HepG2-SR hepatoma-bearing BALB/c-nu/nu mouse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in vivo anti-hepatoma effects of Rg3-plus-ART. CCK-8 assays and Annexin V-FITC/PI double staining were used to examine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respectively. Immunoblotting was employed to examine protein levels. ROS generation was examined by measuring DCF-DA fluorescence. Results: Rg3-plus-ART synergistically reduced viability of, and evoked apoptosis in HepG2-SR cells, and suppressed HepG2-SR tumor growth in mice. Mechanistic studies revealed that Rg3-plus-ART inhibited activation/phosphorylation of Src and STAT3 in HepG2-SR cultures and tumors. The combination also decreased the STAT3 nuclear level and induced ROS production in HepG2-SR cultures. Furthermore, overactivation of STAT3 or removal of ROS diminish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Rg3-plus-ART, and removal of ROS diminished Rg3-plus-ART's inhibitory effects on STAT3 activation in HepG2-SR cells. Conclusions: Rg3-plus-ART overcomes sorafenib resistance in experimental models, and inhibition of Src/STAT3 signaling and modulation of ROS/STAT3 signaling contribute to the underlying mechanisms. This study provides a pharmacological basis for developing Rg3-plus-ART into a novel modality for treating sorafenib-resistant hepato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