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ried city gas pip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7초

도시가스 매설이중배관 건전성 향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ity Gas Buried Double Piping Integrity)

  • 임형덕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757-763
    • /
    • 2020
  • City gas buried pipes are managed by corrosion protection to prevent corrosion. In the case of the press-in section, the double pipe and the main pipe may cause corrosion under the influence of stray current, which can shorten the life of the pipes. In addition, if the insulator is filled in the press-in section, the press-in section itself is a single structure, and can be directly affected by external impact, and when the surrounding ground subsidence occurs, the stress may be concentrated, resulting in serious consequences. In this study, a serration-type shock absorber in the form of a sliding support was proposed as a new buried double pip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PS. The serration-type shock absorber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integrity of the buried double piping, as it can utilize the gas piping's own ductility and stres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ith proper anti-corrosion management and shock-absorbing material properties by preventing contact inside the buried double pipe. However, for application to ground piping, there remains a task to supplement the vulnerability against fi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PS materials.

구조해석을 통한 도시가스 매설배관의 지진 영향 분석 (Seismic Impact Analysis of Buried Citygas Pipes through Structural Analysis)

  • 조윤호;최마리아;양주안;전상일;전지훈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9-26
    • /
    • 2023
  • 지진은 지하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재해 중 하나이다. 도시가스 지하 매설 배관은 지진 발생 시 구조물의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디지털 관측을 시작한 이래로 지진 발생 횟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도시가스배관의 내진 설계 기준은 2008년에 KGS GC204 가스배관 내진설계 기준이 제정되었지만 이는 배관 설치 시 기준으로 지진 발생 시 배관의 영향을 추정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매설배관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는 PE(폴리에틸렌관)배관과 PLP(폴리에틸렌 피복강관) 배관을 대상으로 지진 발생 시 환경 및 배관의 변수에 따른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를 통해 배관을 모델링하고 지반에 변위를 발생시켜 가장 취약한 매설배관의 변수를 찾고자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토양은 탄성계수가 클 수록, 매설심도는 깊을 수록, 관경은 작을 수록, 압력은 높을 수록, PE 보다 PLP 배관이 더 지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매설 도시가스배관의 취약지점을 유추하여 지진발생 시 매설배관의 특별점검에 활용하고자한다.[1]

하천통과 매설배관의 사고사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ccidents of Buried Pipeline Crossing River)

  • 마영화;김지윤;윤기봉;조영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1-56
    • /
    • 2010
  • 해외 하천통과 매설배관 사고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국내 하천통과 도시가스매설배관의 합리적인 매설심도를 결정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사고사례 조사결과 하천을 통과하는 천연가스매설배관 사고의 주요원인은 홍수로 분석되었다. 홍수에 의한 배관 노출 및 과도 유량에 의한 하중이 파손 원인인 경우가 많다. 파손발생 위치에서 부식이 발생한 것도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국내 하천통과 매설배관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매설심도 결정을 위해서는 국내 하천특성에 맞는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평가와 배관의 구조해석이 요구된다. 일반 천연가스배관의 사고사례 조사 결과도 주요 원인이 외부간섭과 부식임도 요약하였다. 이들 두 주요원인은 매설환경에 따라 전체사고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차이가 있었다.

Faster R-CNN을 활용한 GPR 영상에서의 지하배관 위치추적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Detecting buried pipelines in GPR images using Faster R-CNN)

  • 고형용;김남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1-26
    • /
    • 2019
  • 도심지에는 상 하수관로, 가스관, 수소관 등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배관이 매설된다. 매설된 배관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균열 등으로 노후화되면서 폭발, 누수 등의 사고 발생 위험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많은 노후 배관 수리, 교체되지만, 배관의 위치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변경된 배관의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면 배관을 건드려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GPR을 사용하여 지하 단면 영상을 얻고, Faster R-CNN을 활용하여 지하 배관의 위치를 추정해보고, augmentation을 적용하여 부족한 데이터를 늘려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산업단지 고압매설배관의 손상확률 평가 (An Assessment Pipe Damage Probability of High Pressure Underground Pipeline in Industrial Estate)

  • 김진준;이광원;최현웅;최지헌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16
    • /
    • 2019
  • 울산, 여주 등 산업단지의 고압매설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굴착공사 등 타 공사로 인한 중대사고의 발생빈도를 도시가스 매설 배관과 비교하여 FTA에 의해 기초사상(Basic event)을 도출하여 제시한다. 또한 굴착빈도, 순찰주기 등 배관손상 영향 인자를 관찰 및 분석하고, 이들 인자의 중요도와 민감도를 Risk 비교분석을 통해 구해봄으로써 고압가스매설배관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한다.

