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ick

검색결과 574건 처리시간 0.033초

용융금속에 의한 Ceramic Oxides에서의 Wetting에 관한 연구 (A Stydy on the Wetting of Ceramic Oxides by Molten Metal)

  • 이석권;임응극;김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9-296
    • /
    • 1983
  • The Wetting of fusion cast $Al_2O_3$ brick and $Al_2O_3 -ZrO_2$ brick by liquid Ag was studied by the sessile drop technique in Ar atmosphere. In this experiment the specimens were photographed per 2$0^{\circ}C$with increasing temperature from 96$0^{\circ}C$ melting point of Ag. And the method of photographing was carried out by shadow technique. The cosine of the contact angle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n both system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cosine of the contact angle and the temperature was Cos$\theta$=1.132+$0.75{\times}10^{-3}T$ for $Al_2O_3$ brick and Cos$\theta$=-1.706+$1.125{\times}10^{-3}T$ for $Al_2O_3 -ZrO_2$ brick In both systems the contact angle decreased as the surface of substrate became smoother. The work of adhesion which was 503.5ergs/$cm^2$ for $Al_2O_3$brick and 393.6 ergs/cm2 for $Al_2O_3 -ZrO_2$ brick at 96$0^{\circ}C$ increased parabolical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n both system.

  • PDF

통일신라의 문화교류 및 전탑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Examination on unified Silla's cultural exchange and brick pagoda formation course)

  • 김상구;이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369-5377
    • /
    • 2014
  • 본 우리나라의 불탑은 목탑, 전탑, 석탑 등 다양하게 조영되었다. 하지만 전래되어 지고 있는 불탑은 전탑, 석탑 등 소실되기 어려운 재질의 불탑 형식만이 있다. 석탑에 비해 전탑의 경우 실측 등 실물에 대한 자료는 어느 정도 진행되어 있으나, 문헌적인 자료 및 축조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전탑의 수가 그리 많지 않은 점, 지역적으로 제한적인 점, 재료적인 한계를 문헌적으로 극복하지 못한 점, 탑의 구성을 시대적, 지역적인 문제로 해석하지 않고 탑의 조영에만 초점을 맞추어 연구한 것 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전탑이 축조된 지역에서의 지역적 문화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전탑형성과정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우리나라와 중국과의 교류는 나타난 유적을 비교해 살펴보면, 실크로드를 통한 교류와 함께 해상경로로의 교류가 있었으며, 이러한 교류는 동아시아지역과도 함께 공유되었다. 그리고 중국과의 교류는 전파를 통한 맹목적인 습득이 아니라 지역적인 세력의 선택적인 교류라 할 수 있었다. 둘째, 우리나라에서 전탑이 조영된 이유로 이제까지의 지역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양질의 흙 뿐 만 아니라 불교적으로 중심세력에 부합하지 않는 의상의 화엄종의 교섭 및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인 불교의 대중화, 지방세력의 거점화 등이 지방세력과의 밀접한 관계가 전탑 조영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탑의 조영은 발해와 신라와의 교섭관계 및 지역적, 민족적 영향력이 작용하고 중국에서 넘어온 문화에 대한 선택적인 소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 점은 전탑이 중국에서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적인 전파 및 중국의 소국으로서의 발생이 아니라 하나의 민족국가의 형성에서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탄재(煉炭滓)의 미연탄소(未燃炭素) 함량(含量)에 따른 소성(燒成) 에코벽돌 특성(特性) (Properties of the Sintered Eco-brick according to the Unburned Carbon Content of the Coal Briquette Ash)

  • 박홍규;유승우;정문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9권3호
    • /
    • pp.16-23
    • /
    • 2010
  • 최근 고유가 시대로 접어들면서 연탄의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어 이때 발생되는 연탄재의 친환경적인 순화자원화 기술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연탄재에는 가연성분인 미연탄소와 고온열적특성이 우수한 뮬라이트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소성 에코벽돌의 원료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연탄재에 함유되어 있는 미연탄소가 소성 에코벽돌의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하는데 있었다. 미연탄소 함량 10.5 wt%인 연탄재 50 wt%와 폐유리 50 wt%의 배합비율로 제조한 에코벽돌을 $950^{\circ}C$로 소성한 시험체의 압축강도는 소성 점토벽돌 국내규격(KS L 4201)의 1종 규격에 해당하였다. 특히, 미연탄소 함량이 1.0 wt%인 연탄재의 배합비율을 70 wt%까지 증가시켜 제조한 소성 에코벽돌 시험체의 압축강도는 소성 점토벽돌 1종 규격에 해당하였다.

