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AP1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4초

A549 폐암세포주의 방사선-유도성 세포사에서 NF-${\kappa}B$ 활성화 및 cIAP 발현 (NF-${\kappa}B$ Activation and cIAP Expression in Radiation-induced Cell Death of A549 Lung Cancer Cells)

  • 이계영;곽상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5호
    • /
    • pp.488-498
    • /
    • 2003
  • 연구배경 : 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면 세포사멸과 함께 AP-l, NF-${\kappa}B$와 같은 여러 전사인자가 활성화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염증과 면역반응의 중요한 전사인자인 NF-${\kappa}B$는 항아포프토시스의 기능이 있으며 NF-${\kappa}B$ 활성화를 차단함으로써 TNF-${\alpha}$나 daunorubicine 등에 의 한 항암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음이 밝혀져 있다. NF-${\kappa}B$의 항아포프토시스 기전은 NF-${\kappa}B$ 의존성 단백질인 cIAPI, 2의 전사발현 유도에 의한 것으로 cIAPl, 2는 caspase 3, 7, pro-caspase-9의 활성을 차단함으로써 아포프토시스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 유도성 세포사멸에 비교적 내성을 보이는 A549 세포주에서 방사선에 의한 NF-${\kappa}B$ 활성화와 그에 따른 cIAP 발현유도를 조사하고 NF-${\kappa}B$ 활성화를 차단하여 방사선 유도성 세포사멸의 감작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세포주는 A549 폐암세포주를 이용하였고, 방사선 조사는 Varian사의 Clinac 1800C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량은 10GY를 사용하였다. 세포독성 검사는 MTT Assay를 이용하였고, NF-${\kappa}B$ 활성화 검사는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electromobility shift assay, $I{\kappa}B-{\alpha}$ degradation에 대한 westem blot을 이용하였다. NF-${\kappa}B$활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proteosome inhibitor인 MGI32와 $I{\kappa}B{\alpha}$-superrepressor plasmid를 transfection한 안정적 세포주 A549-$I{\kappa}B{\alpha}$-superrepressor를 이용하였다. cIAP의 발현은 RT-PCR을 이용하였고, cIAP2 promoter 활성은 NF-${\kappa}B$ site를 포함한 cIAP2 유전자 5' f1anking region(1.4kb)을 pGL2-Basic luciferase vector에 cloning 한 construct를 사용하여 transfection 후 luciferase assay를 시행하였다. 결 과 : A549 cell에서 10Gy 방사선 조사에 의한 세포독성은 24hr, 48hr에 각각 $10.82{\pm}.3%$, $17.7{\pm}6.4%$로 비교적 내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방사선에 의한 NF-${\kappa}B$의 활성은 $I{\kappa}B-{\alpha}$ 분해에 대한 western blot과 EMSA로 확인하였으며 luciferase assay에서도 약 1.6 배 정도의 NF-${\kappa}B$ 활성화가 있었다. NF-${\kappa}B$활성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한 MG132는 방사선 유도성 세포사멸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A549-$I{\kappa}B{\alpha}$-superrepressor 세포주에서도 세포사멸의 감작효과는 없었다. 또한 RT-PCR 결과 방사선에 의한 cIAP1,2 mRNA 발현유도는 관찰되지 않았고 cIAP2 promoter luciferase assay에서도 cIAP2 전사활성 유도는 없었다. 결 론 : A549 폐암세포주에서 방사선에 의해 NF-${\kappa}B$의 활성화는 확인하였으나 활성화 정도가 미약하였고 NF-${\kappa}B$ 의존성 항아포프토시스 유전자인 cIAP가 방사선에 의해 발현유도 되지 않았으며, NF-${\kappa}B$ 활성을 차단함에도 세포독성에 감작효과가 없었으므로 A549 폐암세포주에서 방사선 유도성 세포사멸에 내성을 보이는 기전에는 NF-${\kappa}B$의 역할이 미미하리라고 사료된다.

Okadaic Acid에 의한 FRTL-5 갑상선 세포주의 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in FRTL-5 Thyroid Cells by Okadaic Acid)

  • 조지형;정기용;박종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2-14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FRTL-5 갑상선세포에서 Protein phosphatase type 1(PP-1)과 type 2A(PP-2A) 효소의 억제제인 okada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도 기전에 대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FRTL-5 갑상선세포에 다양한 농도($10{\sim}80nmol$)의 okadaic acid를 처리 한 후 caspase 3와 $PLC-{\gamma}1$ 분절을 확인 한 결과 40nmol 농도에서부터 caspase 3활성과 $PLC-{\gamma}1$ 분절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Okada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도 기전을 조사한 결과 anti-apoptotic 기능이 있는 Bcl-2 단백질 발현은 미약하게 감소하였으나 Bcl-xL은 농도 의존적으로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Caspase 3 효소활성을 저해하는 IAP 단백질 중 cIAP2는 okadaic acid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cIAP1과 XIAP 단백질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Okada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도는 caspase 3 의존적인 기전을 보였다. Caspase 3 특이억제제를 okadaic acid와 동시에 처리 시 apoptosis가 억제되었으며 $PLC-{\gamma}1$ 단백질의 절단 현상도 방지되었다. Caspase 3의 활성을 유도하는 cytochrome c의 유리는 okadaic acid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유리하였다. 결론적으로, okada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도는 caspase 3 의존적이며, Bcl-2와 IAP family 단백질 감소현상에 의하여 야기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인간 대장암 HT-29 세포에서 제주조릿대의 세포사멸 효과 (Apoptotic Effect of Sasa quelpaertensis Nakai in Human Colon Cancer HT-29 Cells)

