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eding period

검색결과 634건 처리시간 0.027초

큰느타리버섯 신품종 '새곤지' 육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variety Pleurotus eryngii, Saegonji)

  • 하태문;최종인;전대훈;지정현;신평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7-131
    • /
    • 2014
  • 큰느타리버섯의 품종다양화와 보급확대를 목적으로 발생개체수가 적고 생력재배에 적합한 "새곤지"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균사생장을 위한 적정온도범위는 $23{\sim}26^{\circ}C$로 대조품종 $26{\sim}29^{\circ}C$보다 낮았다. 자실체 발생 및 생육적온은 $15{\pm}1^{\circ}C$였으며, 재배기간은 51일로 대조품종과 동일하였다. 갓형태는 생육초기 반반구형에서 생육후기까지 평반구형의 갓형태를 유지하였다. 병당 발생개체수는 3.5개로, 대조품종 12.8개 대비 9.3개 적었다. 대길이는 135.8 mm로 대조품종 124.6 mm보다 길었고, 갓표면의 색도(Lightness)는 60.4로 대조품종 57.6보다 높아 연회색을 나타내었다. 탄력성과 응집성은 대등하였고, 깨짐성, 경도값은 각각 71,068 g, $5,662g/cm^2$으로 대조품종보다 낮았다. 병당수량은 900 cc/$65{\Phi}$ 병에서 106.4 g, 1100 cc/$75{\Phi}$ 병에서159 g으로 대조품종 과 대등하였다.

느타리버섯의 신품종 육성 연구 - 분홍느타리 신품종 『적단』의 특성 -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pink oyster mushroom variety 『Jeakdan』)

  • 최종인;지정현;하태문;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6-90
    • /
    • 2007
  • 느타리버섯의 품종 다양화를 위해 단핵균주교잡에 의해 육성된 적단느타리버섯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 균사생장적온은 $26{\sim}30^{\circ}C$이고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8{\sim}23^{\circ}C$이었다. 나. 갓의 형태는 깊은깔대기형이며 다발형이고, 대는 가늘고 짧은형이며 갓, 대 모두 분홍색을 나타내었다. 다. 병재배시 배양일수는 $20^{\circ}C$에서 20일, 초발이소요일수는 $18{\sim}20^{\circ}C$재배조건에서 4일이며 생육일수는 4일이 소요되었다. 봉지재배에서는 균배양일수는 22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6일, 생육일수는 5일정도 소요되었다. 라. 버섯의 균일성에 있어서 갓색과 갓형태의 이형개체 발생은 없었고, 균사생장량 및 종균배양기간에서도 지역간 균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마. 농가실증시험 결과 유효개체수는 850cc병재배시는 31.5개이며, 2kg 봉지재배시 47개체수를 얻었으며 수량은 병재배시 134.5g, 봉지재배시 350.0g의 수량을 얻었다.

  • PDF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어미의 사육수온에 따른 성 성숙 유도 (Effect of Temperature on Induced Sexual Maturation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Broodstock)

  • 김병학;문태석;박기열;진영국;신윤경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3-119
    • /
    • 2009
  • 본 연구는 2008년 3월 24일에 전남 영광군에서 채취한 말백합 어미 1,200 마리를 확보하여 수온조절 (20, 25, $30^{\circ}C$ 및 자연해수) 에 의한 인위적인 성 성숙을 유도하였으며, 성숙 유도된 어미로부터 생존율, 비만도, 생식소 및 성숙 소요일수를 조사하였다. 말백합 어미의 연체부지수는 사육초기에는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5월 중순부터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시험 종료 시에는 연체부 지수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각부용적지수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말백합의 생식소 발달단계는 비활성기, 초기 활성기, 후기활성기, 완숙기, 방출 및 퇴화기의 5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험 개시일인 3월 25일경은 전기 활성기였으며, 시험 종료일인 6월 30일에는 수온별로 다양한 생식주기를 나타내었다. 시험 종료 시 성숙 유도율은 $30^{\circ}C$ 실험구에서 46.0%로 가장 높았고, $15^{\circ}C$ 실험구 35.0%, 자연수온 18.0% 및 $20^{\circ}C$ 실험구 12.0%로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험 기간 중 생존율은 전 구간이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사육수온을 20, 25, $30^{\circ}C$ 및 자연수온으로 성숙 시험한 결과, 암컷의 경우 $30^{\circ}C$ 실험구가 성숙이 가장 빨랐고, 수온이 낮을수록 늦은 경향이었으며, 수컷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말백합의 수온별 어미성숙은 $20^{\circ}C$ 보다는 수온이 높은 실험구인 25, $30^{\circ}C$에서 성숙 유도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슴새(Calonectris leucomelas)의 포란행동이 일별 몸무게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cubation Behaviour on the Daily Body Mass Regulation of Streaked Shearwaters (Calonectris leucomelas))

