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iquett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초

A Study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Solid Wastes

  • Kim, Young-Sik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5-41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generation rates, composition, proportion and calorific values each of material in the municipal solid wastes as well as the effect of incineration residual leachate on the environment in Yangsan sanitary landfill si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annual average generation rate of municipal solid wastes in Yang-san is approximately 2.0 kg/cㆍd. The weight percent of combustible matters is on average 78∼87% and the lower heating values of municipal solid wastes is measured to be more than 2,151 kcal/kg after removing the briquette component. The food waste was major source of solid wastes in Yang-san city as 35% and its variation by seasons was negligible. Combustible part was larger than incombustible part of the domestic solid wastes in spring and summer. It is recommended that municipal solid wastes be treated by multiple methods such as the sanitary landfill, resources and recovery, composting and incineration.

A Study on Indoor and Personal Exposures Concentrations to Carbon Monoxide in the Asan Area

  • Son, Bu-Soon
    • 환경위생공학
    • /
    • 제15권4호
    • /
    • pp.1-3
    • /
    • 2000
  • Indoor carbon monoxide (CO) concentration and personal CO exposures were measured Asan where CO poisoning from twenty coal usage briquette as a domestic fuel to cook and space heating. Twenty-five were houses selected from the Asan area for the survey conducted in February 1997. Newly developed passive CO samplers were placed in the kitchen and living room for the indoor concentration measurement and were worn by homemakers for personal exposure monitoring. The daily average of indoor CO concentration was 16ppm in the kitchen and 10ppm in the living room. The indoor concentration and personal exposures to CO were different in types of the space heating system. House ventilating methods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were also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indoor and personal CO level in Asan.

  • PDF

一酸化炭素의 家庭內 濃度 및 主婦의 個人曝露濃度에 關한 調査硏究 (Indoor and Personal Exposure to Carbon Monoxide in Homes)

  • 김윤신;손부순;유행행웅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7-102
    • /
    • 1990
  • A pilot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indoor and personal exposure to carbon monoxide (CO) levels using personal monitors from January to February in 1989. The principal objectives of the study was to design and evaluate the research protocol and the instrumentation performance for application to the conduct of a large-scale personal monitoring program. The mean CO concentrations in kitchen and in bedroom were 23.4 and 11.9 ppm, respectively, while mean concentration of personal CO exposure was 18.9 ppm. It was found that the mean CO concentrations in kitchen exceeded 20 ppm of the Korea ambient CO standard(8-hr average) not to be exceeded more than three times per year. The results suggest that indoor CO levels in Korean houses appear to be affected by use of coal briquette for heating any cooking.

  • PDF

An Improved Composite Estimator for Cut-off Sampling

  • Hwang, Hee-Jin;Shin, Key-Il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0권5호
    • /
    • pp.367-376
    • /
    • 2013
  • Cut-off sampling is widely used for a highly skewed population like a business survey by discarding a part of the population (the take-nothing stratum).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composite estimator of the take-nothing stratum total obtained by use of the survey results of the take-nothing stratum and a take-some sub-stratum (a part of take-some stratum) for a more accurate estimate of the population total. Small simulation studies are conducted to compare the performances of known estimators and the new composite estimator suggested in this study. In addition, we use briquette consumption survey data for real data analysis.

폐기물 성상분석과 매립장 침출수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nent Analysis of Municipal Solid Wastes and the Effect of Landfill Leachate on the Evironment)

  • 윤오섭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8-62
    • /
    • 199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ration rates, composition, propertion and lower heating values of each material in the municipal solid wastes(MSW) as well as the effect of landfill leachate on the environment in Taej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nnual average generation rate of MSW in Taejon is approximately 1.7kg/c.d. 2. The weight percent of combustible matters is on average 80 and the lower heating value of MSW is measured to be more than 1,700 kcal/kg after removing the briquette component. 3. It is necessary for us to take a proper management system for leachate treatment in the landfill because it has many problems in the sewage and groundwater. 4. It is recommeded that MSW be treated by multiple methods such as the sanitary landfill, resources and recovery, composting and incineration.

