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 bean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8초

시금치 바이러스병에 관한 연구 II. 시금치에 발생하는 Broad Bean Wilt Virus (BBWV)의 분류동정 (Investigations on the Virus Diseases in Spinach (Spinacia oleracea L.) II. Identification of Broad Bean Wilt Virus Occuring Spinach)

  • 이순형;이기운;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14
    • /
    • 1979
  • 짙은 연색의 모자익병징을 나타내는 이병 시금치를 채집하여 Broad bean wilt virus(BBWV)를 분리동정 하였다. 분리된 Broad bean wilt virus (BBWV)를 지표식물에 즙액접종한 결과, 명아주(Chenopodium amaranticolor), 명아주(Chenopodium quinoa) ,잠두(Vicia faba)에서는 접종엽에 국부병반이 나타났고 접종상엽에서는 모자익(전신감염)병징이 나타났으며 꽈리(Physalis floridana), 시금치, 담배 (W.B), 담배 (Nicotiana glutinosa)에는 모자익 병징이 나타났다. 이병시금치로부터 분리한 병원바이러스와 BBWV의 항혈청을 한천내확산법(Agar gel-diffusion test)으로 반응시킨 결과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 이병엽을 Dip법으로 시료를 제작하여 전자현미경에서 검경한 결과 구형의 입자가 관찰되었으며 직경은 25nm이었다. 시금치 재배포장에서 BBWV의 발생분포는 수원, 안양, 대구 진주 등 거의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 PDF

Phytophthora Rot of Broad Bean(Vicia faba) Caused by Phytophthora nicotianae in Korea

  • Kwon, Jin-Hyeuk;Jee, Hyeong-Jin;Shen, Shun-Shan;Chae, Yun-Se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31-33
    • /
    • 2007
  • Phytophthora rot on broad bean(Vicia faba) occurred in the experimental field at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from 2004 to 2006. The fungus isolated from the diseased plants grew well on potato dextrose agar and showed an arachnoid or rosaceous colony pattern. Sporangia were conspicuously papillated, noncaducous, ovoid to globose, and $25-64{\times}18-44{\mu}m$ in size. Oogonia and oospores were spherical and measured as 20-32 ${\mu}m$ and 16-28 ${\mu}m$ in size, respectively. Oospores were relatively small and aplerotic. Antheridia were amphigynous, spherical, and unicellula. Chlamydospores were globose and 18-40 ${\mu}m$ in size. Optimum temperature for growth was about $28^{\circ}C$ on potato dextrose agar. The disease occurred in all parts of the plant including roots, stems, leaves and pods in the field. The symptoms similar to those of naturally infected plants were induced by artificial inoculation and the pathogen was re-isolated from the plant. On the basis of mycolog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ausal pathogen of broad bean rot was identified as Phytophthora nicotiana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hytophthora rot of broad bean caused by P. nicotianae in Korea.

Uromyces viciae-fabae에 의한 잠두 녹병 (Rust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Uromyces viciae-fabae)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8권3호
    • /
    • pp.162-165
    • /
    • 2002
  • 2002년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잠두 재배포장에서 잎, 줄기, 꼬투리에 녹병이 심하게 발생하고, 조사포장의 발병율은 84.3%이였다 초기병징은 잎에 약간 흰색띠를 두른 작은 반점 모양을 띠며 갈색으로 변하고 주위가 약간 솟아 오르고, 황갈색의 가루가 무수히 많이 형성한다. 심하게 발생하면 조기낙엽이 된다. 하포자는 구형 또는 난형이고 담갈색이며, 크기는 24~38$\times$21~26 $\mu\textrm{m}$이다. 동포 자는 구형 또는 난형이며 암갈색을 띠고, 크기는 22~42$\times$17~27 $\mu\textrm{m}$ 이다. 자루의 색깔은 황갈색 또는 진한 주황색이며, 길이는 52~l16 fm이다. 병원성도 강하였다.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병을 Uromyces viciae-fabae에 의한 잠두 녹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Alternaria tenuissima에 의한 잠두 점무늬병 (Leaf Spot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Alternaria tenuissima)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8권2호
    • /
    • pp.117-119
    • /
    • 2002
  • 2002년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잠두 재배포장에서 잎, 줄기, 꼬투리에 점무늬병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에 작은 둥근 점무늬가 나타나고 동심윤문을 형성하며 담갈색의 원형병반이 확대되면서 부정형으로 되고 괴사되면서 심할 경우 낙엽된다. 분생포자는 단생 또는 연쇄상으로 형성되며 모양은 긴타원형, 가늘고 긴 난형 또는 곤봉형으로 횡격막이 4~10개, 종격막이 1~2개가 있다. 색깔은 담황록색 또는 갈색이다. 크기는 25~61.3$\times$7.2~16.8$\mu\textrm{m}$ 이었다. 분생자병은 단생 또는 총생이며 담갈색이고, 크기는 18~113$\times$3~6 $\mu\textrm{m}$이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이었다. 잠두 잎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Alternaria tenuissima에 의한 잠두 점무늬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Oidium sp.에 의한 잠두 흰가루병 발생 (Powdery Mildew on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Oidium sp. in Korea)

  • 권진혁;강수웅;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7권2호
    • /
    • pp.120-122
    • /
    • 2001
  • 2001년 5월 하순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잠두 재배포장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여 병징과 병원균의 형태등을 조사하였다. 병징은 이병및 앞 뒷면과 잎자루에 전형적인 흰가루 모양의 균총이 많이 형성되었고, 잎이 황화되고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되며 결국 말라죽는다. 분생포자는 분생자병의 끝에 형성되고 단상으로 원통형의 무색, 단포이다. 크기는 29~45$\times$13~23 um(평균. 36~18 um)이며, Fibrosin body는 없었다 분생자병은 3~4개의 격막으로 되어있고, 크기는 28~100$\times$6~l0 um(평균. 70~8 um)이었으며, Foot cell의 크기는 28~53$\times$7~10 um(평균. 39$\times$8 um)이었다. 부착기는 가느다란 실모양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Oidium sp.에 의한 잠두 횐가루병으로 동정되었기에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새로운 병으로 보고한다.