  • 황재웅;남기백;유정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5-112
    • /
    • 2014
  • 포란 기간 동안에 대양성 바다새들은 기아생태로 포란함으로써 커다란 몸무게 변화를 겪는다. 포란 동안에 몸무게의 심각한 변화를 겪는 슴새목 조류에서, 몸무게 조절은 포란 기간 동안에 그들의 포란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이 연구는 2013년 6월부터 8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에 위치하고 있는 무인도서인 사수도에서 번식하는 슴새를 대상으로, 포란 기간 동안 개체의 몸 크기, 몸 상태 그리고 포란 행동이 그들의 몸무게 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포란하는 슴새 개체의 일별 몸무게 감소량은 그들의 몸 크기나 몸 상태와 관계가 없었으나, 둥지 내에서 포란 시도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일별 몸무게 감소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몸 크기가 큰 개체일수록 일별 포란 시도를 많이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포란하는 개체의 몸 크기와 몸 상태는 그들의 일별 몸무게 감소와 관계가 없었지만, 일별 몸무게 감소량에 영향을 주고 있는 포란 시도 횟수는 그들의 몸 크기에 따라 조절되고 있었다. 따라서 포란 기간 동안에 번식 개체들의 몸 크기는 그들의 포란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온대낙엽수림에서 초식곤충의 계절과 고도에 따른 먹이활동 양상 연구 (Seasonal and Elevational Pattern of Herbivore's Feeding Activity in Temperate Deciduous Forest)

  • 김낭희;최세웅
    • 생태와환경
    • /
    • 제47권1호
    • /
    • pp.24-31
    • /
    • 2014
  • 본 연구는 온대활엽수림에서 초식곤충의 먹이 활동이 계절 및 고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는 지난 3년간(2011~2013) 지리산국립공원의 고도가 다른 세 지역(피아골, 시암재, 노고단)에서 이루어졌다. 조사방법은 각 지역에 서식하는 수종(3종)을 선정하여 4월부터 6월까지 1~2주마다 초식곤충의 식흔 활동을 식흔지수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조사 결과 고도가 가장 낮은 피아골(${\approx}300m$)에서 가장 먼저 식흔이 나타났고, 중간고도인 시암재(${\approx}900m$)에서는 가장 많은 식흔이 조사되었다. 고도가 가장 높은 노고단(${\approx}1300m$)에서는 식흔이 가장 늦게 나타났지만 짧은 시간에 급속히 식흔의 총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기존에 발표된 연구를 토대로 한 결과 초식곤충의 활동시기는 조류(곤줄박이)의 첫 산란일과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식물-곤충-2차 소비자(조류)와 밀접한 관련을 보여준다. 기후 환경이 변함에 따라 초식곤충 활동의 기간이 바뀌게 될 것이며 이러한 먹이사슬의 변동을 감시할 수 있는 지속적인 장기 생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Ac/Ds-mediated gene tagging system in rice