  • PDF

자기 환원성 $Nb_2O_5$ 브리켓의 반응특성 연구 (Study on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Self-reducing $Nb_2O_5$ Briquettes)

  • 김민석;유병돈;위창현;윤덕재;최석우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3-336
    • /
    • 2005
  • The reduction behavior of $Nb_2O_5$ in aluminum containing self-reducing briquettes(SRNB) was investigated. The time required for slag/metal equilibrium was estimated as about 20 minutes from the addition of SRNB on to the surface of molten steel. The maximum yield of Nb was expected with the slag composition of $60\%CaO-40\%Al_2O_3$. When $CaCO_3$ was used as a flux, the oxidation loss of Al by $CO_2$ should be compensated, and the chemical equivalent ratio of Al to $Nb_2O_5$ of about 1.43 was required to maximize the yield of Nb.

  • PDF

온돌의 연탄개스유량에 관한 연구(1) (함습저온열기류의 굴뚝통풍력) (Study on the Flow of Briquette Gas in the Ondol Heating System (Chimney Draft of Low Temperature Moist Air))

  • 민만기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4권2호
    • /
    • pp.119-128
    • /
    • 1975
  • Natural draft and flow which low temperature moist gas produces in the chimney of an Ondol heating system were numerically analysed. Among several factors involved inlet gas temperature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chimney performance and then next specific humidity of the gas.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himney wall, however, has little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such a low temperature chimney. Under given flow conditions there exists an optimum chimney height which gives a maximum flow rate for a given chimney diameter. This optimum value of chimney height inereases with increase in chimney diameter, inlet gas temperature and specific humidity.

  • PDF

착화탄 연소에 의한 일산화탄소 중독사에서 자살입증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verifying a suicide by carbon monoxide intoxication committed by burning an ignition charcoal briquette)

  • 성태명;조주익;안필상
    • 분석과학
    • /
    • 제28권6호
    • /
    • pp.398-408
    • /
    • 2015
  • 번개탄과 같은 착화탄을 이용한 일산화탄소 중독사는 국내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자살과 관련되지만 타살의 가능성을 절대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때문에 변사자와 사건 현장을 법과학적으로 철저하게 조사하여 변사자가 자살을 실행했다는 것을 입증해야 하며, 착화탄을 사용하여 자살을 했을 경우 착화탄이 접촉될 수 있는 손, 콧속 및 문고리 등에서 착화탄성분을 확인하는 것이 사건현장과 변사자와의 관련성을 입증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착화탄성분은 외관 및 화학적 조성을 토대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판별분석을 통하여 검출된 착화탄성분이 검정색으로 관찰되는 목편과는 뚜렷하게 구별됨을 확인하였다. 자살을 입증한 사례에서 착화탄성분 분석을 위하여 실체현미경 및 주사형 전자현미경에너지분산형 X-선분석기(SEM-EDX)를 사용하였고, 일부 탄화된 수지상물질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현미경-적외선분광광도계(microscope-FT/IR) 및 열분해-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Py-GC/MS)를 사용하였다. 또한 수면제 약물인 디펜히드라민을 위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GC/MS)를 사용하였고, 혈중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CO-Hb) 농도 확인을 위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프(GC/TCD)를 사용하였다. 착화탄성분을 외관형상 및 화학적 성분을 토대로 손바닥 및 손잡이 등에서 확인하였으며, 특히 변사자의 콧구멍에서 착화탄성분을 검출함으로써 변사자가 자살을 위해 직접 불을 피웠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탄화된 검정색물질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로 포장용 비닐가방에 널리 사용되는 재질로 착화탄을 운반할 때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수면제 성분으로 디펜히드라민이 2.3 mg/L 검출되었으나 사망사건에서 검출된 농도 8-31 mg/L (평균 16 mg/L) 보다 훨씬 낮은 농도로 단지 수면을 유도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79%의 혈중 CO-Hb의 검출은 일산화탄소 중독이 사망원인이었음을 나타내었다. 위에서 언급된 절차들은 밀폐된 방 또는 차량 안에서 착화탄을 피워 사망한 일산화탄소 중독사에서 자살인지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훌륭한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의료용 우물형 섬광계수기를 이용한 환경 방사선 측정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Radiation Using Medical Scintillation Detector in Well Counter System)