  • PDF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잠두 균핵병 (Sclerotinia Rot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권진혁;배영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5-118
    • /
    • 2007
  •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 동안 경남농업기술원 잠두재배포장에서 지제부위의 줄기와 꼬투리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그 부위에 흰색 곰팡이와 균핵이 생기고 시들어 죽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감자한천배지 상에서 균총은 흰색에서 연한 회색을 띄었다. 균핵은 구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하며 검은색이었다. 자낭반은 컵모양이며 크기는 $5{\sim}10\;mm$이었으며 자낭은 원통형이고 크기는 $90{\sim}180{\times}12\;{\mu}m$이었다. 자낭포자는 타원형이며 무색으로 크기는 $8{\sim}12{\times}4{\sim}6\;{\mu}m$이었다. 균사생육 최적온도는 $25^{\circ}C$,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이었다. 이상과 같이 잠두에 발생한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 검정 결과를 토대로 병원균을 Sclerotinia sclerotiorum (Lib.) do Bary으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잠두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잠두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Botrytis cinerea)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21-24
    • /
    • 2003
  • 2002년 5월 경남 남해군 창선면 잠두재배 농가 포장에서 B. cinerea에 의한 잠두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에 발생하여 병든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썩으며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기고 심할 경우 말라죽었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6~22$\times$4~16 $\mu\textrm{m}$였다. 분생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아주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15-37 $\mu\textrm{m}$였다. 감자한천배지(PDA) 에서 균사생육 적온은 2$0^{\circ}C$였으며, 균핵형성도 2$0^{\circ}C$에서 가장 많았다. 병원균은 Botrytis cinerea로 동정하였으며 잠두 잿빛곰팡이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잠두 흰비단병 발생 (Collar Rot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김태성;강수웅;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1-133
    • /
    • 2001
  • 2001년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잠두 재배포장에서 줄기가 부패하고 주위에 흰곰팡이가 발생하는 병이 관찰되었다. 이 병의 병징은 지제부가 암갈색으로 변하고 그 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밀생하고, 병반 부위에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며 지제부 부근의 토양 표면에도 형성되었다. 병원균은 PDA 배지 상에서 $30^{\circ}C$에서 가장 잘 자랐으며 균사생장 중에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PDA 배지에서 갈색 또는 암갈색을 띤 구형 또는 부정형의 많은 균핵을 형성하였으며, 균핵의 크기는 $1.0{\sim}3.7{\times}1.0{\sim}2.8\;mm$(평균 $1.0{\sim}2.3\;mm$)였다. 병원균의 특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잠두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 PDF

잠두 위조 바이러스와 세포 미세구조 (Broad Bean Wilt Fabaviruses and Their Specific Ultrastructures)

  • 최홍수;조점덕;이금희;김정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3호
    • /
    • pp.215-222
    • /
    • 2001
  • 잠두위조바이러스(broad bean wilt virus) 5종의 분리주에 대하여 명아주 등 29종의 지표식물반응에 의한 병원성을 분류하였다. 이들 분리주에 감염된 세포에서 3종류의 서로 다른 특이한 미세구조가 관찰되었다. 첫번째 구조는 바이러스입자로 된 $1\sim2$층의 원형관(tube)이고, 둘째는 6각형의 벌집구조(comb)로서 이것은 외부모양이 원형 또는 각으로 된 구조로 구분되었으며, 셋째는 세포원형질 내에 존재하는 다량의 막구조(membrane proliferation)이었다.

  • PDF

용담(Gentiana spp.)에서 분리한 3종의 바이러스 (Three Viruses Isolated form Gentiana spp. in Korea)

  • 노성환;장무웅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25-432
    • /
    • 1998
  • Gentian plants (Gentiana spp.) showing yellow ringspot, mosaic, necrotic fleck and malformation were collected from their growing areas in Taegu, Kyungpook province and Alpine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Korea. Three viruses isolated from the naturally infected gentian were identified as broad bean wilt virus (BBWV), cucumber mosaic virus (CMV) and clover yellow vein virus identified as broad bean wilt virus (CIYVV) by their host range, immunosorbent electron microscopy (ISEM) and electron microscopy.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of negatively stained preparations showed that BBWV and CMV are spherical particles of 28 nm and 30 nm in diameter, and CIYVV is filamentous particles of ca. 780 nm in length. By ISEM, BBWV was detected mainly in gentian showing yellow ringspot and mottle, CIYVV in necrotic fleck leaf of gentian and CMV in narrow and distorted mosaic leaf of gentian. BBWV and CMV are the most prevalent in the cultivated gentian. In ultrathin sections of BBWV infected tissues, large aggregates of crystalline array of virus particles and vesicular body were found in the cytoplasm and vacuole of mesophyll cells. In case of CIYVV, pinwheel- and laminated aggregate-type inclusions as well as filamentous virus particles were observed in the cytoplasm of mesophyll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