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wers grai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8초

산업용지의 벌크 향상 및 건조에너지 절감을 위한 분말상 첨가제 제조기술 개발 (I) - 신규 유기물질 맥주박의 화학적.물리적 특성 평가 - (Development of New Powdered Additive and Its Application for Improving the Paperboard Bulk and Reducing Drying Energy (I) -Analysis of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Brewers Grain -)

  • 이지영;김철환;최재성;김병호;임기백;김다미
    • 펄프종이기술
    • /
    • 제44권2호
    • /
    • pp.58-66
    • /
    • 2012
  • Brewers grain is a byproduct of beer brewing and consists primarily of grain husks, pericarp, and fragments of endosperm. Although this material is consumed by animals and used as fertilizer, a large amount of brewers grain is simply discarded. Therefore, new methods for utilizing this fibrous resource should be pursu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otential utilization of brewers grain as an additive in the paperboard industry by determin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rewers grain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brewers grain powders after grinding with two types of grinders. We found that brewers grain had a lower holocellulose content and higher lignin content and intermediate ash content when compared to other biomass materials, and did not contain any contaminants that would interfere with the papermaking process. Particles had a higher fiber length, less fiber width, and narrower shape factor distribution when ground by a blender type grinder than by a pin crusher type grinder. The blender type grinder was concluded to make regular brewers grain particles appropriate for papermaking.

잎새버섯 봉지재배시 영양원으로서 맥주박 효과 (Effect of brewers dried grain as a nutrient supplement in plastic vinyl bag cultivation of maitake (Grifola frondosa S. F. Gray))

  • 이재홍;이남길;문윤기;정태성;권순배;박영학;김인종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4-38
    • /
    • 2016
  • 잎새버섯 봉지재배에 적합한 영양원을 구명하기 위하여 밀기울, 건비지 및 맥주박을 다양하게 혼합하여 생육 및 수량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확소요일수는 혼합배지 Mix II가 61.3일로 가장 적었으며, 수량에서는 혼합배지 Mix IV가 142.6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밀기울과 맥주박의 적정 혼합율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 결과, 맥주박 첨가율이 높아질수록 수확소요일수가 줄어들었으며, 수량은 맥주박 15%와 밀기울 5% 혼합율 처리에서 140.8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료첨가제로서 맥주박이 장수풍뎅이 유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Brewers' Dried Grain as a Feed Additive for the Korean Rhinoceros Beetle, Allomyrina dichotoma)

  • 송명하;이희삼;박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501-1506
    • /
    • 2018
  • 장수풍뎅이 유충은 쌍별귀뚜라미와 갈색거저리 및 흰점박이꽃무지 유충과 함께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에 일반식품원료로 등록되었다. 이에 곤충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이와 함께 양질의 곤충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용곤충 전용 먹이원 개발 등과 관련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식품가공 부산물은 단백질, 지질, 무기질 및 기타 여러 가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가축 등 동물 사료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귤박, 비지박, 대두박, 맥주박 등 4종의 식품가공 부산물을 첨가한 먹이원 급여에 따른 장수풍뎅이 유충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장수풍뎅이 3령 유충에 10% 맥주박을 첨가한 먹이원을 급여했을 때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유충의 무게 또한 대조구 대비 약 26%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충기간에 있어서도 10% 맥주박을 첨가했을 때 약 120일로 대조구보다 28일 이상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10% 맥주박 첨가 실험구의 용무게와 용화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맥주박이 장수풍뎅이 사육용 사료 소재로서 충분히 활용될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맥주박은 시중에서 쉽고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곤충사육 농가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으며, 식품가공 부산물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식용곤충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사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용지의 벌크 향상 및 건조에너지 절감을 위한 분말상 첨가제 제조기술 개발(II) - 맥주박과 팜잎 분말상 첨가제의 표면개질에 대한 연구 - (Development of New Powdered Additive and Its Application for Improving the Paperboard Bulk and Reducing Drying Energy (II) - Surface Modification of Brewers Grain(BG) and Oil Palm Frond(OPF) Powders with Cationic and Oxidized Starches -)