레고유형의 3D 브릭 시스템을 활용한 가상 디오라마 구현 (Implementation of Virtual Diorama Using LEGO-Type 3D Brick System)

  • 권효정;조현신;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344-1353
    • /
    • 2006
  • 디지털과 디자인의 접목이라는 사회적 가치에 부합하는 제품의 측면에서, 최근 사용자층의 차장과 디자인 혁신을 꾀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디지털기술과의 융화를 시도하고 있는 브릭 완구에 대한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브릭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아날로그 측면의 놀이와 교육 도구로서의 역할에 치중함으로써 실제로 그 가치 이외의 무한한 가능성과 멀티미디어 측면에서의 확장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점차 사용성이 확대되고 있는 브릭 시스템 완구가 어떤 방식으로 진화되었는가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출발하여 브릭에 관한 기본적 이론 연구와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변화된 현황을 살펴보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토대로 최종적으로는 확장된 형식의 대표적 브릭 시스템 사례를 적용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디지털 브릭 시스템의 가능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보여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놀이론을 통한 어린이 브릭 쌓기의 매체전환 효과성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Reformatting in Children's Brick Stack through Play Theory)

  • 이태은;이창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419-424
    • /
    • 2020
  • 본 연구는 어린이의 놀이가 도구적 관점에서 매체전환을 할 경우 변화된 인터랙션이 놀이 속성에 유의미한 효과성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로제카이와의 놀이론(아곤, 미미크리, 알레아, 일링크스)의 고찰과 선행연구된 내용을 토대로 설문을 작성하고 어린이들의 전인적 발달에서 선호하는 브릭쌓기 놀이를 통하여 실험 설계를 하였다. 브릭쌓기 놀이를 물리적 공간과 전자 공간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눠서 어린이들의 체험과 함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 기반으로 한 통계분석은 결과의 유의미함을 도출하였다. 상관관계와 T-검정분석 결과에서 전자공간의 브릭 놀이가 로제 카이와의 놀이속성(아곤, 미미크리, 알레아, 일링크스)이 더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전자 공간 브릭쌓기에서 고르게 분포된 놀이 속성은 즐거움과 재미가 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로 인해 매체전환에 의한 효과성의 차이를 인지하고 놀이 속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디지털놀이의 매체연구가 활성화되길 기대해 본다.

근대기 대구지역 벽돌조 강당 건물의 건축특성과 파사드 구성에 관한 연구 - 남산초등학교 강당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Facade Construction of the Brick Masonry Auditorium in Daegu During the Modern Age - Focused on the Auditorium of Namsan Primary School -)

  • 윤재웅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6호
    • /
    • pp.121-135
    • /
    • 2010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facade construction of brick masonry auditorium through the Auditorium of Namsan Primary School in 1936.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separately as follows. 1. The auditorium is located away from the school buildings, and its plane is a chamber of rectangle type with an entrance installed on each of the four sides. 2. The external appearance is Renaissance eclectic style, laid red bricks on the lower wall of the window and having a mansard roof. The front and the rear are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projected wall at the center. 3. As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a concrete lower wall was built on the concrete continuous footing, and the brick wall was constructed on the lower wall. The roof is queen post roof truss, and the wall girders were installed on the brick wall. 4. The auditorium has had a number of repairing and maintenance works, which changed the roof and windows outside and the floor, walls, ceiling, etc. inside. 5. The decorative elements of external appearance include lower wall, brick wall, entrances, windows, roof, and dormer windows. The brick wall gives verticality and solidity to the surface of the wall, and the lower wall and wall girders are connected like a cornice of the wall. The surface of the mansard roof and dormer windows express a stable vertically oriented shape.

Study on the performance indices of low-strength brick walls reinforced with cement mortar layer and steel-meshed cement mortar layer

  • Lele Wu;Caoming Tang;Rui Luo;Shimin Huang;Shaoge Cheng;Tao Yang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4권6호
    • /
    • pp.439-453
    • /
    • 2023
  • Older brick masonry structures generally suffer from low strength defects. Using a cement mortar layer (CML) or steel-meshed cement mortar layer (S-CML) to reinforce existing low-strength brick masonry structures (LBMs) is still an effective means of increasing seismic performance. However, performance indices such as lateral displacement ratios and skeleton curves for LBMs reinforced with CML or S-CML need to be clarified in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and evaluation. Therefore, research into the failure mechanisms and seismic performance of LBMs reinforced with CML or S-CML is imperative. In this study, thirty low-strength brick walls (LBWs)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bonding mortar types, vertical loads, and CML/S-CML thicknesses were constructed. The failure modes, load-carrying capacities, energy dissipation capacity and lateral drift ratio limits in different limits states were acquired via quasi-static tests. The results show that 1) the primary failure modes of UBWs and RBWs are "diagonal shear failure" and "sliding failure through joints." 2) The acceptable drift ratios of Immediate Occupancy (IO), Life Safety (LS), and Collapse Prevention (CP) for UBWs can be 0.04%, 0.08%, and 0.3%, respectively. For 20-RBWs, the acceptable drift ratios of IO, LS, and CP for 20-RBWs can be 0.037%, 0.09%, and 0.41%, respectively. Moreover, the acceptable drift ratios of IO, LS, and CP for 40-RBWs can be 0.048%, 0.09%, and 0.53%, respectively. 3) Reinforcing low-strength brick walls with CML/S-CML can improve brick walls' bearing capacity, deformation,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Using CML/S-CML reinforcement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old masonry houses is a feasible and practical choice.

