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lus typ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초

Esterase isozyme patterns in developing plant regeneration from calli of citrus junos Sieb.

  • Lee, Hyun-Hwa;Lee, Sook-Young;Park, Min-Hee;Jang, Hyun-kyu;Kim, Hong-Sub
    • Plant Resources
    • /
    • 제2권1호
    • /
    • pp.1-9
    • /
    • 1999
  • The callus from the hypocotyl region of immature embryo of Citrus junos Sieb. was efficiently induced in the $\frac{1}{2}$ MS medium containing 45uM BA after 8 weeks culture. The callus was developed into the two callus type, embryogenic callus and nonembryogenic callus, which can be distinguished by visual examination depending on color and appearence. In vitro regeneration of callus established efficiently in the hormone-free MS medium from the embryogenic callu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changes depending on the developmental stage of embryo, the embryo was formed in the MS medium. The embryogenic and nonembryogenic callus, and the various stages of the somatic embryo were examimed the changes of esterase activity, and their isozyme patterns as well. The protein content and esterase activities was gradually increa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embryo. Total protein pattern were different by the SDS-PAGE and were appeared strong band of 23 KD in the torpedo stage. The pattern of the esterase isozyme was exhibited a difference between embryogenic callus and nonembryogenic callus. It was appered pI 6.0, 8.0, 8.2 in the embryogenic callus. Also the new band of pI 4.75 was appeared in the cotyled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s of esterase activities and isozyme patterns are importent factor in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citrus.

  • PDF

Hordeum spontaneum에서의 callus 유기와 식물체 양생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Hordeum spontaneum)

  • 최종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66-470
    • /
    • 1987
  • Hordeora spontaneum의 7계통의 trisomic 식물체에서 미숙배를 채취하여 2.4-D 1mg/$\ell$와 2mg/$\ell$가 첨가된 B5배지와 CI 배지에 치상하여 callus 형성을 유도했다. Callus 유기는 2.4-D 1mg/$\ell$ 첨가구에서는 B5배지보다 CI배지에서 양호하였으나, 2mg/$\ell$첨가구에서는 B5배지와 CI배지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 trisomic type에 따른 callus유기율에서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평균 Callus 유기율은 83 %였다. 식물체재생에서는 kinetin 1mg/$\ell$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양호하고, 무첨가구에서는 B5배지보다 SI 배지가 좋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다같이 유의차는 없었다. 합계 46개체가 재생되었으며 그후 17개체가 엽녹소 결핍개체였고 재생율은 7.6%였다.

  • PDF

벼 뿌리조직 유래의 캘러스로부터 체세포배 형성과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and Somatic Embryo Formation from Root-Derived Callus of Rice)

  • 손재근;김경민;김종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3-148
    • /
    • 1995
  • 벼의 뿌리조직을 기내배양하여 배발생캘러스의 형성과 식물체 재분화율의 품종간 차이 및 완숙배와 뿌리조직에서 유래된 캘러스의 현탁배양 기간별 부정배 형성정도와 식물체 재분화율 등에 대한 몇가지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벼 뿌리조직으로부터 캘러스 형성 및 식물체 재분화 능력의 품종간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자포니카형 품종들이 통일형 품종에 비해 캘러스의 생장량도 많고 식물체 재분화율도 높은 경향이었고, 공시품종 중 "영덕벼"의 식물체 재분화율이 13%로 가장 높았다. 뿌리 및 현미배양에서 형성된 캘러스를 고체배지에서 2 주 간격으로 7회 계대배양한 바, 계대배양 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식물체 재분화율이 증가되었다가 5회째부터는 점차 감소하였다. 뿌리조직에서 형성된 캘러스의 현탁배양에서 모양이 둥근세포와 그들의 세포괴는 배양 24일 후에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그 이후는 감소하였다. 현탁배양 기간별 뿌리조직에서 형성된 캘러스의 체세포배 형성률은 배양 90일까지는 배양기간이 길어질 수록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는 감소하였고, 식물체 재분화율도 배양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캘러스의 형태와 항산화물질 첨가가 톨 페스큐의 식물체 재분화와 형질전환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lus Type and Antioxidants on Plant Regeneration and Transformation of Tall Fescue)

