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3초

한라산 소나무림의 분포와 변화 (A Change and Distribution in Pinus densiflora Forest of Mt. Hallasan)

  • 송국만;김찬수;문명옥;김문홍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1-47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their chang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by climate change in Mt. Hallasa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reas of P. densiflora forests of Mt. Hallasan varied by region, with a total area of 1,324.3 ha, concentrated mostly in the region 1,000 m - 1,400 m above sea level. The temperate coniferous forest zone are distributed in the upper part of temperate forest zone composed of deciduous broad-leaved trees. Most of the P. densiflora forests in the lower parts were found not to be spreading because they are located close to the deciduous broad-leaved trees. However, the P. densiflora forests in the Sajebi and Pyeonggwe regions composed of the grasslands and shrub forests were found to be spreading. In addition, the altitude of the P. densiflora forests distribution increased by about 50 m and 90 m in the Sajebi and Pyeonggwe regions, respectively. The spread rate is expected to become faster than in the past due to the rate of climate change. The structure of the vegetation in Mt. Hallasan and the changes in the vegetation due to various factors need to be investigated from a long-term point of view.

모악산 도립공원의 양서류 다양성 및 서식환경 분석 (The Analysis of Amphibia Biodiversity and Habitat in the Moak Provincial Park)

  • 정규회;심재한;송재영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278-281
    • /
    • 2001
  • 모악산 도립공원의 양서 ${\cdot}$ 파충류에 대한 생태측정 및 서식환경 분석을 하였다. 이 중 서식환경은 활엽수림, 침엽수림, 식재림, 그리고 기타지역(웅덩이, 호수, 논, 하천 및 강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양서류는 총 1목 4과 8종이 관찰 및 채집되었다. 양서류의 생물다양성 지수 조사는 종 풍부도가 1.270, 다양도는 1.77, 그리고 균등도가 0.853으로 나타났으며 서식환경을 살펴보면, 활엽수에서 42.1.%rk 관찰되었으며, 침엽수에서 11.3% 식재림에서 1.6%, 그리고 기타지역에서 45.0%가 관찰되었다.

  • PDF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니터링(I) (Monitoring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I))

  • 오구균;김보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79-289
    • /
    • 1998
  •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 변화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완도수목원에 20개의 고정시험구를 1996년에 설치했다. 20개의 고정시험구는 10개의 시험구와 대조구로 구분했으며, 시험구는 적정밀도로 택벌한 후 상록활엽수를 식재했다. 시험처리전 20개 고정시험구의 식생구조는 붉가시나무, 붉가시나무와 개서어나무, 소나무 등이 우점하였고, 소나무군락과 낙엽활엽수군락에서 붉가시나무군락으로 천이되는 식생구조를 나타냈다. 시험처리시험구는 붉가시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는 식생구조로 바뀌었고, 관목층과 지피층의 출현종수, 개체수, 피도 등이 증가하였다.

  • PDF

진도군 접도의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in the Jeopdo(Island), Jindo-gun)

  • 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7-41
    • /
    • 2020
  • 본 연구는 식물학적 가치가 높으나 식물과 관련된 연구가 전무한 접도를 대상으로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구축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크기의 조사구 5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분석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곰솔-소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소사나무-굴참나무군락, 소사나무-상수리나무군락, 굴참나무-소사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육박나무-동백나무군락 총 7개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접도의 식생은 크게 상록침엽수군락(군락 I, II), 소사나무-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군락 III, IV, V), 상록활엽수군락(군락 VI, VII)로 구분할 수 있다. 상록침엽수군락은 현재 소나무, 곰솔이 졸참나무와 경쟁 상태에 있으며, 천이 중간단계 및 극상단계의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의 세력이 미비하여 현재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소사나무-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은 토양조건의 영향으로 식생발달 속도가 늦어 현재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며, 상록활엽수군락은 소나무, 곰솔 등의 천이 초기단계에서 졸참나무를 거쳐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다. 표본목의 연령은 대체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수목은 구실잣밤나무로 예측연령이 약 59년이었다. 주요 수종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곰솔과 사스레피나무, 소나무와 쇠물푸레나무, 육박나무와 동백나무 등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소나무와 소사나무, 소사나무와 사스레피나무가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덕유산 국립공원 적상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Community Distribution 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the Choksangsan Area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 최영은;김창환;오장근
    • 생태와환경
    • /
    • 제46권3호
    • /
    • pp.460-470
    • /
    • 2013
  • 덕유산 국립공원내 적상산 일대의 산지삼림식생은 전체 111개 군락이 조사되었으며, 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 습성림, 침엽수림, 식재림, 기타식생으로 암벽식생, 농경지 등이 조사되었다. 상관대분류에 의하여 구분된 각각의 산지삼림식생을 보면 산지낙엽활엽수림은 36개 군락으로서 대부분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군락 및 이들 종과 혼생림을 이루고 있다. 26개 군락의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들메나무-층층나무군락, 층층나무-들메나무군락이 65.50% 차지하고 있어 적상산 일대 산지 계곡은 대부분이 들메나무와 층층나무에 의하여 강하게 우점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0개 군락의 침엽수림은 소나무군락이 63.27%로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의 14.81%, 12.23% 보다 분포 면적 비율이 높아 적상산 일대 침엽수림은 대부분이 소나무군락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나무군락을 제외한 소나무-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굴참나무군락의 침엽수림대 혼효림은 천이가 진행되면 신갈나무군락으로 군락 대체가 예상되어 이 지역 일대 침엽수림의 분포 면적은 감소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적상산 일대의 식재림은 31개 군락이 조사되었으며 적상산 사면 저지대의 마을, 경작지, 도로와 연접된 부분에 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나무 등이 비교적 넓은 면적에 조림되어 있어 천이의 진행과 함께 참나무속 수종으로 매우 빠르게 군락이 대체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적상산 일대의 산림식생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들메나무, 층층나무와 이들 종들과 혼생군락을 이루고 있는 군락들이 주요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천이 및 기후적 요인들에 의하여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와 층층나무군락으로 천이가 진행 될 것으로 보인다.

