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eding period

검색결과 634건 처리시간 0.026초

논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과 개체군 특성 (Patterns of Waterbirds Abundance and Habitat Use in Rice Fields)

  • 남형규;최승혜;최유성;유정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9-367
    • /
    • 2012
  • 본 연구는 논습지를 이용하는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과 개체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9/2010년과 2011/2012년에 걸쳐 아산만 일대의 논을 대상으로 매월 2회씩 조사를 수행한 결과 총 35종의 수조류가 관찰되었다. 수조류의 논이용은 분류군에 따라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분류군에 상관없이 대부분 논을 취식지로 이용하였다. 도요물떼새류는 봄철이동시기(4월-5월)에 담수화된 본답을 주로 이용하였다. 백로류는 논을 4월에서 10월까지 이용하였으며, 논의 상태변화에 따라 본답, 논둑, 수로 등을 고루 이용하였다. 논은 백로류의 번식에 필요한 충분한 먹이를 제공하는 서식지이다. 오리기러기류는 월동기간(11월-3월)동안 추수 후 떨어진 낙곡을 취식하기 위해 논을 이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주기적으로 뚜렷한 환경변화를 갖는 논 생태계는 시기에 따라 다양한 수조류의 서식지를 제공하고 있다.

Microsatellite DNA marker를 이용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방류종묘의 유효어미수 평가 (Evaluation of Effective Breeders Number (Ne) for Stock Enhancement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Using Microsatellite DNA Markers)

  • 정달상;김광수;김경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5-209
    • /
    • 2006
  • 현재 우리나라에서 종묘방류량이 많은 넙치의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식산 어미 암컷 31마리, 수컷 52마리로 총 83마리로부터 생산된 종묘의 유효어미수와 근교계수를 microsatellite DNA marker 7개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어미집단과 종묘집단의 대립유전자수는 어미집단에 비하여 하루 동안 채란한 E1 종묘집단에서 23.5%가 감소하였고, 이틀 동안 채란한 E2 종묘집단에서는 17.6%가 감소하였다. 유전자 동일성검사 결과, 산란에 관여한 어미수는 E1 종묘집단에서 총 23마리였으며 이중 암컷 9마리, 수컷 14마리였고, E2 종묘집단에서는 35마리로 암컷 15마리, 수컷 20마리였다. 유효 어미집단크기(Ne)를 추정하기 위해 산란에 관여한 실제 어미의 암수의 비율을 보정하면, Ne는 E1 종묘집단에서 21.9마리, E2 종묘집단에서 34.3마리로 추정되었다. 이에 따라 근교계수는 El 종묘집단이 0.023, E2종묘집단은 0.015로서 E2종묘집단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산생물의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FAO의 권고 기준보다 높게 나타남에 따라 유전적 다양성을 향상시키는 방류용 종묘생산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Oogenesis in a Tubiculous Polychaete, Schizobranchia insignis Bush: I. Microscopic and Biometric Studies

  • Lee, Yang-Rim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7-92
    • /
    • 1977
  • 棲管 갯지렁이 Schizobranchia insignis Bush의 卵子에서 일어나는 變化의 形態學的 및 生化學的 관계를 규명코자 卵子形成中 細胞學的인 變化와 卵子의 年中 分布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卵原細胞分裂 직후 난자는 卵巢에서 離脫하여 體腔囊에서 最大의 크기인 직경 6180$\\mu$ 까지 성장한다. 난자형성은 年中 계속 일어나고 있으며, 産卵期間은 1월에서 3월간이다. 난자가 最大의 크기에 달하면 그 후로는 크기에 변화가 없으며 體腔囊에 축적된다. 核仁은 직경 5-10$\\mu$의 난자에서 처음으로 나타나며 난자형성 초기단계에서 크기의 증가를 보여 직경 100-120$\\mu$의 난자에서 가장 크고, 직경 120-180$\\mu$의 기간동안 크기의 변화가 거의 없다. 仁은 최초에는 단일구획 이지만 난황물질형성 직전에 이중구획으로 나뉘어진다. 세 종류의 난황물질이 난자형성 기간중 서로 다른 시기에 형성된다. 脂質顆粒과 성분이 불확실한 타원형의 顆粒은 초기에 나타나지만, 대부분이 직경 80$\\mu$이상의 난자에서 형성된다. 단백질 난황과 皮質顆粒은 반드시 직경 80$\\mu$이상의 난자에서만 형성된다. 미세융털이 직경 80$\\mu$의 난자에서는 卵黃膜에 다량 존재하지만 직경 180$\\mu$의 난자에서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 PDF