  • 이지영;김철환;김선영;김병호;임기백;김준식
    • 펄프종이기술
    • /
    • 제45권2호
    • /
    • pp.33-40
    • /
    • 2013
  • Powdered additive or organic filler is used to improve paperboard thickness and to reduce drying energy consumption in the Korean paperboard industry. In a previous study, we identified alternative non-lignocellulosic resources to wood powder, specifically brewers grain and oil palm frond powders, and verified that these materials had the same functionality as wood powder. The main drawback of the use of such additives, including both lignocellulosic and non-lignocellulosic resources, is the deterioration in paperboard strengths. Therefore, we carried out a basic study on the surface modification of brewers grain and oil palm frond powders to improve the strengths of paperboard. Surface mod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various types of cationic and oxidized starches. The streaming current and zeta-potential of the two non-lignocellulosic powders were measured and CLSM images were taken to assess the surface modification.

Effect of Lactobacillus mucosae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Dried Brewers Grain, Methane Production and Bacterial Diversity

  • Soriano, Alvin P.;Mamuad, Lovelia L.;Kim, Seon-Ho;Choi, Yeon Jae;Jeong, Chang Dae;Bae, Gui Seck;Chang, Moon Baek;Lee, Sang Su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1호
    • /
    • pp.1562-1570
    • /
    • 2014
  • The effects of Lactobacillus mucosae (L. mucosae), a potential direct fed microbial previously isolated from the rumen of Korean native goat, on the rumen fermentation profile of brewers grain were evaluated. Fermentation was conducted in serum bottles each containing 1% dry matter (DM) of the test substrate and either no L. mucosae (control), 1% 24 h broth culture of L. mucosae (T1), or 1% inoculation with the cell-free culture supernatant (T2). Each serum bottle was filled anaerobically with 100 mL of buffered rumen fluid and sealed prior to incubation for 0, 6, 12, 24, and 48 h from which fermentation parameters were monitored and the microbial diversity was evalu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1 had higher total gas production (65.00 mL) than the control (61.33 mL) and T2 (62.00 mL) (p<0.05) at 48 h. Consequently, T1 had significantly lower pH values (p<0.05) than the other groups at 48 h. Ammonia nitrogen ($NH_3$-N), individual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 concentration and acetate:propionate ratio were higher in T1 and T2 than the control, but T1 and T2 were comparable for these parameters. Total methane ($CH_4$) production and carbon dioxide ($CO_2$) were highest in T1. The percent DM and organic matter digestibilities were comparable between all groups at all times of incubation. The total bacterial popul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1 (p<0.05) at 24 h, but then decreased to levels comparable to the control and T2 at 48 h. Th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rofile of the total bacterial 16s rRNA showed higher similarity between T1 and T2 at 24 h and between the control and T1 at 48 h.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dition of L. mucosae and cell-free supernatant during the in vitro fermentation of dried brewers grain increases the VFA production, but has no effect on digestibility. The addition of L. mucosae can also increase the total bacterial population, bu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total microbial diversity. However, inoculation of the bacterium may increase $CH_4$ and $CO_2$ in vitro.

여러 가지 첨가제가 맥주박과 베지밀박의 부패방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Additives for Spoilage Prevention on Brewers grain and Soymilk by-product)

  • 이현준;김현섭;전병순;김상우;기광석;조광근;조재순;이홍구;최윤재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3호
    • /
    • pp.74-84
    • /
    • 2002
  • 고수분 유기성 물질인 맥주박, 베지밀박 등의 농산가공부산물들은 상온에서 변패성이 강하여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기위해서는 보관성증진을 위한 첨가제의 처리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맥주박과 베지밀박을 소금, 유기산, 발효미생물 및 메치오닌수산화물(MHA)을 처리하여 고온다습한 7월중순경에 상온에서 20일간 방치한 후 보관일수에 따른 시료의 표면연화현상과 곰팡이 발생양상, 시료내부 pH, 암모니아태질소 함량변화를 조사하여 각 첨가제의 시료에 대한 변패방지효과를 비교한 결과, MHA 5%이상 처리구에서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 PDF

맥주박과 옥수수 위주의 발효사료에 대한 Coated Vitamin C+E 및 면실의 첨가가 거세한우의 육조성분, 육색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ing Coated Vitamin C+E with Cottonseed on Meat Composition, Meat Color and Carcass Grade in Hanwoo Steers Fed Brewers Grain and Cracked Corn-Based Fermented Feedstuff)