  • 이기원;이상훈;김도현;이동기;원성혜;이효신;이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7-82
    • /
    • 2006
  • 유용유전자 도입을 통한 신품종 톨 페스큐를 개발할 목적으로 Agrobacterium을 이용한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 및 형질전환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을 조사하였다. 성숙종자로부터 유도된 캘러스를 형태에 따라 3가지 type으로 분류하였고 type II 캘러스는 유백색으로 녹색을 띠며 조직적으로 치밀한 상태이며 식물체로의 재분화효율이 5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재분화 배지에 $AgNO_3$와 cysteine을 동시에 첨가해 준 경우 무첨가구에 비해 캘러스 유도율은 6.7%, 식물체 재분화율은 12% 씩 각각 증가하였다. 캘러스 type 별 형질전환 효율을 조사한 결과 type II 캘러스는 58.0%로 가장 높은 형질전환효율을 나타내었다. 형질전환체를 PCR 및 PCR-Southern blot 분석을 실시하여 본 결과 발현벡터의 T-DNA 영역이 형질전환 식물체의 genome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효율적인 형질전환 시스템은 분자육종을 통한 신품종 톨페스큐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Somatic embryogenesis and in vitro plant regeneration from various explants of the halophyte Leymus chinensis (Trin.)

  • Sun, Yan Lin;Hong, Soon-Kwa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236-243
    • /
    • 2009
  • The halophyte Leymus chinensis (Trin.) is a perennial rhizome grass (tribe Gramineae) that i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China, Mongolia and Siberi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 optimal condition for plant regeneration from mature seeds, leaf base segments, and root segments in L. chinensis. Plant growth regulators affecting embryogenic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were investigated by four-factor-three-level [L9 (34)] orthogonal tes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explants types (mature seeds, leaf base segments and root segments), callus types, medium type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Wild type (WT) and Jisheng No. 1 plants (JS) were used for primary callus induction. A clear explants difference was seen during callus induction; mature seeds were considered as the preferred explants; and the highest frequency of callus induction was obtained in Medium 6 using mature seeds as explants in WT. Plant regeneration ability was evaluated by frequencies of green callus forming, shooting, rooting, and shooting with roots. Effect of α-naphthalene acetic acid (NAA) on shoot regeneration was remarkable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70.8% in WT after 2-month culture. The medium with 0.2- 0.5 mg/L NAA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shoot induction. All regenerated shoots were successfully rooted when transferred on half-strength Murashige and Skoog (MS) basal medium. The acclimatized plantlets were grown to mature with flowering and seeds setting in green house conditions.

배추 칼루스 배양시 NaCl 및 $Na_2SO_$가 Proline 축적과 수분관계 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Cl and $Na_2SO_$ on Proline Accumulation and Water Relations through Callus Cultures of Brassica campestris ssp. pekinensis)

  • 백기엽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3호
    • /
    • pp.185-190
    • /
    • 1991
  • Hypocotyl-derived callus cultures of Brassica pekinensis cv. Chungseng were grown on Murashige-Skoog medium containing NaCl, Na2SO4 and mannitol to clarify the effect of salts on callus growth, proline accumulation and water relations. Na2SO4 was more inhibitory than NaCl when survival rate, growth and fresh:dry weight ratios of established callus were measured. Fresh weight in 0.25% NaCl treatment was more than twice as increasable in comparison to the same concentration of Na2SO4 or control. Prolin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on either salt, attained at highest levels at the 5th subculture, and fluctuated as affected by both salts or mannitol. Concentrations of redeucing sugars were sharply increased after 2 or 3 times of subculture and decreased by increasing subculture. The water and osmotic potential in callus reached a maximum negative value after two weeks in culture, regardless of salt type and mannitol and tugor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on both salt and mannitol treatments.

  • PDF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ApxIIA (ApxII toxin) 유전자 발현 옥수수 형질전환체 개발 (The development of transgenic maize expressing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ApxIIA gene using Agrobacterium)

  • 김현아;유한상;양문식;권석윤;김진석;최필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313-318
    • /
    • 2010
  • 돼지 흉막폐렴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옥수수 HiII genotype 으로부터 유도한 type II형의 배발생캘러스를 식물발현벡터 pMYV611, pMYV613, pMYV616, V621, V622 및 V623로 형질전환시킨 Agrobacterium (C58C1)과 공동배양 하였다. 이들 식물발현벡터는 paromomycin 항생제 저항 유전자인 NPTII 선발마커와 표적 유전자로서 흉막폐렴균의 여러 가지 혈청을 생산하는 apxIIA유전자로 재조합하여 구축하였다. 식물발현벡터pMYV611, pMYV613, pMYV616, V621, V622 및V623의 경우 각각 4,120개, 5,959개, 7,581개, 52,329개, 48,948개 및 56,188개의 캘러스 클론을 Agrobacterium과 공동한 후 NPTII assay kit에 의해 nptII유전자의 발현빈도를 조사한 결과 각 벡터별로 2.3-4.4%의 캘러스 클론에서 항체결합 양성반응을 보였고, 이들 중 최종적으로 선발된 형질전환 캘러스 클론은 pMYV611에서 3개 (0.07%), pMYV613에서 4개 (0.07%), pMYV616에서 2개 (0.02%), V621에서 51개 (0.1%), V622에서 72개 (0.15%) 및 V623에서 102개 (0.18%)를 각각 얻었다. 형질전환된 캘러스 클론으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에서 유전자 도입여부를 Southern 분석으로 통해 확인한 결과 pMYV613에서 2개 식물체 및 V623에서 얻은 2개 식물체에서 각각 확인되었다.

