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pbell early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2초

캠벨얼리 포도원에서 잡초관리 방법이 갈색무늬병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eed Control on Pseudocercospora vitis and Fruit Characteristics in Campbell Early Vineyard)

  • 김선국;최원호;이석호;이윤상;윤창만;홍성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97-909
    • /
    • 2015
  • 우리나라 포도원에서 고품질 포도생산에 이용되고 있는 잡초관리 방법들이 병발생 및 수체생육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포도재배 농가에 실제적인 잡초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캠벨얼리' 품종을 재배하는 비가림 포도원에서 잡초관리방법으로 포도가지 파쇄(C.B.), 흑색부직포(W.F.), 흑색차광망(S.N.), 흑색비닐(P.F.), 왕겨(R.H.), 기계제초 2회(M.W.2), 기계제초 3회(M.W.3)를 무처리와 비교하였다. 비가림 포도원의 피복처리구(C.B., W.F., S.N., P.F., R.H.)와 무피복처리구(M.W.2, M.W.3, U.T.)간 평균온도는 각각 $26.2^{\circ}C$$25.8^{\circ}C$로 비슷하였으나, 피복처리구의 지상부 습도는 피복처리구에서 7월에 90%로 유지되다가 7월 하순 이후 40% 이하로 급격히 낮아져 무피복처리구와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토양수분은 무피복처리구에 비해 피복처리구에서 모두 높았으나 지온은 대체적으로 피복처리구가 낮았다. 피복처리별 갈색무늬병 발병은 흑색비닐피복에서 무처리 대비 7월에는 85%, 병발생이 높아지는 8월에는 69%의 감소효과를 보였고, 결과모지에서 병반 발생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육특성 중 절간장, 절간경은 무처리에 비해 흑색비닐 피복에서 생육이 좋았고 SPAD값은 흑색비닐 피복에서 가장 높았다. 과실품질 중 당도는 $14{\sim}15^{\circ}Brix$로 큰 차이는 없었으나 흑색비닐 피복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주야 온도차[DIF]와 시토키닌이 '캠벨얼리' 포도의 기내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 and Cytokinins on In Vitro Growth of 'Campbell Early' Crapes (Vitis spp.))

  • 김승희;김선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105-110
    • /
    • 2002
  • 포도 Campbell Early을 공시하여 기내 배양에 의한 대량 증식과 건전묘의 생산시 영향을 미치는 DIF조건과 cytokinin의 종류 (BA, TDZ, zeatin, 2iP, kinetin)및 농도의 최적 조건을 구명 하고자 수행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초생장은 0(25/2$^{\circ}C$)및 +7DIF(25/18$^{\circ}C$) 처리에서 좋았고. -7DIF(25/18$^{\circ}C$)에서는 생장이 전반적으로 나빴다. DIF 처리와 관계없이 BA와 TDZ 처리에서는 생장이 나빴으며 -7DIF 처리는 생육이 억제되었다. 분지수와 총절편체수도 모든 DIF 처리에서 신초 생장이 적었던 BA와 TDZ 처리에서 분지가 많았고, 총절편체수도 BA와 TDZ 처리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DIF와 상관없이 모든 zeatin과 kinetin 처리는 신초형성 효과는 없었고 오히려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모든 DIF 처리구에서 주온과 야온에 상관없이 대조구와 같거나 약간 낮았다. 0DIF 처리에서 절간수가 증가하였으며 - 및 +7DIF 처리에서는 모든 시토키닌 처리구에서 0DIF 처리보다 낮은 결과를 보였다. 생체중은 0DIF 처리에서만 효과가 좋았으며 모든 DIF 처리의 대조구도 생체중이 상당히 낮았다. DIF 처리는 포도 기내배양의 생체중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신초 생장과 관계가 깊은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에서 재배한 포도 품종간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Grape Varieties Cultivated in Korea)