  • 박병기;성대경;김창혁;권응기;오상집;신종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227-236
    • /
    • 2006
  • 본 연구는 맥주박과 옥수수 위주의 발효사료에 대한 coated vitamin C+E 및 면실의 첨가 급여가 거세한우의 육조성분, 육색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평균체중 550.4±42.8kg의 거세한우 24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발효사료급여구(T1)와 coated vitamin C+E 및 면실 첨가 발효사료구(T2)의 2처리로 하였다. 배최장근의 조지방 함량은 T2구에서 T1구에 비해 높았다(p< 0.05). 배최장근의 표면 육색 중 황색도와 색상색은 T2구에서 T1구에 비해 낮았고(p<0.05) 명도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다(p<0.05). 육량 A 등급의 출현은 T2구에서 T1구에 비해 높았다. 근내지방도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맥주박과 옥수수 위주의 발효사료에 대한 CVCE 및 면실의 첨가는 거세한우 배최장근의 조지방 함량, 육색 및 근내지방도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섬유질 배합사료 원료로서 맥주박, 비지박 및 볏짚이 한우 거세우의 사양성적,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ewers Grain, Soybean Curd and Rice Straw as an Ingredient of TMR on Growth Performance, Serum Parameter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장선식;권혁진;이상민;조영무;정기용;최낙진;이성실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1호
    • /
    • pp.51-59
    • /
    • 2013
  • 본 연구는 맥주박, 비지박 및 볏짚을 각각 이용하여 배합한 TMR을 한우 거세우에게 급여하였을 때 사양성적,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험구는 6개월령 한우 거세우 24두(평균체중 168 kg)를 배합사료 볏짚 분리급여구(T1), 맥주박 첨가 TMR 급여구(T2), 비지박 첨가 TMR 급여구(T3) 및 볏짚 첨가 TMR 급여구(T4)에 각각 6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여 총 22개월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여 28개월령에 도축하였다. 시험결과에서 체중은 육성기에서 비육전기까지 처리구들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종료시 체중에서 T4 처리구가 T2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일당증체량은 육성기 및 비육중기에서 TMR 급여구가 T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지만(p<0.05), 전체평균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건물섭취량은 TMR 급여구(T2, T3, T4)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료요구율은 T2 처리구에 비해 T4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육량특성에서 도체중은 T1, T2, T3 및 T4 처리구에서 각각 389.0, 368.4 387.5 및 384.3 kg이었다.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및 육량지수는 처리구들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육질특성에서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에서는 처리 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근내지방도와 육질 $1^+$ 등급 이상 출현율에서는 T2와 T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맥주박과 비지박을 이용한 TMR 사료는 한우 거세우의 발육 및 도체특성에 있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situ Ruminal and Intestinal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and Amino Acids in By-product Feedstuffs

  • Baek, Youl Chang;Jeong, Jin young;Oh, Young Kyoon;Kim, Min Seok;Lee, Hyun jung;Jung, Hyun jung;Kim, Do hyung;Choi, Hyuck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74-83
    • /
    • 201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gradability and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CP), rumen undegradable protein (RUP), and individual amino acids (AA) on six by-product feedstuffs (BPF) (rice bran, RB; wheat bran, WB; corn gluten feed, CGF; tofu residue, TR; spent mushroom substrate from Pleurotus ostreatus, SMSP; brewers grain, BG) as ruminants feed. Three Hanwoo steers (40 months old, $520{\pm}20.20kg$ of body weight) fitted with a permanent rumen cannula and T-shaped duodenal cannula were used to examine of the BPF using in situ nylon bag and mobile bag technique. The bran CGF (19.2%) and food-processing residue BG (19.7%) had the highest CP contents than other feeds. The RUP value of bran RB (39.7%) and food-processing residues SMSP (81.1%) were higher than other feeds. The intestinal digestion of CP was higher in bran RB (44.2%) and food-processing residues BG (40.5%) than other feeds. In addition, intestinal digestion of Met was higher in bran RB (55.7%) and food-processing residues BG (44.0%) than other feeds.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RB and BG might be useful as main raw ingredients in feed for ruminants. Our result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ruminant ration for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