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iler carcass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36초

Influence of pre-slaughter fasting time on weight loss, meat quality and carcass contamination in broilers

  • Xue, Ge;Cheng, Silu;Yin, Jingwen;Zhang, Runxiang;Su, Yingying;Li, Xiang;Li, Jianhong;Bao, Jun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6호
    • /
    • pp.1070-1077
    • /
    • 2021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fasting time prior to slaughter for broilers in floor-feed and scatter-feed mode. Methods: On 21 d since hatching, 120 Arbor Acres broilers were divided into floor-feed and scatter-feed groups, chicks from each group were further assigned to feed withdrawal treatments for 0, 4, 6, 8, and 10 h. Some resultant indicators such as carcass contamination, body weight loss, meat quality of 54-day-old broilers were measured. Results: It appears that longer feed withdrawal increased weight loss, lightness, drop loss of meat but reduced pH. A significant higher weight loss and lightness for both floor-feed and scatter-feed chicks coincided after 6 to 10 h feed withdrawal (p<0.05). pH for breast muscle at 45 min postmortem reduced when chicks of scatter-feed were fasted 6 and 10 h, while the reduction of floor-feed group occurred only in 10 h (p<0.05). A noticeable effect of feed withdrawal on drop loss occurred after 10 h fasting in scatter-feed of which drop los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other groups including control (p<0.05). The change of contamination propensity revealed that 6 to 10 h fasting significantly reduced the likelihood of carcass contamination under both floor-feed and scatter-feed (p<0.05). Net weights of intestinal contents for gizzard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feed deprived for 10 h in floor-feed and 6 and 10 h in scatter-feed (p<0.05). The decrease for whole intestine occurred after floor-feed broilers have been without feed for more than 4 h, scatter-feed broilers for more than 8 h (p<0.05). Conclusion: On the premise that poultry product properties and welfare were not significantly damaged, proper fasting time could reduce carcass contamination. Current data implied that 6 h fasting was recommendable for both floor and scatter feed pre-slaughter broilers.

BROILER 사료의 영양수준이 육용계종의 산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Nutritional Level and Breed on Performance of Broiler Production)

  • 오봉국;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23
    • /
    • 1979
  •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Broiler 사료의 영양소균형을 구명하기 위하여 1978년 6월 16일부터 1978년 8월 11일까지 대한양계협회 능력검정사업소에서 실시된 시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존율에서 품종간에는 모두 비슷한 성적이었고, 영양수준별로는 고영양수준에서 95.7%로서 제일 낮았으나 총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2. 8주시 체중에서 가장 무거웠던 B품종은 D품종과 유의적인 차이로 우수하였고 영양수준별로는 중영양처리가 전체적으로 제일 우수하였으며 A, B품종은 중영양 수준에서 다른 품종과 유의적이고 우수하였으며 A품종은 저저영양수준에서 체중감소가 가장 심하였다. 3. 사료효율은 체중이 무거웠던 B품종이 제일 우수하였으나 품종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사료의 영양수준간 사료효율은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고ㆍ중영양 수준은 저ㆍ저영양수준과는 유의차를 보였으며 산육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컸다. 4. 계종과 영양수준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있어서는 영양수준이 높은 조건하에서는 품종의 특성이 발휘되어 계종간 및 능력의 차가 인정되나 저영양수준하에서는 계종간의 증체와 사료효율에 있어서 능력차를 인정하기 곤란하였다. 5. 산육지수에 있어서는 품종간의 유의차가 인정되며 8주시 체중과 사료효율이 우수하였던 B품종이 가장 높았고, C, D 계종과는 유의차가 있었다. 사료의 영양수준간 지수간에도 크게 유의차가 있었으며 중ㆍ고영양수준구는 저영양수준에 비하여 산육능력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서 브로이라 사양에 있어서는 적어도 중열량(M.E. 3,000kcal/kg) 이상의 사료급여가 바람직하다. 6. 도체율에서는 품종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8주령시 체중과 같은 분표로 B 품종이 D 품종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영양수준간에는 거의 동일한 성적을 보였다. 7. 경제성 분석 결과는 중영양수준의 처리가 모든 품종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처리구로 나타났다.m$0.22 percent였으며, W.L.H.는 33.25$\pm$0.36 0.36이었다. (중략)로 질병감염을 막는데 항생제의 사용효과가 점차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계란항체를 이용할 수 있다.한 중공 플랜지 형상의 단조 방법 중 보다 적절한 단조방법인 압조 단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SM10C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제품의 형상비에 따라 폴딩 결함의 발생 유무를 검토하고, 폴딩 결함 없이 단조하기 위한 중공 플랜지의 형상한계 비를 제시하였다.도 경미하게 나타났으나, 경련이 나타난 쥐에서는 KA만을 투여한 흰쥐와 구별되지 않았다. 이상의 APT의 항산화 효과는 KA로 인한 뇌세포 변성 개선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되나, 보다 명확한 APT의 기전을 검색하고 직접 임상에 응응하기 위하여는 보다 다양한 실험 조건이 보완되어야 찰 것으로 생각된다. 항우울약들의 항혈소판작용은 PKC-기질인 41-43 kD와 20 kD의 인산화를 억제함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다. 것으로 사료된다.다.바와 같이 MCl에서 작은 Dv 값을 갖는데, 이것은 CdCl$_{4}$$^{2-}$ 착이온을 형성하거나 ZnCl$_{4}$$^{2-}$ , ZnCl$_{3}$$^{-}$같은 이온과 MgCl$^{+}$, MgCl$_{2}$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떠한 용리액에서던지 NH$_{4}$$^{+}$의 경우 Dv값이 제일 작았다. 바. 본 연구의 목적중의 하나인 인체유해 중금속이온인 Hg(II), Cd(II)등이 NaCl같은 염화물이 함유된 시료용액에 공해이온으로 존재할 경우 흡착에