  • Eun, Moo-Young;Yun, Doh-Won;Nam, Min-Hee;Yi, Gi-Hwan;Han, Chang-Deok;Kim, Doh-Hoon;Park, Woong-June;Kim, Cheol-Soo;Park, Soon-Ki
    • 한국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한일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엄
    • /
    • pp.95-105
    • /
    • 2005
  • Transposon-mediated insertional mutagenesis provides one of the most powerful tools for functional studies of genes in higher plants. This project has been performed to develop a large population of insertional mutations, and to construct databases of molecular information on Ds insertion sites in rice. Ultimate goals are to supply genetic materials and information to analyze gene function and to identify and utilize agronomically important genes for breeding purpose. Two strategies have been employed to generate the large scale of transposon population in a Japonica type rice, Dongjin Byeo; 1) genetic crosses between Ac and Ds lines and 2) plant regeneration from seeds carrying Ac and Ds. Our study showed that over 70% of regenerated plants generally carried independent Ds elements and high activity of transposition was detected only during regeneration period. Ds-flanking DNA amplified from leaf tissues of F2 and T1 (or T2) plants have been amplified via TAIL-PCR and directly sequenced. So far, over 65,000 Ds lines have been generated and over 9,500 Ds loci have been mapped on chromosomes by sequence analysis. Database of molecular information on Ds insertion sites has been constructed, and has been opened to the public and will be updated soon at http://www.niab.go.kr. Detailed functional analysis of more than 30 rice mutants has been performed. Several Ds-tagged rice genes that have been selected for functional analysis will be briefly introduced. We expect that a great deal of information and genetic resources of Ds lines would be obtained during the course of this project, which will be shared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ice researchers. In addition to the Japonica rice, we have established the tagging system in an rice line of indica genetic background, MGRI079. MGRI079 (Indica/Japonica) was transformed with Agrobacteria carrying Ac and Ds T-DNA vectors. Among transgenic lines, we successfully identified single-copy Ds and Ac lines in MGR1079. These lines were served as ‘starter lines’ to mutagenize Indica genetic background. To achieve rapid, large scale generation of Ds transposant lines, MGR1079 transformants carrying homozygous Ac were crossed with ones with homozygous Ds, and $F_2$seeds were used for plant regeneration. In this year, over 2,000 regeneration plants were grown in the field. We are able to evaluate the tagging efficiency in the Indica genetic background in the fall.

  • PDF

한국에서 재배되는 상품종별 영양가치 분석 (The nutritive value analysis of the mulberry cultured in Korea)

  • 최병희;남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권
    • /
    • pp.73-81
    • /
    • 1962
  • This treatise is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nents in the mulberry varieties which are cultured in Korea and to estimate the nutritive values for them. Some of these varieties were developed lately in this country just by the general breeding aspect of mulberry leaf producing and silkworm raising experimentation without analysing the nutritive values of them which may be differed by various culturing condition. This work will be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mulberry varieties and the correct judgement of them. The varieties used for the analysis are as followings; A. Morus bombycis Koridz species. 1.Ichi-Hei. 2. Shimano-Uchi B. Morus alba L. species. 3. Kairyo-Nezumigaeshi. 4. Suwon-Daeyop. 5. Suwon No. 3. 6. Suwon No. 4. 7. Yongchon-Chuwoo. C. Morus Ihou (Ser.) Koidz species. 8. Ro-Soh. The specimens were eventually taken under the air and soil dry season because of the rain shortage during the sampling period and the results are found as a rather different from the normal specimen under the normal climate. Therefore, this treatise will be an important report on a special culturing condition and the nutritive values by the mulberry varieties, and still comparable because they were grown under the same condition. The individual conclusions are; 1. Yongchon-Chuwoo which was originated in this country, was found as an important variety for this country from the aspect of mulberry nutritive value and leaf producing amount, and it is believed that this is the best suitable variety for the soil of Korea. 2. Ichi-Hei occupies the better situation as well as Yongchon-Chuwoo from the nutritive criticizing even though it was originated in Japan. 3. The lately developed Suwon No.3 and No.4 are best from the leaf producing point of view, but they are not found such a good varieties from the nutritive aspect. The result may be happened as poor because they were cut before spring sprout started. 4. Ro-Soh which was normally recognized as a poor variety, was also found as a poor nutritive and leaf producing variety. 5. Th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mponents in the mulberry leaves decreased as the leaf maturity was progressed, but the crude fiber and crude ash components increased reversively in general view.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some specific changing nature by the mulberry varieties and could not rule them by just one conclusion. 6. During the air and soil dry season, the ash component increases but the hydrocarbon and moisture contents decrease considerably, and which resulted to the increase of mulberry hardness ratio and the decrease of sugar-protein ratio, eventually it causes the decrease of the nutritive value. It was also found that Ichi-Hei, Ro-Soh, and Suwon No. 3 had a strong recovering nature to their normal nutritive condition after raining. 7. Mulberry is of course a rich calorie diet, and is calculated as 50 to 60 Cal. per gram.

