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st-fed infants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6초

Platform Technology for Food-Grade Expression System Using the genus Bifidobacterium

  • Park, Myeong-Soo;Kang, Yoon-Hee;Cho, Sang-Hee;Seo, Jeong-Min;Ji, Geun-Eo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1년도 Proceedings of 2001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155-157
    • /
    • 2001
  • Bifidobacterium spp. is nonpathogenic, gram-positive and anaerobic bacteria, which inhabit the intestinal tract of humans and animals. In breast-fed infants, bifidobacteria comprise morethan 90% of the gut bacterial population. Bifidobacteria spp. are used in commericial fermented dairy products and have been suggested to exert health promoting effects on the host by maintaining intestinal microflora balances, improving lactose tolerance, reducing serum cholesterol levels, increasing synthesis of vitamins, and aiding the immune enchancement and anticarcinogenic activity for the host. These beneficial effects of Bifidobacterium are strain-related. Therefore continued efforts to improve strain characteristics are warranted. in these respect, development of vector system for Bifidobacterium is very important not only for the strain improvement but also because Bifidobacterium is most promising in serving as a delivery system for the useful gene products, such as vaccine or anticarcinogenic polypeptides, into human intestinal tract. For developing vector system, we have characterized several bifidobacterial plasmids at genetic level and developed several shuttle vectors between E. coli and Bifidobacterium using them. Also, we have cloned and sequenced several metabolic genes and food grade selection marker. Also we have obtained bifidobacterial surface protein, which will be used as the mediator for surface display of foreign genes. Recently we have succeeded in expressing amylase and GFP in Bifidobacterium using our own expression vector system. Now we are in a very exciting stage for the molecular breeding and safe delivery system using probiotic Bifidobacterium strains.

  • PDF

Physicians' Understanding of Nutritional Factors Determining Brain Development and Cognition in the Middle East and Africa

  • Vandenplas, Yvan;Rakhecha, Aditya;Edris, Amira;Shaaban, Bassel;Tawfik, Eslam;Bashiri, Fahad A.;AlAql, Fahd;Alsabea, Hassan;Haddad, Joseph;Barbary, Mohammed El;Salah, Mohamed;Abouelyazid, Mohamed;Kumar, Mudit;Alsaad, Sulaim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2권6호
    • /
    • pp.536-544
    • /
    • 2019
  • Purpose: Proper nutrition is essential for brain development during infancy, contributing to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cognitive, motor, and socio-emotional skills throughout life. Considering the insufficient published data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experts drafted a questionnaire to assess the opinions and knowledge of physicians on the impact of nutrition on brain development and cognition in early life. Method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parts: The first focused on the responders' demographic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econd questioned the role of nutrition in brain development and cognition.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summariz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and their responses to questions. Results: A total of 1,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994 physicians responded. The majority of the surveyed physicians (64.4%) felt that nutrition impacts brain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0-4 years), with almost 90% of physicians agreeing/strongly agreeing that preventing iron, zinc, and iodine deficiency would improve global intelligence quotient. The majority of physicians (83%) agreed that head circumference was the most important measure of brain development. The majority of physicians (68.9%) responded that the period from the last trimester until 18 months postdelivery was crucial for brain growth and neurodevelopment, with 76.8% believing that infants breast-fed by vegan mothers have an increased risk of impaired brain developme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racticing physicians significantly agree that nutri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brain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 in early childhood, particularly during the last trimester until 18 months postdelivery.

모유 섭취 신생아 유래 Lactobacillus acidophilus에 의한 Conjugated Linoleic Acid 생성 (Produc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Isolated from Breast-Fed Infants)