인삼 묘삼 휴면 조기타파에 미치는 GA3 및 변온 처리 효과 (Effects of GA3 and Alternating Temperature on Breaking Bud Dormancy of Panax ginseng C. A. Meyer Seedling)

  • 김동휘;김영창;방경환;김장욱;이정우;조익현;김영배;손승우;박종배;김기홍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79-384
    • /
    • 2015
  • Background :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is required to develop new Panax ginseng varieties. Ginseng breeders have been developing techniques to shorten the breeding cycle to resolve this proble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dding $GA_3$ and alternating temperature (AT, $2^{\circ}C{\rightarrow}-2^{\circ}C{\rightarrow}2^{\circ}C$) on breaking bud dormancy in the varieties (Chungsun and Sunun) of ginseng root. Methods and Results : The $GA_3$ soaking treatment and AT were applied to one year old roots, which greatly accelerated the emergence of new buds. In one year old roots, new buds emerged from the 4th day post transplanting and after breaking dormancy with $GA_3$ and AT treatments. The emergence of new buds was completed within two weeks. The rate of bud emergence for Chungsun was 60% - 98% over 15 - 60 days after the AT and $GA_3$ treatments. The emergence rate of Sunun was 46% - 92%. Normal growth of the ginseng seedling was observed in spite of the early breaking of bud dormancy by combined $GA_3$ and AT treatments. Conclusions : $GA_3$ and AT treatments shortened the dormancy period and facilitated the stable emergence of ginseng seedlings. However, some plants suffered deformities and early sprouting owing to the combined $GA_3$ and AT treatments. Early sprouting was free from dormancy after leaf fall from the of aerial part of the plant.

잣나무 수형목(秀型木) clone의 개화특성(開花特性) (Characteristics of Flower of Plus Tree Clones of Pinus koraiensis S. et Z.)

  • 한상섭;이상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3호
    • /
    • pp.290-301
    • /
    • 1990
  • 1983년도(年度) 보고(報告)된 잣나무 수형목(秀型木) 167 clone의 clone 보존원(保存園)에서 1986년(年)부터 1989년(年)까지, 개화시기(開花時期), 개화율(開花率), 개화량(開花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자화(雌花)가 조기개화(早期開花)하는 소수 clone과 웅화(雄花)가 늦게 비산(飛散)하는 소수 clone들 사이에는 자연교배(自然交配) 될 수 없는 clone들도 있었다. 2) 웅화(雄花)의 개화율(開花率)은 낮았으며 자화(雌花)의 개화율(開花率)보다 유전적(遺傳的)인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다. 3) 자화(雌花)와 웅화(雄花)의 대화량(開花量)은 소수 clone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었다. 4) 자화(雌花)와 웅화(雄花)의 개화량(開花量)은 상호(相互) 상관(相觀)이 없었으며 167 clone중 42 clone은 웅화(雄花)가 개화(開花)하지 않았다. 5) 167 clone의 개화량(開花量)은 L.S.D 5% 검정(檢定)에 의하여 자화(雌花)는 3 group, 웅화(雄花)는 4 group으로 분류(分類)되었다. 6) 주성분(主成分) 분석(分析)에 의하여 자화(雌花)와 웅화(雄花)가 다량개화(多量開花)하는 clone을 선발(選拔)할수 있었다. 7) 자화(雌花)의 개화율(開花率)과 개화량(開花量)을 기준으로 할 때 Juvenile phase 기간(期間)은 접목(接木)후 4년(年)까지 였으며 transition 기간(期間)은 접목(接木)후 5년(年)부터 7년(年)까지 adalt phase 기간(期間)은 접목(接木)후 8년(年)부터였다. 8) 잣나무 접목묘(接木苗)는 실생묘(實生苗) 보다 6년이상(年以上) 빠르게 개화(開花)하였다.

  • PDF

Comparison of Isoflavone Composition and Content in Seed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Germplasms with Different Seed Coat Colors and Days to Maturity