  • PDF

목이 신품종 '용아'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new cultivar of Auricularia auricula-judae 'Yong-A')

  • 김길자;김다미;이숙재;안호섭;김동관;권오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8-202
    • /
    • 2018
  • '용아'는 목이버섯 국내 수집 자원인 JNM21008과 JNM21013의 단포자 교배를 통해 2014년 전남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품종이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자실체 특성 및 생산력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2014년 갓 모양은 파도형으로 진한 흑갈색이며 연락맥은 갈회색을 띤 흑목이버섯을 최종 선발하였으며 2015년 품종보호출원, 2018년 품종보호등록하였다(제169호). '용아'의 재배적 특성과 수량성은 다음과 같다. 배양기간은 대조품종보다 더 빠르며 초발이 소요일수 또한 10일로 대조품종보다 5일 정도 빨랐다. 톱밥 봉지재배 시 자실체 특성으로 갓색은 대조품종보다 더 진한 흑갈색이었으며 유효경수는 13개/0.9 kg로 많았고 갓 장경 9.7 cm, 단경 5.6 cm로 갓 크기는 큰 경향이었다. 배양기간은 $20^{\circ}C$에서 약 40일이며 발이 및 생육기간은 24일로 기존 품종보다 더 짧은 편이며 수량은 0.9 kg 봉당 291 g이었다. 교배모본과 대치선이 형성되었으며 모균주와 구별성을 보였다.

양송이 신품종 '단석1호'의 육성 및 특성 (The characterization of breeding of a new cultivar Agaricus bisporus 'Danseok-1ho')

  • 강민구;조우식;김우현;이문중;권태룡;신용습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5-179
    • /
    • 2018
  • 양송이는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버섯이다. 최근 갈색 계통의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단석1호'는 다포자임의재배법으로 육성되었으며, 국내 양송이 최초 재배지인 경주지역 단석산을 지명을 유래하여 명명되었다. 균사 생장적온은 $20{\sim}30^{\circ}C$이며, 버섯 발생온도는 $15{\sim}20^{\circ}C$이다. 갓 색깔은 중간정도의 갈색이며, 갓의 형태는 구형이다. 갓의 넓이는 45.1 mm, 두께는 23.5 mm이다. 경도는 $8,937g/{\Phi}5mm$이고, 갓의 색도는 L값이 50.4이다. 배양일수는 20일이면 가능하고, 복토 후 버섯의 발생은 18일 정도 소요된다. '단석1호'의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개별발생비율이 높기 때문에 수확중 버섯 손실이 적은 특성이 있다.

볼락 Sebastes inermis 치어의 암모니아 배설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Ammonia Excretion of Juvenile Dark-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 오승용;최상준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231-238
    • /
    • 2009
  • A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daily pattern and rate of total ammonia nitrogen (TAN) excretion in juvenile dark-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mean body weight: $14.8{\pm}0.3g$) under fasting and feeding conditions. Fish were acclimated over 10 days under three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15, 20 and $25^{\circ}C$). After 72 hours of starvation, fasting TAN excretion was measured at each temperature. To investigate post-prandial TAN excretion, fish were hand-fed with a commercial diet containing 47.7% crude protein for 7 days, two times daily at 09:00 and 17:00 hr. Water was sampled from both the inlet and outlet of each chamber every 2 hrs over a 24 hr period. Both fasting and post-prandial TAN excretion increased with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P<0.05). Mean fasting TAN excretion rates at 15, 20 and $25^{\circ}C$ were 8.1, 9.0 and 9.2 mg TAN kg $fish^{-1}h^{-1}$, respectively. The value of $15^{\circ}C$ was lower than those of 20 and $25^{\circ}C$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0^{\circ}C$ and $25^{\circ}C$ (P>0.05). Mean post-prandial TAN excretion rates at 15, 20 and $25^{\circ}C$ were 20.1, 22.9 and 23.4 mg TAN kg $fish^{-1}h^{-1}$, respectively. A peak post-prandial TAN excretion rate occurred after 12 hrs from the first feeding at $15^{\circ}C$ (mean 28.7 mg TAN kg $fish^{-1}h^{-1}$), $20^{\circ}C$ (33.7 mg TAN kg $fish^{-1}h{-1}$) and $25^{\circ}C$ (36.8 mg TAN kg $fish^{-1}h{-1}$), respectively. The TAN loss for ingested nitrogen at $15^{\circ}C$ (36.2%) was lower than that of $20^{\circ}C$ (40.8%) and $25^{\circ}C$ (41.7%). Based on overall results, water temperature exerts a profound influence on the nitrogen metabolism of juvenile dark-banded rockf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