  • 박정규;송원호;홍성문;김철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80-586
    • /
    • 2008
  • 본 연구는 모유를 섭취하고 있는 생후 7일 이내의 신생아로부터 분리 및 선발된 L. acidophilus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CLA를 천연적으로 생산하는 젖산균을 Screening하고 선정된 L. acidophilus에 의한 CLA의 최적 생성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9종의 L. acidophilus를 LA가 $200{\mu}g/mL$의 수준으로 각각 첨가된 MRS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48시간 배양한 후 L. acidophilus의 균체 세포막 내에서 형성된 cis-9, trans-11 CLA 함량과 배지 내 유리화된 cis-9, trans-11 CLA 함량을 측정한 결과, 생균수는 대부분 $10^8\;CFU/mL$ 수준이었으며 균체 내로 전환된 cis-9, trans-11 CLA는 검출되지 않거나 매우 미량 존재하였다. MRS 배지 내 유리화된 cis-9, trans-11 CLA는 전 시험 균주를 통해 생성되었으며 상대적으로 균체 내 생성량 보다 높게 나타났고, L. acidophilus NB 203과 NB 209의 생성량이 $26-27{\mu}g/mL$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동일한 조건으로 8% 탈지유 배지에 실험한 결과 배양 24시간째의 생균수는 $10^8\;CFU/mL$ 수준이었고, MRS 액체 배지에서의 결과와 유사하게 균체 세포막 내로 incorporation된 cis-9, trans-11 CLA는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거나 매우 미량 존재하였으며, 반면 탈지유 배지 내 유리 cis-9, trans-11 CLA는 전 시험 균주를 통해 생성되었고 상대적으로 MRS 액체 배지에서의 생성량 보다 높았으며, 그 중 L. acidophilus NB 203 및 NB 209의 배양액 내 cis-9, trans-11 CLA 생성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험 균주 중 cis-9, trans-11 CLA 생성능이 다른 균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난 L. acidophilus NB 203 및 NB 209를 8% 탈지유 배지에 LA 첨가량 및 배양시간을 달리하여 최적 조건을 설정하였으며, 두 시험 균주 모두 LA 첨가에 의한 증식억제 현상은 배양 48시간까지 $1.000{\mu}g/mL$ 첨가 수준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3,000{\mu}g/mL$ 첨가 시 미약하게 나타났다. 배양시간대 별 cis-9, trans-11 CLA 생성량은 두 시험 균주 모두 배양 24시간 이전의 대수증식 기에서 주로 증가하였으며, 배양 24시간 이후부터 생성량이 유지되거나 미량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의 첨가농도 별 cis-9, trans-11 CLA 생성에 있어 두 시험 균주 모두에서 LA 첨가량이 $1,000{\mu}g/mL$ 수준일 때 cis-9, trans-11 CLA 생성량이 가장 높았으나 $500{\mu}g/mL$ 첨가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특히 첨가량을 $3,000{\mu}g/mL$ 수준으로 높여도 $1,000{\mu}g/mL$ 수준일 때와 유사하거나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 실험 균주의 최적 LA 생성조건은 탈지유 배지에 LA를 $500{\mu}g/mL$ 수준으로 첨가하여 $37^{\circ}C$에서 24시간 배양시로 나타났다.

모유의 철분,아연 및 구리 함량과 모유 영양아의 모유와 미량원소 섭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ron, Zinc and Copper Contents in Human Milk and Trace Element Intakes of Breast-fed Infants)

  • 최미경;안흥석;문수재;이민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5호
    • /
    • pp.442-449
    • /
    • 1991
  • 한국인 수유부 21명 의 모유에 함유된 철분, 아연, 및 구리의 함량을 경시적으로 초유부터 12주의 성숙유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세분하여 비교 검토하고, 생후 6~7주 된 14명의 모유영양아에 대한 1일 모유 및 미량원소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모유에 함유된 이 세가지 미량원소들의 함량은 수유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 하였으며 모유의 평균 철분 함량은 초유에서 0.33$\mu\textrm{g}$/$m\ell$, 이행유에서 0.31$\mu\textrm{g}$/$m\ell$ 그리고 성숙유에서 0.2$\mu\textrm{g}$/$m\ell$이었고, 아연 농도는 각각 4.15$\mu\textrm{g}$/$m\ell$, 3.51$\mu\textrm{g}$/$m\ell$과 2.8$\mu\textrm{g}$/$m\ell$이었으며 초유와 이행유 그리고 성숙유의 평균 구리 농도는 각각 0.21$\mu\textrm{g}$/$m\ell$, 0.34$\mu\textrm{g}$/$m\ell$ 및 0.26$\mu\textrm{g}$/$m\ell$로 측정 되었다. 모유영양아의 평균 1일 모유 섭취량은 768g이었으며 모유를 통한 미량원소의 1일 평균 섭취량은 철분 0.19mg, 아연 2.10mg, 그리고 구리는 0.15mg 이었다. 앞으로 수유기간에 따른 모유내 미량원소 함량의 감소가 영아의 성장 발달 및 급식과 어떻게 관련되는가에 관한 연구와, 모유 영양아와 인공 영양아의 체내 미량윈소 영양 상태 비교가 이루 어져야 하겠으며 한국인 영아를 위한 영양 권장량은 성장이 양호한 모유 영양아의 영양소 섭취량을 기준하여 책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본다.