  • 변지희;김민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1012-1018
    • /
    • 2014
  •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Nakai)는 한라산에 넓게 분포되어 자생하는 식물로 최근 연구에서 항염증, 항당뇨, 항산화, 항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장암에서의 항암 효능 및 그에 따른 mechanism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대장암 HT-29 세포를 대상으로 제주조릿대에 의한 항암작용과 기전에 대해 조사하였다. 제주조릿대에 의한 HT-29 세포의 증식 억제가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음을 DNA fragmentation와 flow cytometry 분석에 의한 sub-G1기의 세포빈도의 증가로 확인하였다. 제주조릿대에 의한 apoptosis 유발은 HT-29 세포의 S arrest 현상을 동반하였을 뿐만 아니라 발생한 산화질소의 증가와 anti-apoptotic factor인 IAP family (survivin, XIAP, cIAP-1, cIAP-2) 발현이 감소함으로써 촉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제주조릿대가 대장암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더 자세한 항암기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Targeted Silencing of Inhibitors of Apoptosis Proteins with siRNAs: A Potential Anti-cancer Strateg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 Li, Gang;Chang, Hong;Zhai, Yun-Peng;Xu, W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4943-4952
    • /
    • 2013
  •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cies, with a very poor prognosis. Despit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diagnosis and treatment in recent years, the long-term therapeutic efficacy is poor, partially due to tumor metastasis, tecurrence, and resistance to chemo-or radio-therapy. Recently, it was found that a major feature of tumors is a combination of unrestrained cell proliferation and impaired apoptosis. There are now 8 recogized members of the IAP-family: NAIP, c-IAP1, c-IAP2, XIAP, Survivin, Bruce, Livin and ILP-2. There proteins all contribute to ingibition of apoptosis, and provide new potential avenues of cancer treatment. As a powerful tool to suppress gene expression in mammalian cells, RNAi species for inhibiting IAP genes cab be directed against cancers. This review will provide a brief introduction to recent developments of the application IAP-siRNA in tumor studies, with the aim of inspiring future treatment of HCC.

Intestinal Alkaline Phosphatase: Potential Roles in Promoting Gut Health in Weanling Piglets and Its Modulation by Feed Additives - A Review

  • Melo, A.D.B.;Silveira, H.;Luciano, F.B.;Andrade, C.;Costa, L.B.;Rostagno, M.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16-22
    • /
    • 2016
  • The intestinal environment plays a critical role in maintaining swine health. Many factors such as diet, microbiota, and host intestinal immune response influence the intestinal environment. Intestinal alkaline phosphatase (IAP) is an important apical brush border enzyme that is influenced by these factors. IAP dephosphorylates bacterial lipopolysaccharides (LPS), unmethylated cytosine-guanosine dinucleotides, and flagellin, reducing bacterial toxicity and consequently regulating toll-like receptors (TLRs) activation and inflammation. It also desphosphorylates extracellular nucleotides such as uridine diphosphate and adenosine triphosphate, consequently reducing inflammation, modulating, and preserving the homeostasis of the intestinal microbiota. The apical localization of IAP on the epithelial surface reveals its role on LPS (from luminal bacteria) detoxification. As the expression of IAP is reported to be downregulated in piglets at weaning, LPS from commensal and pathogenic gram-negative bacteria could increase inflammatory processes by TLR-4 activation, increasing diarrhea events during this phase. Although some studies had reported potential IAP roles to promote gut health, investigations about exogenous IAP effects or feed additives modulating IAP expression and activity yet are necessary. However, we discussed in this paper that the critical assessment reported can suggest that exogenous IAP or feed additives that could increase its expression could show beneficial effects to reduce diarrhea events during the post weaning phase. Therefore, the main goals of this review are to discuss IAP's role in intestinal inflammatory processes and present feed additives used as growth promoters that may modulate IAP expression and activity to promote gut health in piglets.