  • PDF

유기철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과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Iron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in Broiler Chicks)

  • 양철주;우간바야르;나상준;고석영;위화영;정대균;김해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3-100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유기철이 첨가된 사료를 육계에 적용하여 생산성과 계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Ross broiler 168수를 공시하였으며, 시험사료는 NRC(1994)의 육계 영양소 요구량에 맞추어 기초사료를 배합하고, 황산 제1철(FeSO$_4$ㆍ7$H_2O$:FE)을 사용하여 사양표준 권장양인 Fe 80mg/kg을 첨가한 대조구(FE-80), \circled1 대조구에 항생제(CTC 0.05%)를 첨가한 항생제 처리구, \circled2 (FE-80+A), Fe 160mg/kg 처리구, \circled3 (FE-160), Saccharomyces cerevisiae R100 (yeast mutant; YM, 철 함량 200mg/kg)을 대조구의 철 함량 기준으로 80mg/kg 첨가한 처리구, \circled4 (YM-80), Fe 160mg/kg 처리구, \circled5 (YM-160), Saccharomyces cerevisiae 2805-a7 TYFHLAG-1(ferritin containing yeast; YF, 철 함량 500mg/kg)을 대조구의 철 함량 기준으로 80mg/kg 처리구, \circled6 (YF-80) 및 Fe 160mg/kg 처리구, \circled7 (YF-160)로 7처리 4반복으로 반복당 6수씩 총 168수를 임의 배치하여 6주간 사양 시험을 수행한 결과, 처리구별 증체량은 대조구(FE-80)에 비해 YM-160처리구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혈중 cholesterol 함량은 대조구(FE-80)와 비교하여 YM과 YF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혈중 철 함량은 YF-160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YM처리구가 대조구(FE-80)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P<0.05). 도체 cholesterol은 대조구(FE-8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YM과 YF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산패도는 대조구(FE-80)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YM-80 처리구가 가장 낮게 나타나 유의차를 보였다 (P<0.05). 지방산 함량은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대조구에 비해 YM 및 YF 처리구들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처리구들 중에서 YF-80 처리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한편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YM-160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도체의 철(Fe) 함량은 대조구(FE-80)가 가장 낮았으며, YM과 YF 처리구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YM과 YF의 처리구들 중 YF-160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가장 높게 나타났었다(P<0.05). 결론적으로 유기철을 육계사료에 첨가하는 경우,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철분강화 계육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이 분야에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동애등에의 급이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of Chicken Meat in Broiler Chicks by Dietary Supplementation of Black Soldier Fly Larvae, Hermetia illucens (Diptera : Stratmyidae))

  • 최영철;박관호;남성희;장병귀;김지혁;김동욱;유동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0-35
    • /
    • 2013
  • 본 시험은 동애동에의 공급이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 가축으로는 육계 초생추 병아리를 이용하였으며, 3처리 4반복 반복 당 30수씩 총 360수를 공시하였다. 시험설계는 대조구(C), 동애등에 분말 3%(T1), 6%(T2) 첨가구로 배치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와 대두박을 기초로 에너지와 영양소 수준은 NRC(1994) 요구량을 충족시켜 주었으며 육계 전기(3,100 kcal/kg ME, CP 22.0%) 및 육계 후기(3,100 kcal/kg ME, CP 20.0%) 사료로 나누어 공급하였다. 생산성 조사 결과 생존율은 각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시험이 종료되는 5주령 체중 및 증체량에서는 대조구가 가장 무거웠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섭취량은 체중이 가장 무거웠던 대조구에서 사료섭취량이 많았으며 사료요구율도 체중이 무거웠던 대조구가 낮은 사료요구율을 보였다. 부분육 수율은 동애 등에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도체율을 비롯한 부분육 수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가슴수율에서는 동애 등에를 6%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율을 보였다(P<0.05). 동애등에의 첨가에 따른 계육내 지방산 조성에 대한 결과는 대조구와 비교 시 처리구에서 지방산 가운데 축산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는 불포화지방산 중 하나인 올레산(Oleic acid, 18 : 1n-9)과 포화지방산 중 팔미트산(Palmitic acid, 18 : 0)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대체 감초와 용규 혼합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체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 and Solanum nigrum L. Mixture for Alternate the Antibiotics on Productivity and Blood Composition in Broiler Chickens)