투수성 포장재의 우수 표면유출 저감 효과 (The Effect of Pervious Pavement on Reducing the Surface Runoff)

  • 이춘석;류남형;한승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26-37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ervious pavements on reducing the surface runoff caused by rainfall. The surface runoff from twelve steel experimental beds with different pavement had been recorded every minute from May to September 2008, by the measuring system of tipping buckets(0.1mm/count) and data aquisition systems(National Instrument's Labview and DAQ boards & Autonics PR12-4). The dimension of the experimental bed was $1.5m(W){\times}2.0m(L){\times}0.6m(D)$ and eleven different kinds of vegetational(grass, grass+cubic stone, grass+hole brick), modular(brick, cubic stone, small cubic stone, wood block, interlocking block, clay brick, granular clay brick) and granular(naked soil, gravel) paving materials and concrete were applied for the comparison. Six rain events with depth over 30mm were selected and compared. The maximum depth of the rainfall selected was 137.5mm for 28 hours, and the minimum 30mm for 5 hours. The maximum rainfall per hour was 23mm/hr and the minimum 11.4mm/hr.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All pervious pavement applied reduced over 75% of the surface runoff compared with concrete pavement. The grassy and porous pavements were relatively efficient in reducing surface runoff. 2. The grass was the more efficient as intercepting average 69.5mm of initial surface runoff, and maximum 77.8mm at the condition of 13.5mm/hr rainfall. The next was gravel intercepting maximum 65.5mm at the condition of 13.5mm/hr and the 40.9mm at 19.1mm/hr, average 55.7mm. 3. The modular pavements common in urban area were not good in intercepting the runoff except the 'clay granular brick' compared with others. The 'clay granular brick' showed relatively efficient intercepting average 14.1mm, which was the bigger amount than the 'grass+hole brick'. 4. The 'naked soil'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concrete', 'brick', and 'interlocking block' in reducing the surface runoff, but less efficient than other materials. The capacity of the 'naked soil' to intercept the initial rainfall was similar to the 'brick'. As summary, the more grassy and porous pavement shows more effective in reducing surface runoffs.

백제 웅진기 벽돌무덤에 사용된 벽돌의 재료와 첨가물 특성 분석 (Archaeometric Characterization of Raw Materials and Tempers of Bricks Used in the Brick Tombs during Ungjin Period of Baekje)

  • 장성윤;진홍주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6호
    • /
    • pp.571-582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백제 웅진기 공주에 축조된 벽돌무덤 3기에 사용된 벽돌의 재료와 첨가물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주에는 무령왕릉, 왕릉원 6호분, 교촌리 벽돌무덤이 남아있는데, 각 고분을 구성하는 벽돌의 태토는 유사한 재료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형태와 물리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광물학적 특성 및 미세구조 분석 결과, 무령왕릉과 왕릉원 벽돌은 정제된 토양으로 제작되었고, 벽돌 분쇄물이 첨가물로 드물게 사용되었다. 반면 교촌리 벽돌무덤 벽돌에서는 길고 두꺼운 흑색 기공의 빈도가 높았고 미세조직 관찰결과에서 탄소가 농집된 식물탄화물과 잔존물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공은 주로 0.3~1mm 두께로 분포하고 있어 일정크기의 식물을 정제된 토양에 첨가하여 제작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함께 벽돌 분쇄물도 비짐으로 첨가하였다. 특히 식물과 벽돌 분쇄물의 첨가는 내부구조에 두꺼운 기공을 형성하거나 균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촌리 벽돌무덤 시료는 내부 균열이 많고 소성온도도 낮아 초음파 속도가 왕릉원 시료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물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벽돌의 첨가물과 소성온도, 내부구조 등은 벽돌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벽돌 제작 기술의 차이로 볼 수 있다.

K 대역 브릭형 능동 송수신 모듈의 설계 및 제작 (A Design and Fabrication of the Brick Transmit/Receive Module for K Band)

  • 이기원;문주영;윤상원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940-94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능동 위상 배열 레이다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브릭형 구조의 능동 송수신 모듈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안한 브릭형 구조의 능동 송수신 모듈은 MCM(Multi-Chip Module) 형태이며, 타일형 능동 송수신 모듈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캐비티 구조와 주요 특성을 만족하도록 설계하였다. 제작한 브릭형 능동 송수신 모듈의 시험을 통하여 목표로 한 전기적 특성을 만족함을 확인하였으며, 능동 위상 배열 레이다에 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