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nchoscopy

검색결과 463건 처리시간 0.025초

Rigid Bronchoscopy for Post-tuberculosis Tracheobronchial Stenosis

  • Hojoong Kim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6권4호
    • /
    • pp.245-250
    • /
    • 2023
  • The healing process of tracheobronchial tuberculosis (TB) results in tracheobronchial fibrosis causing airway stenosis in 11% to 42% of patients. In Korea, where pulmonary TB is still prevalent, post-TB tracheobronchial stenosis (PTTS)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benign airway stenosis causing progressive dyspnea, hypoxemia, and often life-threatening respiratory insufficiency. The development of rigid bronchoscopy replaced surgical management 30 years ago, and nowadays PTTS is mainly managed by bronchoscopic intervention in Korea. Similar to pulmonary TB, tracheobronchial TB is treated with combination of anti-TB medications. The indication of rigid bronchoscopy is more than American Thoracic Society (ATS) grade 3 dyspnea in PTTS patients. First, the narrowed airway is dilated by multiple techniques including ballooning, laser resection, and bougiena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Then, most of the patients need silicone stenting to maintain the patency of dilated airway; 1.5 to 2 years after indwelling, the stent could be removed, this has shown a 70% success rate. Acute complications without mortality develop in less than 10% of patients. Subgroup analysis showed successful removal of the st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le sex, young age, good baseline lung function and absence of complete one lobe collapse. In conclusion, rigid bronchoscopy could be applied to PTTS patients with acceptable efficacy and tolerable safety.

급성 저산소혈증 환자에서 비침습적 양압환기 적용 하 기관지경 검사 후 기관 삽관의 예측 인자 (Prediction of Intubation after Bronchoscopy with 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Support in Patients with Acute Hypoxemic Respiratory Failure)

  • 송재욱;김수아;최이령;김수민;최희정;임소연;박소영;서지영;전경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1호
    • /
    • pp.21-26
    • /
    • 2009
  • 연구배경: 급성 호흡부전 환자에서 기관지경 검사 시비침습적 양압환기를 적용하면 저산소혈증의 악화 없이 안전하게 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나 일부 환자에서는 저산소혈증의 악화로 기계 환기가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저산소혈증으로 비침습적 양압환기 적용 하에 기관지경 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에서 검사 후 기관 삽관의 빈도 및 예측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5년 1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삼성서울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서 기관지경 검사를 받은 환자 210명 중 저산소혈증으로 비침습적 양압환기 적용 하에 기관지경 검사를 시행한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36명의 환자(남:여, 18:18)들의 중앙연령은 55세(사분위 범위, 43~65세)였다. 기관지경 검사 전 SOFA 점수는 4점(3~7점), SAPSII 점수는 37점(30~42점)이었고 P/F ratio는 중앙값 155 (90~190)이었다. 기관지경 검사 후 17명(47%)에서 기관 삽관이 시행되었고, 시술 후 삽관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은 22시간(2~50시간) 이었다. 36명의 환자 중 15명(42%)이 사망하였고, 기관 삽관이 필요했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병원 내 사망률이 높았다(11 [65%] vs. 4 [21%], p=0.017). 다중 로지스틱 회기분석 결과 기관지경 검사 전의 P/F ratio만이 기관지경 검사 후 기관 삽관과 독립적으로 관련이 있었다(OR, 0.961; 95% CI, 0.924~0.999; p=0.047). 결 론: 급성 호흡부전 환자에서 기관지경 검사 시 저산소혈증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비침습적 양압환기를 적용할 때 적절한 환자 선택이 중요하며, 중증 저산소혈증환자에서는 기관 삽관을 대비하여 검사 후 집중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객혈에서 굴곡성 기관지경의 출혈부위 결정을 위한 적절한 시행시기 및 그 유용성 (Optimal Time to Localize Bleeding Focus and the Usefulness of Flexible Bronchoscopy in Hemoptysis)