  • 조성구;김혜인;이민경;이정주;곽용철;이석천;이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5-222
    • /
    • 2009
  • 항생제 대체제 개발을 위한 용규와 감초 건조분말 복합제를 육계사료에 첨가 급여 하여 생산성과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7일령 이후 육계 숫병아리(Ross)를 3단 케이지에 5처리 3반복, 반복당 10수씩, 총 150수를 공시하여 5주 동안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사료는 무첨가구, 항생제(avilamycin) 첨가구, 항생제 대체 용규 감초 건조 분말 0.5%(0.25+0.25), 1.0%(0.5+0.5%) 및 2.0%(1.0+1.0) 첨가구로 구분하여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도체중은 4주령에서 용규 감초 1.0% 첨가구에서 높았으며(P<0.05), 6주령시에는 용규 감초 1.0% 첨가구에서 약간 높았다. 도체율은 4주령과 6주령에서 처리구간에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간장 중량은 4주령과 6주령에서 용규 감초 0.5% 첨가구에서 무거웠다(P<0.05). 비장중량은 4주령과 6주령에서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4주령과 6주령시 혈중 protein, albumin, glucose, total bilirubin 농도와 GOT 및 GPT, TG,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농도에서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용규 감초 복합 첨가급여는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성상에서 처리간의 차이가 없었음은 항생제 대체 물질로서의 사용가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dietary marigold extract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pigmenta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meat quality in broiler chickens

  • Wang, Shuhao;Zhang, Lin;Li, Jiaolong;Cong, Jiahui;Gao, Feng;Zhou, Guangh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호
    • /
    • pp.71-77
    • /
    • 2017
  • Objectiv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marigold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pigmenta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meat quality in broiler chickens. Methods: A total of 320 one-day-old Arbor Acres chick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with 8 replicates of 8 chickens each. The chickens of control group were fed with basal diet and other experimental groups were fed with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075%, 0.15%, 0.30%, and 0.60% marigold extract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concentrations of lutein were 15, 30, 60, and 120 mg/kg).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marigold extract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yellowness values of shank, beak, skin and muscle and the redness ($a^*$) value of thigh muscle (linear, p<0.01). Marigold extract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and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in liver and thigh muscle (linear, p<0.01)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alondialdehyde contents of liver and thigh muscle (linear, p<0.01). Marigold extract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rip loss and shear force of thigh muscles (linear,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with marigold extract supplementation. Conclusion: In conclusion, dietary supplementation of marigold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yellowness values of carcass, antioxidant capacity and meat quality in broiler chickens.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utolyzed whole yeast and yeast cell wall products on broiler chickens

  • Ahiwe, Emmanuel Uchenna;Abdallh, Medani Eldow;Chang'a, Edwin Peter;Omede, Apeh Akwu;Al-Qahtani, Mohammed;Gausi, Harriet;Graham, Hadden;Iji, Paul Ad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4호
    • /
    • pp.579-587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yeast products on growth performance, visceral organ weights, endogenous enzyme activities, ileal nutrient digestibility and meat yield of broiler chickens fed diets containing autolyzed whole yeast (WY) and yeast cell walls (YCW) at varying levels of inclusion. Methods: Nine dietary treatments consisting of WY or YCW included at 0.5, 1.0, 1.5, or 2.0 g/kg diet and a control diet without yeast supplementation was used in the experiment. Each of the nine treatments was replicated six times with nine birds per replicate. Birds were housed in cages, in climate-controlled rooms and fed starter, grower and finisher diets. Results: There was an improvement (p<0.05) in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on d 10, 24, and 35 for birds fed 1.0 to 2.0 g/kg WY or YCW diet. Small intestine weight was heavier on d 10 and 24 for birds on higher levels of WY and YCW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n d 10 and 24,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p<0.05) in tissue protein content and pancreatic enzyme activities (trypsin and chymotrypsin) of birds on 1.5 to 2.0 g/kg WY and YCW die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irds on WY (2.0 g/kg diet) and YCW (at 1.5 and 2.0 g/kg diet) had better (p<0.05) protein digestibility on d 24. On d 35,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p<0.05) in percentage of carcass, absolute and relative breast weight for broiler chickens fed WY and YCW mostly at 2 g/kg diet compared to birds on the control diet.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diets with autolyzed WY and YCW products especially at 1.5 to 2.0 g/kg diet improved broiler chicken performance and meat yield through their positive effects on ileal protein digestibility and pancreatic enzyme activities.