식물조직배양 자동화를 위한 로봇개발 - 엔드이펙터 및 시스템의 성능시험 - (Development of a Robot for Automation of a Callus Inoculation)

  • 정석현;노대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7-94
    • /
    • 2009
  • 본 연구는 식물체 캘러서의 접종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로봇개발을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본 보에서는 로봇의 주요구성부인 엔드이펙터 및 전체 로봇시스템의 성능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하였다. 이에 본 보에서 소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캘러스 접종을 위하여 흡인식 엔드이펙터와 기계식 엔드이펙터를 제작하였으며, 흡인식은 분리 및 치상의 겸용, 기계식은 분리 분할 치상용으로 각각 분리하여 제작하였으며, 흡인식 엔드이펙터의 성능시험 결과, 평균 8.2kPa의 흡인압에서 캘러스가 깨끗이 분리되었으며 분리된 캘러스를 새배지로 치상 고정히는데 소요되는 적정 배출압은 12kPa로 나타났다. 또한 기계식 엔드이펙터를 이용한 접종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성능시험으로서 분할, 파지, 이송 및 치상 작업 성능을 시험한 결과 분할에서는 97%, 분할된 캘러는 모두 정확하게 파지되었으나, 치상하기 위하여 새로운 배양용기로 이송하는 과정에서는 일부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95%의 성능을 보였고 이송된 캘러스는 모두 정확하게 치상이 기능하였다. 따라서 분할하여 치상할 총 80개의 캘러스 가운데 74개가 정확하게 작업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성공율은 92%였다. 또한 식물 조직 배양 자동화 공정에 사용되는 로봇에 있어서 엔드 이펙터를 장착하게 되는 매니퓰레이터로서는 6자유도의 매니퓰레이터를 선정하였다.

왜성 변이 품종 '꼬마' 무궁화의 캘러스 유도 및 지상부 형성에 식물생장조절물질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Callus Induction and Shoot Regeneration from the Dwarf Type Variety, Hibiscus syriacus L.var. Ggoma)

  • 이지연;강은정;김상훈;김동섭;김진백;하보근;강시용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31-236
    • /
    • 2011
  • 'Ggoma' is a new Hibiscus dwarf type variety developed by gamma irradiation at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best optimum cultural callus formation and shoot regeneration condition. Sterilized leaf tissues were cultured on MS (Marashige and skoog's) medium containing 3% sucrose, 0.8% agar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and combination of TDZ, 2, 4-D, KT, BA, and 2iP for 4 weeks in vitro culture. MS medium containing 2,4-D $0.1mg\;l^{-1}$ and BA $0.5mg\;l^{-1}$ were most effective on callus formation and growth. After 4 weeks, callus was transferred on BA (0.5, 1, $1.5mg\;l^{-1}$) and TDZ (0.1, 0.2, $0.3mg\;l^{-1}$) for shoot formation. The best condition for inducing the shoot from callus was BA $1.5mg\;l^{-1}$ and TDZ $0.3mg\;l^{-1}$. This result will be useful for the rapid multiplication of Hibiscus syriacus L.var. Ggoma.

Efficient Plantlet Regeneration via Callus Formation from Leaf Segment of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 Kim Mi-Sun;Jeon Jae-Heung;Youm Jung-Won;Kim Jae-Hyun;Lee Byung-Chan;Kang Won-Jin;Kim Hyun-Soon;Joung Hyouk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129-134
    • /
    • 2005
  • Callus induction from a leaf explant has been achieved in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The highest frequency of callus induction was obtain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5 mg/L BA and 2.0 mg/L NAA after 2 months of culture. The cultures maintained continuously without change in color and type of callus when they cultured in the dark. Plantlet regeneration with a high frequency was achieved from induced calli on the same medium. A number of shoots are formed from one cluster of callus, and bulblets developed into intact plantlets after transfer to hormone-free MS medium. No phenotypic variations were observed among regenerants. Enhancement in plantlet regeneration via callus formation would be expected to facilitate the efficiency of transformation of this Oriental hybrid 'Casa Blan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