  • Choi, Yu-Mi;Yoon, Hyemyeong;Lee, Sukyeung;Ko, Ho-Cheol;Shin, Myoung-Jae;Lee, Myung-Chul;Oh, Sejong;Desta, Kebede Tay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58-577
    • /
    • 2020
  • Isoflavone contents in soybean seeds are affected by bot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se factors and isoflavone contents are considered as valuable inputs when breeding improved soybean cultivars. In this study, the seeds of 49 soybean accessions grown in Korea were grouped as black, yellow, green, yellowish-green, pale yellow, and green with a black spot based on their seed coat colors. The contents of 12 isoflavones were analyzed and the association between isoflavone content and seed coat color was determined. The accessions were also grouped as early, intermediate, and late-maturing based on their days to maturity. Out of the 12 isoflavones, 11 were found in 2 accessions, 9 in 18 accessions, 8 in 11 accessions, 7 in another 11 accessions, and 6 in 7 accessions. The total isoflavone content (TIC) in black, yellow, green, yellowish-green, pale yellow, and green with black spot soybeans was in the ranges 2.110 ~ 5.777, 2.487 ~ 4.733, 2.185 ~ 4.413, 2.681 ~ 4.065, 1.827 ~ 4.085, and 3.376 ~ 4.133 mg/g, respectively. The average TIC was highest in green with black spot soybeans (3.616 mg/g), and lowest in pale yellow soybeans (2.875 mg/g). Besides, the average TIC was lowest in early maturing accessions compared to late- and intermediate-maturing accessions. TIC was strongly correlated to malonylgenistin (r = 0.91) and malonyldaidzin (r = 0.78) contents, and poorly correlated to glycitein (r = 0.04) and malonylglycitin (r = 0.18) contents. Also, days to maturity showed strong correlation with malonylgenistin (r = 0.47) content and TIC (r = 0.38).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utlined accessions with high TIC and diverse isoflavones along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depicted that green soybeans with a black spot could be sources of high TIC. Furthermore, late-maturing accessions with diverse isoflavones in their seeds could be useful in future agricultural systems in Korea.

잡종채종원(雜種採種園)에서의 리기다소나무와 테다소나무의 개화(開花) (Flowering of Pinus rigida Mill. and Pinus taeda L. in an F1-Hybrid Seed Orchard)

  • 정민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31-36
    • /
    • 1983
  • 1959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광양 연습림에 조성한 잡종채종원(雜種採種園)에서 리가다소나무와 테다소나무의 개화기(開花期)를 1971년부터 1975년까지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와 결론을 얻었다. 양친수(兩親樹) 리기다소나무와 테다소나무는 4월 말에서 5월 초 사이에 개화(開花)하였다. 양수종(兩樹種)의 개화양상(開花樣相)은 매년 다르게 나타났으며 같은 수종의 암수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났다. 환경조건이 정상적일 때 양친수(兩親樹)에 있어서 꽃의 발달(發達)은 화아분화시(花芽分化時)부터 개화시(開花時)까지의 온도인자(温度因子)에 의해 크게 영향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가다소나무의 암꽃과 테다소나무 숫꽃의 개화기(開花期) 차이(差異)는 평균(平均) 6일 이었으며 양친수종(兩親樹種)에 있어서 이러한 6일간의 개화기(開花期)의 차이(差異)는 집단수준(集團水準)에서 효과적(效果的)으로 두 수종(樹種)을 생식적(生植的)으로 분리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 및 테다소나무의 양친수(兩親樹)에 있어서 개화기(開花期)가 일치(一致)되는 개체(個體)들을 수십본(數十本) 선발할 수 있었으나 선발된 개체들의 상당수가 생장특성(生長特性)이 불량(不良)하여 잡종 채종원 조성을 위한 양친수(兩親樹)로저 적합하지 못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서 본 저자(著者)는 잡종(雜種) 소나무인 리기테다소나무의 육종(育種)에 있어서 Modified Simple Recurrent Selection 방법(方法)을 이용할 것을 제시한다.

  • PDF

철모깍지벌레(Saissetia coffeae)에 대한 애홍점박이무당벌레(Chilocorus kuwanae)의 포식능력 (Predatory Capability of Chilocorus kuwanae (Silvestri) (Coleoptera: Coccinellidae) for Saissetia coffeae (Walker) (Hemiptera: Coccidae))

  • 진혜영;안태현;이봉우;전혜정;이준석;박종균;함은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37-442
    • /
    • 2015
  • 철모깍지벌레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애홍점박이무당벌레의 포식능력과 기초 생태특성을 $25^{\circ}C{\pm}2^{\circ}C$, $70%{\pm}5%$, 16L : 8D로 설정된 사육실에서 검정한 결과, 애홍점박이무당벌레 성충은 하루에 77.5마리의 철모깍지벌레를 포식하여, 깍지무당벌레 포식력의 2.9배, 어리줄풀잠자리 포식력의 2.8배 이상의 뛰어난 포식능력이 관찰되었다. 1령 ~ 4령 유충 기간 동안 659.0마리의 철모깍지벌레를 포식하였고, 애홍점박이무당벌레와 철모깍지벌레의 밀도 별 상호작용을 조사한 결과 Holling (1959)의 기능반응곡선 제 II 형과 유사한 포식반응을 확인하였다. 애홍점박이무당벌레는 철모깍지벌레를 먹이로 공급했을 때 알에서 성충까지 21.1일 ~ 27.9일이 소요되었으며, 72.3%, 77.8%, 83.3%의 높은 부화율, 용화율과 우화율을 보였다.