페룰산의 사료 내 첨가가 육계 생산성, 도체 특성, 혈중 성분 및 장내 균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ulic Acid-Based Preparation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Blood Profiles,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Broiler Chicks)

  • 김용란;이상우;김은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5-51
    • /
    • 2022
  • 본 연구에서 페룰산이 함유된 미강추출물의 첨가가 육계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당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을 개선시켰다. 일당 증체량은 육계 전기(1~21일령), 육계 후기(22~30일령), 전체 사육기간(1~30일령) 모든 사육기간에서 RBEX을 첨가한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사료요구율에서도 모든 사육기간에서 페룰산을 첨가한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P<0.05), 혈중 성분 중 총 콜레스테롤과 혈중 글로블린 수치에 유의차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P<0.05), 장내균총 중 페룰산을 처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산생성균의 균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P<0.05), coliforms에서는 대조구에 비해서 페룰산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페룰산이 함유된 미강 추출물의 첨가는 육계의 성장촉진 등 생산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 항생제 대체제로의 이용가능성이 시사되었으며, 체내 대사생리 및 근육내 물리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 없이 가식성 근육 내 지질산화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보존성을 개선한 기능성 양계산물의 생산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삼계용 신품종 토종닭의 육질특성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Meat Quality Traits of New Strains of Native Chickens for Samgyetang)

  • 이성윤;박지영;현정민;정사무엘;조철훈;남기창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75-182
    • /
    • 2018
  • 기존의 삼계용 토종닭 품종과 GSP 육종을 통해 개발 중인 신품종 토종닭 후보라인의 도체 및 육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동일 조건에서 사육한 5주령의 한협3호(H), 백세미(W), 토종닭 후보라인 3계통(A, C, D)으로 구성된 250수를 도축하여 도체형질을 측정하고, 가슴육을 이용하여 육질성분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도체중은 W가 875.10 g으로 가장 높았고, 후보라인A 가 537.54 g으로 가장 낮았다(P<0.05). W는 브로일러의 특성인 가슴살의 비율이 높고, 가슴살의 지방함량도 높았다. 후보라인 3계통은 H와W 보다 linoleic acid(C18:2)의 함량이 높았다. 특히 후보라인 중 A와 D는 토종닭에서 특징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arachidonic acid(C20:4) 함량이 C에 비해 높았다. 전반적인 지방산 조성에서 후보라인 A와 D는 대조구 H 와 유사하였으며, 후보라인 C는 W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 흥미로웠다. 백세미(W)보다는 시중 토종닭(H)과 유사한 지방산 조성을 보인 후보라인 A와 D의 관능평가 점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삼계용 토종닭과 백세미를 대체하는 새로운 품질특성을 지닌 삼계용 토종닭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침지냉각 조건에 따른 닭 도체의 수분 흡수 및 감량 비교 (Comparison of Water Retention and Loss of Chicken Carcasses by Different Water Chilling Condition)

  • 이재청;김병기;전진안;임찬혁;김효선;이경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59-164
    • /
    • 2014
  • 본 실험은 닭고기 가공 공장별로 침지냉각에 따른 닭 도체의 수분 흡수율 및 감소율 그리고 신선도를 측정 비교하여 품질의 균일화 제고를 위하여 실시하였다. A도계장과 B도계장 닭고기 가공 공장에서 1회 각 40수씩 3회에 걸쳐 총 240수에 대하여 수분 흡수율 및 신선도를 측정하였으며, 수분 흡수율 실험이 완료된 도체에 대하여 개체 포장, 운송하여 실험실 냉장고($4{\pm}1^{\circ}C$)에 입고 후, 저장일별 수분 감소율 및 신선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수분 흡수율은 A도계장 4.8%, B도계장 4.2%로서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B도계장 실험 도체의 신선도가 냉각 전후 모두, A도계장 실험 도체보다 신선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저장일별 수분 감소율은 A도계장 실험 도체와 B도계장 실험 도체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일별 신선도는 A도계장 실험 도체가 B도계장 실험 도체에 비해 낮게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수분 흡수율은 chiller의 길이나 침지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수분 감소율은 침지 시간, 수온 및 심부 온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