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ogenesis in a Tubiculous Polychaete, Schizobranchia insignis Bush: I. Microscopic and Biometric Studies

  • Published : 1977.06.01

Abstract

A study has been made to correlat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differentiation in the oocytes of a tubiculous polychaete, Schizobranchia insignis. The pressent paper is concerned with an examination of the cytological changes during oogenesis and annual size distribution of oocytes, The oocytes are released from the ovary into the coelomic sac at the end of the oogonial division and grow to a maximum size (180 $\\mu$ diameter). Oogensis takes place continuously throughout a year, although the breeding season is the period between January and March. When the oocytes reach the largest size class, they remain constant in size thereafter and accumulate in the coelomic sac. The nucleolus, which first appears in the oocytes 5-10$\\mu$ diameter, grows in the early stages of oogenesis, becomes maximum in the oocytes 100-120$\\mu$ diameter, and is constant throughout the rest of the pertiod. The nuclelus initially has a single comartment but becomes bipartite prior to vitello genesis. Three types of yolk including lipid droplets, proteid granules and oval granules oof unknown composition form at different times of oogenesis. The lipid droplets and oval granules appear in the early stage, but mainly in the oocytes larger than 80 $\\mu$ diameter. Proteid yolk and cortical granules appear only in the oocytes larger than 80 $\\mu$ diameter Microvilli are abundant in the oocyte 80 $\\mu$ diameter and embedded in the vitelline membranc. In the oocytes 180 $\\mu$ diameter they have retracted from the vitelline membrane.

棲管 갯지렁이 Schizobranchia insignis Bush의 卵子에서 일어나는 變化의 形態學的 및 生化學的 관계를 규명코자 卵子形成中 細胞學的인 變化와 卵子의 年中 分布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卵原細胞分裂 직후 난자는 卵巢에서 離脫하여 體腔囊에서 最大의 크기인 직경 6180$\\mu$ 까지 성장한다. 난자형성은 年中 계속 일어나고 있으며, 産卵期間은 1월에서 3월간이다. 난자가 最大의 크기에 달하면 그 후로는 크기에 변화가 없으며 體腔囊에 축적된다. 核仁은 직경 5-10$\\mu$의 난자에서 처음으로 나타나며 난자형성 초기단계에서 크기의 증가를 보여 직경 100-120$\\mu$의 난자에서 가장 크고, 직경 120-180$\\mu$의 기간동안 크기의 변화가 거의 없다. 仁은 최초에는 단일구획 이지만 난황물질형성 직전에 이중구획으로 나뉘어진다. 세 종류의 난황물질이 난자형성 기간중 서로 다른 시기에 형성된다. 脂質顆粒과 성분이 불확실한 타원형의 顆粒은 초기에 나타나지만, 대부분이 직경 80$\\mu$이상의 난자에서 형성된다. 단백질 난황과 皮質顆粒은 반드시 직경 80$\\mu$이상의 난자에서만 형성된다. 미세융털이 직경 80$\\mu$의 난자에서는 卵黃膜에 다량 존재하지만 직경 180$\\mu$의 난자에서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