Stand Structure and Regeneration Pattern of Kalopanax septemlobus at the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Mt. Jeombong, Korea

  • Kang, Ho-Sang;Lee, Don-Ko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1호
    • /
    • pp.17-22
    • /
    • 2006
  • Since the demands not only for value-added timber but the environmental functions of forests had been increased, native tree species has been, and is rapidly being replaced by foreign tree species in many parts of the world. However, the studies on population structure and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native tree species were not conducted enough. Regeneration of Kalopanax septemlobus growing among other hardwoods in natural forests is very difficult because of its low seed viability and germination rate. The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mature trees of K. septemlobus and their regeneration pattern at the 1.12 ha study plot in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of Mt. Jeombong. The density and mean DBH of K. septemlobus was 97 trees per ha and 32 cm, respectivel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K. septemlobus showed a random pattern (aggregation index is 0.935) in the 1.12 ha study plot. The age of 90 trees among 99 sample trees of K. septemlobus ranged from 90 to 110 years and represented a single cohort, thus suggesting that K. septemlobus in advance regeneration has regenerated as a result of disturbances such as canopy opening.

북해도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고찰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Hokkaido Vegetation, Japan)

  • Kim, J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2호
    • /
    • pp.109-122
    • /
    • 1989
  • The vegetation and landscape of Hokkaido were phytosociologically referred. The region of F a g e t e a c r e n a t a e on Hokkaido is divided into two types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the oak (Quercus mongolica var. grosseserrata) forests mixed with conifers (mainly Abies sachalinensis) and the beech (Fagus crenata) forests of northernmost distribution in far-east Asia. The oak forests, which is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var. grosseserrata in Japanse islands, seem to be developed from different climatic and edaphic conditions, especially in the amount and sharing pattern of precipitation in a year, and weak acid brown forest soil, volcanic ash soil and sandy soil. On the all-inclusive phytogeographical view-point, Hokkaido is situated at northernmost region of F a g e t e a c r e n a t a e (cool-temperate zone)neighboring with subarctic and subalpine vegetation, vegetation, but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 a m e l l i e t e a j a p o n i c a e, warm-temperate zone) is abscent.

  • PDF

진도 첨찰산의 식생에 관하여 (On Vegetation of Mt. Cheomchal in Jindo Island)

  • Chang, Seok-Mo;Han-Sung Chang;Jong-Hong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1권3호
    • /
    • pp.153-173
    • /
    • 1988
  • The structure of vegetation of Mt. Cheomchal, Jindo-gun, Chollanamdo were surveyed from 1985 to 1987. The vascular plants was listed 785 taxa classified into 680 speciesm 1 subspecies, 95 varieties, 9 forma, 484 genera, 139 families, and 42 orders. The floral data show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value 1.71 in Pte-Q and N-$D_1-R_5-$e in biological type. Vegetation of Mt. Cheomchal is classified into 8 communities: Quercus salicina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Camellia japonica community a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community, Carpinus coreana community and Carpinus tschonoskii-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s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s pine forest.

  • PDF

일본 서부 낙엽활엽수림의 차단 강수가 토양호흡에 미치는 영향 평가 (Experimental Estimation of the Effect of Rainfall Interception on Soil Respiration in a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in Western Japan)

  • 타마이 코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47-251
    • /
    • 2009
  • 강우가 토양 호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일본 서부에 위치한 활엽수림에서 2001년 2월 20일부터 11월 19일까지 강우를 차단한 상태에서 토양 $CO_2$ 플럭스를 측정하였다. 강우가 차단된 관측지의 토양 호흡($F_c$)의 일변화는 0.2m 깊이의 토양 온도의 일변화와 매우 비슷하였으며, 자정에 최고값을 보이고 정오에서 이른 오후 사이에 최저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뚜렷한 일변화 패턴은 같은 관측지에서 강우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관측된 선행연구의 결과(뚜렷한 일변화의 부재)와 대조되었다. 또한, 자연상태의 가능토양호흡(potential soil respiration, $F_{cal}$)의 크기와 비교할 때, 강우가 차단된 관측지의 토양호흡은 매우 큰 차이(예를 들면, 토양수분이이 부족할 때 약 50% 감소)를 보였다. 이 연구결과는 강우가 토양 $CO_2$ 플럭스의 크기뿐만이 아니라 토양온도의 연직 프로파일을 바꿈으로써 토양호흡의 일변화 양상에도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