  • 안혁진;손홍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80-28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조건하에 온실 재배하여 수확한 7종의 포도를 선발하여 품종간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포도의 당, pH, 총산도 등의 일반성분 분석과 HPLC를 이용한 유기산 분석, ICP-OES를 이용한 미네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당도는 V. vinifera종이 V. labrusca종에 비해 $2-4^{\circ}Bx$ 정도로 높게 나타났고, Seibel 품종이 $20.93^{\circ}Bx$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pH는 Chardonnay 및 Seibel 등이 4.01로 가장 높았으며, 총산도는 Steuben, Merlot, Cabernet Sauvignon 등이 0.9-1.0%로 다른 품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Tartaric acid의 함량은 Merlot 품종이 과육과 과피에서 가장 높았으며, Steuben, Kyoho 품종은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Malic acid의 경우 Chardonnay와 Seibel 등의 백포도 품종이 적포도 품종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Citric acid의 함량은 과육과 과피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고, Chardonnay와 Campbell Early의 과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미네랄 함량 중 potassium은 전체 미네랄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Chardonnay와 Seibel 등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Steuben과 Campbell Early 등이 낮게 검출되었다. Calcium의 함량은 Kyoho 포도 품종이 가장 높았고, Magnesium의 함량은 Chardonnay가 가장 높았으며, Sodium의 함량은 Chardonnay, Seibel 등이 높게 나타났다. Chardonnay와 Seibel은 Calcium을 제외한 전체 미네랄 함량에서 모두 높은 수치로 검출되었다.

포도로부터 분리한 S. cerevisiae S13 및 D8에 의한 캠벨 얼리 동결농축 과즙의 아이스와인 발효 특성 (Characteristics of Ice Wine Fermentation of Freeze-Concentrated Campbell Early Grape Juice by S. cerevisiae S13 and D8 Isolated from Korean Grapes)

  • 황성우;홍영아;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811-816
    • /
    • 2011
  • 국산 캠벨 얼리 포도과즙을 36 $^{\circ}Brix$로 동결농축한 후 국산 포도로부터 분리된S. cerevisiae S13, D8 균주를 이용하여 아이스와인의 발효를 행하면서 대조균주인 S. cerevisiae Fermivin과 발효특성을 비교하였다. 발효 중 S13과 D8의 경우 Fermivin보다 당도가 다소 빠르게 감소하였으며 빠른 알코올 생성을 보였다. 발효 종료 시점인 9일 후의 알코올 농도는 D8이 15.2%, S13은 14.0%, Fermivin은 12.6%를 나타내었다. 잔존 환원당의 함량은 Fermivin 포도주가 14.0%로 가장 높았으며 D8 포도주는 9.07%, S13 포도 주는 9.77%로 나타났다. 총산 함량은 Fermivin 포도주 약 0.82%에 비하여 D8과 S13 포도주에서 각각 0.97, 0.96%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pH는 모든 포도주에서 3.65-3.67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아세트알데히드는 D8 포도주가 81.9 ppm으로 다소 높았으며 Fermivin 포도주는 58.8 ppm으로 가장 낮았다. 메탄올 함량은 S13, D8 포도주가 Fermivin 포도주보다 다소 높았으나 과실주의 메탄올 허용 기준치보다는 매우 낮았다. L 값은 6.89-6.99로 일반포도주에 비해 매우 낮게, b 값은 4.37-4.5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아이스와인의 향과 맛은 S13 포도주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D8와 S13 포도주가 Fermivin 포도주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포도 '캠벨얼리'의 웨이크만과 개량일자형 수형에서의 노동력과 생장특성 비교 (Comparison of Labour and Growth Characters of Grape cv. 'Campbell Early' between Wakeman and Modified-T Trellis Training Systems)

  • 박서준;조은경;김수진;허윤영;남종철;황해성;박정관;정성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6-211
    • /
    • 2016
  • 개량일자형 수형과 웨이크만식 수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형으로 '캠벨얼리'와 같은 단초 전정형 품종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웨이크만식 수형과 개량일자형 수형에서의 노동시간과 노동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송이다듬기는 웨이크만식 수형에서 17.3 시간/10a, 개량일자형 수형에서 12.3/10a 시간이 소요되었다. 봉지씌우기는 웨이크만식 수형에서 10.1 시간/10a, 개량일자형 수형에서 8.2 시간/10a가 소요되었다. REBA index를 이용하여 송이다듬기와 봉지씌우기의 노동강도를 확인한 결과 웨이크만식 수형에서 13점, 개량일자형 수형에서 8.6점을 나타내었다. 한편, 개량일자형 수형에서는 포도나무 신초들의 절간장과 절간굵기의 강한 생장도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개량일자형 수형은 우리나라의 포도과원 생력화에 더욱 편리한 수형이다.