  • PDF

영유아 어머니의 모유수유에 대한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Study on Recognition and Practice of Breastfeeding of mothers of under toddler)

  • 송지호;김순애;문영수;박영주;백승남;변수자;이남희;조결자;조희숙;최미혜;최양자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3-165
    • /
    • 1993
  • This study presents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Seoul area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s to determine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practice of breast-feeding. The subjects were mothers of 255 childs 1-36 months of age who have experienced breast feeding over one month. Recognition of breastfeed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aby's health",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infant", "mother's health", "for economic reasons". The majority of mothers got information of breastfeeding through booklets(64.7%), from her mothers(44.7%), through T.V or Radio (45.5%), School education(41.6%) from mother in law(36.5%), and did not perceive professional advice from nurses or doctors as important. "Lack of milk" was the predominant reason for for terminating breastfeeding. Efforts for practice of breastfeeding was comparatively high because of experienced mothers of breastfeeding. Some of them were "frying to take liguid diet and nurtitional food for increasing secretion of milk", "fed on by infant-demanded schedule". Duration of breastfeeding was under on month (31.0%), 1-3 months(25.5%), 3-6 months(19.6%), 6-9 months (11.0%). Degree of recognition and practice of breastfeed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location of delivary(big hopital), Rooming in, over 5 months of breastfeed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effective and supportive breastfeeding program developed by nurses have to provide to mothers of infants to take an important role in breastfeeding.

  • PDF

ʟ-Carnitine, pyridoxine hydrochloride, ᴅʟ-α-tocopheryl acetate를 이용한 분유모델시스템의 마이얄반응생성물 저감화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Anti-glycation Effect of ʟ-Carnitine, Pyridoxine Hydrochloride and ᴅʟ-α-Tocopheryl Acetate in an Infant Formula Model System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정혜림;남미현;홍충의;표민철;오준구;김용기;최유영;권정일;이광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95-102
    • /
    • 2015
  • 본 연구는 분유모델시스템에 $\small{L}$-carnitine, pyridoxine hydrochloride, $\small{DL}$-${\alpha}$-tocopheryl acetate를 첨가하여 Maillard 반응에 의해 생성된 MRPs를 저감화 시키기 위한 최적조건을 찾기 위해 RSM의 CCD를 이용하였다. $\small{L}$-Carnitine ($X_1$), pyridoxine hydrochloride($X_2$), $\small{DL}$-${\alpha}$-tocopheryl acetate ($X_3$)의 농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형광도와 HMF 함량을 종속변수로 각각 설정하였다. 종속변수 회귀식의 결정계수($R^2$)는 각각 0.942, 0.861로 반응표면분석 모델에 적합하였다. 형광도와 HMF 함량은 $\small{L}$-carnitine과 pyridoxine hydrochloride의 농도가 낮을 때 $\small{DL}$-${\alpha}$-tocopheryl acetate의 농도가 감소할수록 그 값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small{L}$-Carnitine의 농도가 높을 때 pyridoxine hydrochloride의 농도가 $20{\mu}M$ 이하로 감소할수록 형광도가 감소하였고 HMF 함량은 $\small{L}$-carnitine의 농도에 관계없이 pyridoxine hydrochloride의 농도가 $20{\mu}M$ 이하로 감소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실험에서 분유모델시스템에서 생성된 MRPs를 저감화 할 수 있는 최적조건으로 $\small{L}$-carnitine, pyridoxine hydrochloride, $\small{DL}$-${\alpha}$-tocopheryl acetate의 농도는 각각 2.26, 15.77, $20.63{\mu}M$이었다. 이때 형광도는 77.4%였고 HMF 함량은 248.7 ppb로 각각 유단백질-유당 마이얄 반응생성물(LC, lactose+sodium caseinate)대비 MRPs를 22.6, 23.1% 감소시킬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RSM을 통해 찾은 최적 조건의 실험값으로 형광도는 79.3%였고 HMF 함량은 247.6 ppb로 각각 LC대비 MRPs를 20.7, 17.8% 감소 시켰다. 따라서, $\small{L}$-carnitine, pyridoxine hydrochloride, $\small{DL}$-${\alpha}$-tocopheryl acetate의 최적화된 혼합을 통하여 분유 제조 시 MRPs 생성을 저감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아청소년 비만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서정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2호
    • /
    • pp.1311-1320
    • /
    • 2009
  • 소아청소년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가정에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부모가 모범을 보여야 하며, 태아기부터 영아기, 걸음마기에 올바른 음식섭취와 생활습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양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요약하였다. 건강한 생활습관 1) 일상생활에서 부지런히 움직인다. 계단으로 올라가기, 학교나 학원을 빠른 걸음으로 걸어가기, 텔레비전 시청 시 제자리 걷기나 스트레칭하기, 심부름하기, 틈만 나면 몸을 부지런히 움직이기, 밥 먹고 바로 눕지 않기, 누워서 텔레비전 보지 않기, 식탁에서만 먹기 등이다. 2) 매일 30-60분 이상 활동한다. 운동은 이상적으로는 매일 60분 이상 하여야 하지만 따로 시간내기가 어려울 때에는 10-15분씩, 2-3번 이상 일과 중에 틈틈이 운동한다. 3) 텔레비전 시청과 컴퓨터 사용시간을 2시간 이하로 한다. 4) 가족이 함께하는 즐거운 운동을 계획한다. 5) 고지방 고탄수화물 음식을 제한한다. 통곡물, 살고기를 선택하며, 달콤한 탄산음료나 과일향 음료보다는 물과 저지방 우유(하루 400 mL)를 권한다. 6) 식사 때가 되어서 먹는 것이 아니라 배고플 때 천천히 먹는다. 7) 식사는 가족과 함께 즐겁게 천천히, 여러 종류의 식품을 골고루 먹는다. 행동 변화에 중점을 둔 개인적인 비만 중재나 가족과 지역사회의 노력만으로는 비만 유병율을 변화시키는 데 제한이 있다. 비만의 유병율을 감소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비만의 근본적인 예방이다. 국가와 지역사회에서 더 높은 단계에서, 정책적으로 비만의 근본적인 예방을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병원, 학교를 연계하는 대단위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소아 영양 및 유아식 응용을 위한 신바이오틱스의 잠재력: 총설 (Potentials of Synbiotics for Pediatric Nutrition and Baby Food Applications: A Review)