국내 도심지 매설가스배관의 지진취약도 분석 연계 GIS 정보 가시화 기술 (Visualization Technology of GIS Associated with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Buried Pipelines in the Domestic Urban Area)

  • 이진혁;차경화;송상근;공정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177-185
    • /
    • 2015
  • 도시기반 라이프라인은 지진발생시 시설물의 붕괴뿐만 아니라 붕괴로 인한 도시기능 마비, 대형화재와 같은 2차 피해를 동반하여 막대한 사회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국내에서는 지진재해대응시스템을 운영 중이며, 지진재해대응시스템은 각 시설물별 지진취약도 모델을 통해서 시설물의 파괴확률을 산정하고, 지진재해 정도를 평가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지반특성을 고려하여 도시기반 라이프라인 시설물 중 매설가스배관의 시간이력 해석을 수행하였고, 확률론적인 해석방법인 최우도추정법을 이용하여 지진취약도 모델을 개발하였다. 해석모델은 국내 대표도시인 서울지역에 매설된 고압관과 중압관으로 선정하였으며, 지반의 모델링은 Winkler foundation 모델을 이용하였다. 또한 개발된 취약도 모델의 GIS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시가스 배관용 되메움재 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s of Backfill Materials for Underground Pipelines Carrying Natural Gas)

  • 류영돈;곽채식;유영조;이수경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5-80
    • /
    • 2008
  • 도시가스안전관리기준 통합고시에서는 도시가스배관 매설시 되메움 기초재료 및 침상재료로 모래 또는 19mm 이상의 큰 입자가 포함되지 않은 양질의 흙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대부분 모래만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육상모래 고갈 및 수급곤란 현상이 발생하고, 건설공사 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되메움재가 배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국내 외의 되메움재 사용실태를 조사한 후 "모래이외의 되메움 재료"에 대한 세부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조사 연구 자료는 정부에서 가스배관의 되메움재료에 관한 도시가스안전관리기준 통합고시 기준을 개정하는 데 일조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도심지 하천매설배관의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of River Crossing Pipeline in Urban Area)

  • 박우일;유철희;신동일;김태옥;이효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2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국가하천을 지나는 도시가스 고압 배관에 대하여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위험성 평가는 최악의 시나리오 조건에서 실제 도시가스 물성, 교통량과 인구·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하였으며, 평가 결과 사회적(societal) 위험도와 개인적 (individual) 위험도는 조건부 허용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하천매설 배관의 시공 시 당시 보호관으로 보호하거나 방호구조물 안에 설치한 것에 따른 위험 경감 효과가 고려되지 않은 위험성 평가 결과에 반영되지 않은 점을 고려한다면 보다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SAFETI v8.22를 활용하여 복사열에 의한 사고 피해 거리와 확산 거리 등이 풍속과 대기안정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위험성 평가 결과 현재까지 배관의 안전성은 확보되어 있으나, 주기적인 점검과 모니터링을 통해 하상 변동을 포함한 예상치 못한 사고를 방지하는 등 안전성 향상방안을 제언한다.

지하 구조물 부식 감시를 위한 무선 검침/관리 시스템 설계 (An Efficient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Design of the Wireless Reading/Management System for the Corrosion Monitoring of Underground Structures)

  • 권용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95-102
    • /
    • 2014
  • 지표면 아래에는 다양한 구조물들이 매설되어 있으며, 특히 도시가스 배관이나 전기 배선과 같이 문제가 발생할 경우 우리의 안전을 크게 위협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요소들이 존재하고있다. 따라서 다양한 오염물질과 접하게 되는 지하 구조물들은 부식에 대단히 민감하기 때문에 부식의 진행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가스 배관의 누설과 같은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는 사람이 직접 지하구조물에 일일이 방문하여 수작업으로 측정하고 기록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 방식은 많은 인적/물적 자원이 요구되어 관리의 연속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위험요소를 신속하게 발견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구조물 관리 시스템에 ICT를 결합하여 이동 중인 차량에서 지하구조물에 대한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신속히 대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해양점토와 현장토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Liquid Filler Using Marine Clay and In-situ Soil)

  • 오세욱;방성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9호
    • /
    • pp.25-32
    • /
    • 2020
  • 지반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하매설물은 중요한 토목구조물로서 상·하수도관, 지중전력선, 각종 통신선로, 도시가스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런 지중매설물들은 시공 시 집중강우, 차량하중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위험에 노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뒤채움재의 선정과 시공이 중요하다. 현재 주로 사용하는 공법으로는 지하매설물 주변을 흙으로 메우고 다짐을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매설관 하부의 다짐이 어렵고 다짐효율이 떨어져서 지하매설물의 안정성을 저감시키고 이로 인해 각종 파손이 발생한다. 또한 개착 시 원지반 교란에 따라 지반의 강도가 저하되고 시공 과정이 복잡하며 공기가 길어져 공사비가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가 유동성 채움재를 활용하는 것이다. 유동성 채움재는 자기 수평능력, 자기다짐, 유동성, 인위적인 강도조절, 유지보수를 위한 재굴착이 가능한 저강도 발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매설물을 설치한 후 되메움을 하는 재료로서 해양점토와 고화재 및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토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일축압축강도 시험과 유동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동결에 의한 강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결융해시험을 수행하였고 채움재가 지중배관의 부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시험과 pH시험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