전해산성수에 의한 저장기체살균이 포도의 품질특성과 부패균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tmosphere Sterilization Using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Storage Quality and Microbial Growth in Grapes)

  • 김성환;정헌식;이주백;강준수;정신교;최종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49-554
    • /
    • 2003
  • 산성 전해수를 이용하여 포도(Vitis labrusca L.)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 시킬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Campbell Early와 Sheridan 포도를 저장고 내부기체를 산성 전해수에 통과시켜 살균시키는 $0^{\circ}C$ 조건에서 저장하면서 환경기체의 살균처리가 포도의 품질특성과 미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장환경기체의 살균처리는 포도 품종에 따른 차이가 없이 객관적 품질특성인 가용성 고형물, 적정산도, 가용성 탄닌, 안토시아닌, 에탄올 및 아세트 알데하이드 등의 함량 변화와 관능적 품질특성인 color, aroma, texture, juiciness 및 sweetness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저장기체의 살균처리는 포도 품종에 약간 의존적이긴 하지만 곰팡이를 포함하는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산성 전해수에 의한 저장환경기체의 살균처리는 포도의 품질에는 해가 없으면서 부패를 억제시켜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포도주 품질에 미치는 알코올 발효전 포도 전처리 효과 (Effect on Wine Quality of Pre-treatment of Grapes prior to Alcohol Fermentation)

  • 장은하;정석태;노정호;윤해근;박교선;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24-831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포도 품종인 캠벨얼리(Campbell Early)를 이용하여 발효전 원료의 전처리방법(열처리, CM처리)이 포도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총산에 있어서 CM처리를 할 경우 대조구나 열처리구에 비해 포도주의 총산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총안토시아닌과 탄닌 함량에 있어서, 열처리한 후 발효시킨 포도주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인반면 CM처리의 경우는 대조구나 열처리에 비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적색도는 안토시아닌이나 탄닌이 높은 열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나는바, 폴리페놀류 함량이 와인의 적색도와 상관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발효전 원료의 전처리 방법이 포도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전처리 기술은 원료 포도의 단점을 극복하는 유용한 수단이라고 생각된다.

기온자료에 근거한 주요 포도품종의 휴면해제 및 발아시기 추정 (Prediction of Dormancy Release and Bud Burst in Korean Grapevine Cultivars Using Daily Temperature Data)

  • 권은영;송기철;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85-191
    • /
    • 2005
  • An accurate prediction of dormancy release and bud burst in temperate zone fruit trees is indispensable for farmers to plan heating time under partially controlled environments as well as to reduce the risk of frost damage in open fields. A thermal time-based two-step phenological model that originated in Italy was applied to two important grapevine cultivars in Korea for predicting bud-burst dates. The model consists of two sequential periods: a rest period described by chilling requirement and a forcing period described by heating requirement. It requires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as an input and calculates daily chill units (chill days in negative sign) until a pre-determined chilling requirement for rest release is met. After the projected rest release date, it adds daily heat units (anti-chill days in positive sign) to the chilling requirement. The date when the sum reaches zero isregarded as the bud-burst in the model. Controlled environment experiments using field sampled twigs of 'Campbell Early' and 'Kyoho' cultivars were carried out in the vineyard at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HRI) in Suwon during 2004-2005 to derive the model parameters: threshold temperature for chilling and chilling requirement for breaking dormancy. The model adjusted with the selected parameters was applied to the 1994-2004 daily temperature data obtained from the automated weather station in the NHRI vineyard to estimate bud burst dates of two cultivar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The model showed a consistently good performance in predicting the bud burst of 'Campbell Early' and 'Kyoho' cultivars with 2.6 and 2.5 days of root mean squared error,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