  • 유광열;박연준;김민정;함은혜;윤지열;김현진;민정환;박훈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4호
    • /
    • pp.337-345
    • /
    • 2015
  • 2011년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민의 방사선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그에 따른 방사선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 또한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는 물질의 방사선 및 환경방사선을 측정하여 그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국민의 방사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더불어 방사선 피폭에 대한 우려를 경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aptus - 3000 갑상샘 섭취율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17가지 시료들을 대상으로 방사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에는 우물형 계수기를 이용하였다. 측정한 시료로는 연탄, 표고버섯, 명태, 전지분유, 알카라인 건전지, 단추형 건전지, 표토, 아스팔트, 휘발유, 솔잎, 현무암, 흑연(석탄), 고추냉이, 천일염, 담배, 맥주, 참치(캔)으로 선정하였고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토양자원, 수자원, 식품, 기타자원으로 분류하였다. 수자원으로 선정한 맥주는 식품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우물형 계수기의 감도측정을 위하여 기준선원으로 선 선원 형태의 137Cs을 이용하였다. 우물형 계수기로 137Cs 선선원의 계수값(cpm)을 측정한 후, 각각의 시료에서 얻은 계수값과 스펙트럼을 분석하였고, 식품의 경우에는 식약처의 방사능 허용기준단위인 Bq/Kg으로 환산하여 그 안전성을 판단하였다. 실험 결과, 측정한 시료들 중 유의할 만한 시료들을 집단 A로 분류하였고, 그 외에 배후 방사능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시료들을 집단 B로 분류하였다. 집단 A의 경우 배후 방사능에 비해 알카라인 건전지가 7.67 %, 단추형 건전지가 4.65 %, 아스팔트가 8.03 %, 표토가 3.76 %, 연탄이 7.46% 높은 값을 보였다. 사용된 시료들 모두에서 측정된 방사능이 생활용품의 일부와, 식품의 경우에는 식약처에서 제시한 방사능 허용기준치 이내에 들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축산분뇨 퇴비화에 이용되는 수분조절제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Bulking Agents Used in Livestock Manure Composting)

  • 김현태;이민호;와카스 카심;이용진;김원중;윤용철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2권6호
    • /
    • pp.81-88
    • /
    • 2018
  • 본 연구는 축산분뇨를 퇴비화 하는 과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수분조절제인 톱밥, 왕겨 등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재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분조절제 6종을 대상으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실험에 사용한 수분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유해성분의 함량은 0.0~34.1ppm으로써 농촌진흥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유해성분의 최대함량인 5.0~900.0ppm보다 상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나 톱밥이나 왕겨 등을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수분조절제 원상태의 함수율은 최소 12.4%에서 최대 16.6%까지 측정되어 적정 함수율인 60%이하 보다는 낮아 수분조절제로서의 기능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흡수율은 최소 31.9%에서 최대 600.0%까지 나타나 수분조절제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지만, 가장 적절한 수분조절제는 우드펠릿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드브리켓만 보면, A사 제품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C사 및 B사 제품 순으로 나타났다. 전단강도는 전단강도를 측정할 수 없었던 재료를 제외한 5가지 종류에서 원상태의 경우, 평균 271.7N정도로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건조 및 흡수상태로서 평균 전단강도가 각각 78.0N 및 27.7N정도로 나타났다. 우드브리켓의 경우, A사 제품이 B, C사 제품보다 상대적으로 전단강도가 현저히 작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전단강도는 흡수율이 작으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소나무 우드칩이나 참나무 절단목의 경우, 흡수상태에서도 전단강도가 다른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돈분과의 교반시 어느 정도의 동력을 견딜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