  • 이재호;고원중;이찬주;정희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3호
    • /
    • pp.353-364
    • /
    • 2000
  • 연구배경 : 객혈은 임상에서 흔한 증상의 하나인데, 기관지경검사는 객혈에서 진단이나 출혈부위와 확인, 그리고 치료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기관지경검사의 적절한 시행시기 및 적응증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방법 : 객혈에서 기관지경검사의 적절한 시행시기를 결정하기 위해서, 객혈환자 118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단순 흉부 X-선 소견, 출혈 양 및 출혈 지속기간과 기관지경검사의 시행시기와의 관계를 알아 보았다. 결과 : 1. 객혈의 원인은 활동성 폐결핵(34명, 28.8%), 비활동성 폐결핵(12명, 10.2%), 기관지확장증(20명, 17.0%), 폐암(9명, 7.6%), 폐국균종(9명, 7.6%), 그리고 기타가 10명(8.5%)이었고, 원인을 알수 없었던 경우가 24명(20.3%)이었다. 2. 출혈병소의 발견율은 기관지경검사를 일찍 시행 할수록 증가하였는데(p<0.05) 기관지경검사를 출혈 도중에 시행한 경우에는 24명의 환자중 21명(87.5%), 지혈된 후 24시간 이내에는 12명중 5명(41.7%), 그 후에 시행한 경우는 82명중 33명(40.2%)에서 출혈병소가 확인되었다. 3. 출혈병소의 발견율은 흉부사진 상 국소적이든 비국소적이든 병변이 보였던 경우에 더 높았다(p<0.05). 단순 흉부 X-선 소견에 관계없이 모든 경우에서 출혈 도중에 기관지경검사를 시행하면 출혈병소의 발견율은 증가하였다(p<0.05). 단순 흉부 X-선상 정상이거나 비국소적인 병변을 보이는 경우에는 출혈 도중이나 지혈 후 48시간 이내에 기관지경검사(조기 기관지경검사)를 시행했을 때 진단율은 증가하였다(p<0.05). 4. 기관지경에 의한 출혈병소의 발견율은 출혈 양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p<0.05). 비슷한 정도의 출혈 양을 보이는 경우에 기관지경검사를 조기에 시행하면 진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는 않았다(p>0.05). 5. 출혈병소의 발견율은 객혈의 지속기간과는 관계가 없었다(p<0.05). 그러나 객혈의 지속기간이 1주 미만이었던 경우 출혈 도중에 기관지경검사를 했을 때 증가하였다(p<0.05). 객혈의 지속기간이 1주 혹은 그 이상이면 기관지경검사의 시행시기에 따른 발견율의 차이가 없었다(p>0.05). 6. 조기 기관지경검사로 4명의 환자에서 정확한 출혈부위를 확인하여 폐절제술의 수술 부위를 결정하였으며, 1명에서는 기관지경을 통한 트롬빈 주입으로 객혈이 성공적으로 지혈되었다. 결론 : 객혈에서 굴곡성 기관지경검사는 출혈부위를 확인하는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며, 기관지경검사는 출현도중이나 지혈 후 48시간 이내에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기관절개 및 비내시경을 이용하여 치험한 기관이물 1례 (A CASE OF BRONCHIAL FOREIGN BODY REMOVED BY TRACHEOSTOMY AND NASAL ENDOSCOPY)

  • 임상철;조재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44-247
    • /
    • 1996
  • Most of bronchial foreign bodies can be removed by ventilation bronchoscopy through transoral route but sometimes, ventilation bronchoscopy through tracheostomy is helpful procedure.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bronchial foreign body which could be easily removed by nasal endoscopy and Blakesley forcep instead of bronchoscopy. So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 PDF

기관지결석증 치험 1례 (A Case of Broncholithiasis)

  • 배홍갑;이웅렬;조태환;성창섭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9.1-9
    • /
    • 1983
  • 기관지결석증은 근래에 와서 기관지내시경술, 방사선학 및 생화학의 발달로 진단이 용이하여졌으며 병태에 관해서도 많이 규명되고 있다. 그러나 기관지결석증은 비교적 희유한 질병임으로 기관지폐쇄증의 경우 감별진단에서 간과하게 되어 조기 진단의 기회를 잃고 합병증을 유발하여 폐절제술까지 시행한 보고들이 있다. 저자들은 장기간 간헐적인 해수 및 혈성객담을 주소로 내원한 53세 여자환자의 X-선 소견과 fiberoptic bronchoscopy로 좌측주기관지에 있는 기관지결석을 진단하고 기관지직달경하에서 이를 제거 치료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입니다.