TNF-α 신호에서 AIMP2와 TRAF2의 구조적 및 기능적 역할 (Structural and Functional Roles of AIMP2 and TRAF2 in TNF-α Signaling)

  • 김현진;정미숙;장세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6-112
    • /
    • 2020
  • 아미노아실-트랜스퍼 리보핵산 합성효소-상호작용 다기능 단백질 2(AIMP2)는 여러 tRNA 합성효소들과의 결합체를 이루게 하는 기능을 하며, DNA 손상에 대한 반응으로 세포사멸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DNA에 손상이 발생하면 AIMP2는 MDM2 공격으로부터 p53을 보호하기 위해 MDM2에 결합한다. TGF-β 신호에서 AIMP2는 세포 핵으로 들어가 FUSE 결합 단백질(FBP)과 결합하여 c-myc을 억제한다. TNF 수용체 관련 인자 2(TRAF2)는 c-Jun N-말단 키나아제(JNK), NF-κB 및 p38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MAPKs)의 신호에서 실행되는 두 수용체, TNF 수용체 1과 2 사이의 중요한 중재자이다. TARF2는 TNF-α 신호에서 JNK와 NF-κB의 활성화에 필요하며, 세포사멸 신호를 막는 중재자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TNF-α 신호에서 AIMP2는 세포사멸을 향상시킨다. 이 신호에서, AIMP2는 TRAF2를 분해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E3 유비키틴 효소인 c-IAP1과의 결합을 향상시킨다. AIMP2, TRAF2 및 c-IAP1을 포함한 복합체의 형성은 proteasome을 매개로 하여 TRAF2의 분해를 초래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AIMP2가 TNF-α 신호에서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TRAF2를 하향 조절시켜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체 전립선 상피세포에서 HDAC 저해제 trichostatin A의 caspase 및 NF-κB의 활성화를 통한 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HDAC Inhibitor Trichostatin A through Activation of Caspases and NF-κB in Human Prostate Epithelial Cells.)

  • 박철;김성윤;최병태;이원호;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36-34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인체전립선 상피세포인 267B1 세포에서 HDAC 저해제인 TSA에 의한 증식억제가 apoptosis 유도에 의한 것임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TSA에 의한 267B1 세포의 apoptosis에는 c-IAP-1 및 c-IAP-2와 같은 IAP family의 발현감소가 동반되었으나 Bax 및 Bcl-2와 같은 Bcl-2 family의 발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TSA에 의한 267Bl 세포의 apoptosis는 caspase의 활성에 의한 표적 단백질들의 분해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TSA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서 $NF-{\kappa}B$의 활성이 증가된다는 것을 세포질에서 $NF-{\kappa}B$의 핵 내로의 이동에 따른 전사활성의 증가 현상에 의한 것임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TSA와 같은 HDAC 저해제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는 $NF-{\kappa}B$의 활성 증가가 동반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HDAC 저해제의 항암활성에 대한 $NF-{\kappa}B$의 새로운 역할 가능성을 제시하여 주는 것으로서 이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네트워크 취약점 검색공격 탐지 시스템을 위한 안전한 통신 프레임워크 설계 (A Secure Communication Framework for the Detection System of Network Vulnerability Scan Attacks)

  • 유일선;김종은;조경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1호
    • /
    • pp.1-1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취약점 검색공격 탐지시스템 DS-NVSA(Detection System of Network Vulnerability Scan Attacks)에서 서버와 에이전트들 사이의 상호연동을 위한 안전한 통신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기존 시스템과의 상호연동을 위하여 제안 프레임워크는 IETF의 IDWG에서 제안한 IDMEF와 IAP를 확장 적용하였다. 또한 공개키 기반의 환경을 지원하지 못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해 대칭키 기반의 암호화 통신 프로토콜 SKTLS(Symmetric Key based Transport Layer Security Protocol)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DS-NVSA 이외에도 기존의 이기종 침입탐지 시스템의 제사용과 탐지 영역의 확대를 제공하며, 또한 기업내 통합 보안환경시스템 ESM(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영지 약침액이 인체 위암 세포 성장억제 및 세포사멸 유발에 미치는 영향 (Induction of Apoptosis i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 by Ethanol Extract of Ganoderma lucidum)

  • 이병훈;김홍기;김철홍;윤현민;송춘호;장경전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9권2호
    • /
    • pp.271-289
    • /
    • 2012
  • Objectives : Ganoderma lucidum(Ganoderma or lingzhi, 靈芝) is a well-known oriental medical mushroom containing many bioactive compounds. The possible mechanisms involved in its effects on cancer cells remain to be elucid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activities of the G. lucidum ethanol extract(GEE), i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were investigated. Methods : It was found that exposure of AGS cells to GEE resulted in the growth inhibition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as measured by trypan blue count and MTT assay.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GEE treatment in AGS cells was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changes and formation of apoptotic bodies, and the flow cytometry analysis confirmed that GEE treatment increased the populations of apoptotic-sub G1 phase.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of AGS cells by GEE were connected with a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up-regulation of tumou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TRAIL) expression. Results : The levels of XIAP and survivin expression, members of IAP family proteins, were gradually down-regulated by GEE treatment. However other members of IAP family proteins such as cIAP-1 and cIAP-2 remained unchanged in GEE-treated AGS cells. GEE treatment also induced the proteolytic activation of caspase-3, caspase-8 and caspase-9 and a concomitant degradation of poly(ADP-ribose) polymerase(PARP) protein, a caspase-3 substrate protein. Additionally, GEE-induced apoptosis was associated with the inhibition of Akt activation in a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manner, and pre-treatment with LY294002, a phosphoinositide 3-kinase(PI3K)/Akt inhibitor, significantly increased GEE-induced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Conclusions : Therefore, G. lucidum has a strong potential as a therapeutic agent for preventing cancers such as gastric cancer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