줄무늬잎마름병(호엽고병)에 대한 벼품종의 저항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arietal resistance to the rice stripe virus disease)

  • 이순형;김종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_6권
    • /
    • pp.47-54
    • /
    • 1968
  • 벼의 줄무늬잎마름병 방제에 보다 능률적이고 완전한 실효를 얻기 위해 우선 본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방법을비교검토하고 장려 품종 중에서 저항성품종을 선발하여 장래 저항성품종 육성의 모체를 제공할 목적으로 410품종에 대하여 저항성검정을 실시하였다. (1) 집단접종과 개체접종법을 비교 검토한 결과 발병률은 집단접종법이 다소 높은 경향이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발병지수에서 Lacrose는 두 방법이 모두 S였고 Zenith$\cdot$St. No.1$\cdot$St. No. 2$는 R, 나머지는 M로 나타나 같은 경향을 보여 주었다. (3) 병징형은 이병성품종에서는 모두 감수성형인 A형이 많고 저항성품종에서는 반대로 저항성병징형인 C형이 많아 두 방법이 같은 경향을 보여 주였다. (4) 410품종의 저항성검정에서 저항성이(12품종) St. No.1$\cdot$St. No. 2$\cdot$ 신 2호$\cdot$Gulfrosebonnet$\cdot$Arkroe$\cdot$Sunbonnet$\cdot$Zenith$\cdot$이천칠일찰$\cdot$농림 24호$\cdot$오백조계$\cdot$양주밭찰$\cdot$농림나 1호 등이고 남선97$\cdot\;149\cdot\;159\cdot\;216\cdot\265$호, 이황 $243\cdot\;265$, 간척 $5\cdot\;7\cdot\;8\cdot\;10\cdot\;41\cdot\;43\cdot\;47\cdot\;50$호 수원 $56\cdot$77호$\cdot$농림 22호$\cdot\;Cod-4\cdot\;Lacrose\cdot\;$적나 등은 이병성이며, 중간성이 377품종이었다. (5) 숙기별로 볼 때 큰 차이는 없으나, 만생$\cdot$조생$\cdot$중생종의 순으로 저항성이 컸다. (6) 장려품 중에서는 신 2호 외는 거의 중간성이었다.

  • PDF

水畓棲息 모기 幼蟲 및 其他 無脊椎動物 個體群密度에 關한 調査 (A Study on Seasonal Prevalence of the Populations of the Mosquito Larvae and Other Aquatic Invertebrates in Rice Fields in Korea)

  • Ree, Han-Il;Hong, Han-Kee;Shim, Jae-Chul;Lee, Jong-Soo;Cho, Hae-Wol;Kim, Jeong-Lim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1-161
    • /
    • 1981
  • 水畓棲息의 主要 모기 幼蟲과 기타 昆蟲의 個體群密度를 調査하기 위하여 京畿道 高揚郡 條里面 廣탄 3里의 一個 自然部落을 調査地域으로 選定하여 1980年 6月부터 9月末까지 週別로 채집을 實施하였다. 1. Culex tritaeniorhynchus 幼蟲 個體群密度의 계절적 변동은 다량의 降雨후에 급격한 증가 형상을 보였고 살충제 살포에 대해서 어느정도의 감소 영향을 받았다. 2. Anopheles sinensis 幼蟲의 個體群密度는 계절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큰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강수량과 살충제 살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Odonata와 Ephemeroptera의 경우는 살충제 살포가 결정적인 억제 요인으로 작용하여 Odonata는 6월 중순의 첫 살포후에, Ephemeroptera는 7월 중순의 두 번째 살포후 각각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고 그 후 個體群密度의 회복은 불가능 하였다. 4. Coleoptera의 個體群密度는 週別 변동이 심하였으며 이는 主로 살충제 살포에 의한 결과로 해석된다. 살충제 살포 前週와의 비교에 의한 감소율을 보면 Coleoptera는 69.5% (幼蟲 75%, 成蟲 58.3%)였고, Hemiptera의 경우는 75.5%였다. 5. 水畓에 棲息하는 planaria 1種의 個體群密度는 강수량에 영향을 받으며 살충제 살포에 對한 억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