  • PDF

Ludwig's Angina 환자의 어려운 기도 관리에서 기관지내시경과 비디오 후두경의 병용 경험 (Difficult Airway Management with Fiberoptic Bronchoscopy Combined with Video Laryngoscope in a Patient with Ludwig Angina)

  • 송재격;김석곤;배정호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89-193
    • /
    • 2013
  • We experienced dfficult airway management in a patient who had Ludwig angina with morbid obesity, dfficulty with mouth opening and neck extension. We planned to perform awake-nasotracheal intubation with fiberoptic bronchoscopy but the patient's condition was not suitable to do this procedure. Thus, we tried fiberoptic nasotracheal intuba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but we experienced difficult airway management due to epistaxis. We tried to use video laryngoscope instead of fiberpotic bronchoscopy but also failed to guide the tube into trachea due to limited mouth opening. We used video laryngoscope to make a view of vocal cord and used fiberoptic bronchoscope as an intubation guide of endotrachedal tube and successfully intubated the patient.

리도카인 아나필락시스 환자에서 경직 기관지내시경술을 통해 기도 암종을 진단한 1예 (A Case of Tracheal Carcinoma Diagnosed by Rigid Bronchoscopy in Lidocaine Anaphylaxis Patient)

  • 윤병갑;반희정;권용수;오인재;김규식;김유일;임성철;김영철;송상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2호
    • /
    • pp.140-144
    • /
    • 2009
  • The majority of flexible bronchoscopies are performed under topical anesthesia with lidocaine being the most commonly used agent. Anaphylaxis rarely occurs after local administration of lidocaine, but can be a fatal complication. We experienced a case of unexpected anaphylaxis. A 66-year-old woman was scheduled for flexible bronchoscopy to evaluate a tracheal mass and stenosis. The oral and nasal mucosa were pretreated with lidocaine. About 2~3 minutes later, the patient developed hypotension and we treated for anaphylaxis in the emergency room. Then, we decided to perform rigid bronchoscopy in this patient, under conditions of general anesthesia. A rigid bronchoscopy was performed in this patient, safely and successfully. The tracheal mass was determined to be squamous cell carcinoma.

장기간 체류한 기관지내 이물에 합병된 기관지간 누공 형성 1예 (A Case of Formation of Interbronchial Fistula Complicated by Long-standing Bronchial Foreign Body)

  • 이종환;김성준;이덕영;조종대;정수룡;나인균;김동욱;이진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882-887
    • /
    • 1998
  • 저자들은 1년전 제산제 복용 도중 약 포장지 조각을 흡인한 사실을 모르고 지내다가 지속된 흉부 불쾌감,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여 굴곡성 가관 지경으로 기관지내 이물 및 반복되는 염증으로 인한 기판지간 누공을 발견하고 이물을 제거한 1예를 경험 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는 바이다.

  • PDF

기관지질환 진단을 위한 가상내시경 (Virtual Bronchoscopy for Diagnosis of Tracheo-Bronchial Disease)

  • 김도연;박종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5호
    • /
    • pp.509-514
    • /
    • 2003
  • 본 논문은 흉부를 촬영한 CT(Computed Tomography) 영상을 이용하여 기관지 내부를 시각화(visualization)하기 위해 가상기관지경(virtual bronchoscopy)을 구현하였다. 실제 광학내시경은 침습(invasive)검사로 환자가 불편함을 감수해야하며 검사 전에 사전 준비 작업이 필요하고 절개, 감염, 출혈 등의 부작용을 수반하는데 비해 가상내시경은 CT 나 MRI 등과 같은 스캐너의 단면 영상을 사용하여 구현한다. 가상기관지경의 항해경로 결정을 위해 CT 단면 원천영상에서 기관지(trachea wall)만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기관지 영상을 이용하여 중앙축 변환(MAT : .Medial Axis Transformation)을 통해 구해진 좌표값을 가상 카메라의 운행 경로로 사용하였다. 원근투영(perspective projection) 및 볼륨 데이터의 표면을 렌더링하기 위해 마칭큐브(marching cube)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기관지질환은 기관지 내부의 염증(inflammation) 이나 폐암(lung cancer)으로 기인하여 기관지 통로가 좁아지는 기관지 협착증, 기관지 확장증 및 기관지암으로 분류된다. 가상기관지경은 기관지 내부의 질환 위치와 질환 정도를 정성적으로 파악 할 수 있으며 기관지질환의 진단과 교육에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