  • 정후길;김선진;석민정;차현아;윤슬기;이나현;강경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11-118
    • /
    • 2015
  •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및 신바이오틱스 등의 물질과 미생물을 조제분유에 강화하여 건강증진 기능성 유산균, 특히 비피더스균과 유산간균의 성장을 선택적으로 자극함으로써 장내균총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모유 수유가 장내균총에 미치는 유용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서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를 함유하는 새로운 신바이오틱 조제분유가 제안되었다. 새로운 신바이오틱스는 상승 효과로 인해서 프로바이오틱스 및 프리바이오틱스를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 더 도움이 되는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조제분유 및 건조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가공 기술 및 저장 조건 등이 프로바이오틱스의 생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충분한 유산균수($10^8cfu/g$)로 장내 예정된 부위에 도달하여 숙주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식품 제조공정 및 위장관 통과 시 프로바이오틱스의 생존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며, 높은 생물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물질을 이용하여 적절하고 비용 효율적인 마이크로캡슐화 기술이 개발되면 조제분유의 품질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복합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하나는 살아 있는 생균체가 장내균총에 유익하게 영향을 미쳐 면역조절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사균체가 항-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다. 최근에, 사균체 또는 정제되지 않은 미생물 분획물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명확하게 정의할 새로운 용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 결과, 충분한 양을 경구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했을 때 인간과 동물에게 이로운 작용을 하는 사균체(손상되지 않거나 또는 파손된)나 정제되지 않은 세포 추출물(즉, 복잡한 화학적 조성)을 정의하기 위해 paraprobiotics라는 용어가 제안되었다. 프로바이오틱 균주 또는 프리바이오틱스를 조제분유에 강화했을 때 조제분유 수유아의 분변 미생물균총이 조정된다. 즉, 비피더스균 및 유산간균과 같은 건강 유익한 세균을 증가 시킴으로써, 프리바이오틱스는 분변 미생물균총의 조성을 변경하고, 이에 따라서 면역계의 활성을 조절한다. 따라서, 품질 향상을 위한 조제분유의 개발은 토착 장내균총의 대사 활성과 증식을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비피더스균 등의 특정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눌린과 올리고당 등의 프리바이오틱스를 사용하여, 모유의 건강 유용 효과와 유사하게 접근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