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ds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5초

우엉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Burdock (Arctium lappa L.) Powder)

  • 태미화;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26-1831
    • /
    • 2015
  • 기능성 소재로서 우엉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제빵 시최적 첨가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우엉 분말을 밀가루 대신 5, 10, 15%의 비율로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면서 우엉 분말이 제빵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우엉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밀도는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반죽의 pH는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식빵의 굽기손실률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 crust의 L, a 값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Crumb의 L값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 b 값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식빵의 경도, 씹힘성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부서짐성, 탄력성, 응집성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식빵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페놀 함량은 우엉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 결과 색, 향미, 단맛에 대한 기호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촉촉한 정도, 구수한 맛, 씹힘성은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우엉 분말 5% 첨가구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HPMC, MC, sodium alginate 등의 검류가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Containing HPMC, MC, and Sodium Alginate)

  • 김미영;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78-283
    • /
    • 2009
  • HPMC, MC, SA 등의 검류를 밀가루 중량대비 0.5% 첨가하였을 때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빵의 수분함량, 수분활성도, 냉각손실, 부피, 레올로지, 관능검사 등을 조사하였다. 빵의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는 검류 중 HPMC를 첨가한 경우 가장 높았고, 냉각 손실률은 HPMC를 첨가한 경우 가장 적어 대조구와 2.4% 차이가 있었다. 부피는 SA를 첨가한 경우 $2,560{\pm}24$ mL로 가장 컸으며, 레올로지 특성에서 경도와 max G는 HPMC를 첨가한 경우 가장 낮아 부드러웠고, 탄력성은 SA를 첨가한 경우 가장 컸다. 관능검사에서 HPMC를 첨가한 경우 점수가 높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SA를 첨가하였을 때 식빵의 부피와 탄력성이 HPMC를 첨가하였을 때 보다 높았으나, 수분함량, 수분활성도, 및 관능검사 등의 결과는 HPMC 첨가 구에서 높았으며, 냉각손실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HPMC를 첨가하는 것이 식빵의 품질 개선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한 Sourdough Bread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made with Kamut Sour Starter)

  • 최재현;김은지;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17-133
    • /
    • 2016
  • 본 연구는 카무트 사워종 제조 방식을 달리하여 제조한 사워도우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반죽의 pH와 발효율, 비용적, 영상분석, 수분함량, 색도, TPA, 저장성,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반죽의 pH의 경우,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함으로써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pH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발효율 측정을 통해 사워종을 첨가한 시료의 발효가 대조구보다는 다소 느리지만, 대조구와 동일한 부피만큼 팽창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용적과 영상분석 결과, 사워종을 첨가한 실험구가 CON보다는 다소 작은 부피를 가지며, 실험구 중에서도 TM과 CM의 부피와 비용적이 유의적으로 낮음을 확인하였다. 수분함량은 사워종의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최종 제품의 수분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Pool의 수분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도 분석 결과, 카무트 자체의 색으로 인해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한 실험구에서 다소 어두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PA과 저장성 측정 결과, 시료 제조 24시간 후 시료의 경도는 CON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으나, 72시간 경과할 때는 Pool과 CON은 유의적인 경도 차이가 없어짐을 확인하였다. 관능검사 중 기호도 검사 결과, 실험구 중에서는 이스트가 소량 첨가된 Pool과 Biga가 높은 평가를 받았고, TM과 CM은 전체적 기호도에서 좋지 않게 나타났다. 특성 차이 검사결과, 카무트 사워종을 첨가함으로써 부피는 다소 감소하지만, 빵의 속질과 껍질 색은 더 진해지며, 신맛과 곡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인 품질특성 결과와 관능검사 결과에 따르면, Poolish의 형태로 카무트 사워종을 제조하는 것이 사워도우 빵의 품질과 기호도 측면에서 최적으로 여겨진다.

냉동생지 제조시 검류의 첨가가 제빵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ums Added in Making Frozen Dough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making)

  • 이종민;이명구;이시경;조남지;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0-194
    • /
    • 2001
  • 냉동반죽의 동해방지제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반죽제조시 xanthangum, guargum, ${\kappa}-carrageenan$을 각각 첨가하여 12주 동안 냉동저장 하면서 이들을 이용하여 빵을 제조하고 수분함량의 변화, 관능검사 및 경도변화를 조사였다. 냉동 저장 기간에 따른 빵의 비용적은 저장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비용적 감소현상은 대조구에서 더 높았다. 빵의 비용적과 경도 변화는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비용적이 가장 낮았던 대조구의 경도가 가장 높았으며, ${\kappa}-carrageenan$을 첨가한 빵의 경도가 가장 낮았다. 또한 ${\kappa}-carrageenan$이 수분보유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빵의 노화지연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 1주간 냉동 후에는 대조구와 검류를 첨가한 빵의 외관, 색상 및 조직감 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냉동 4주와 12주에는 검류를 첨가한 빵의 관능 특성이 대조구에 비해 좋았으며, 특히 ${\kappa}-carrageenan$을 첨가한 제품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꽈배기 모자반 추출물 첨가에 의한 빵의 저장성 및 품질 증진 효과 (Effect of Extracts from Sargassum siliquastrum on Shelf-life and Quality of Bread)

  • 이소영;김꽃봉우리;송유진;김진희;김아람;김미정;문지혜;강희문;이호동;홍용기;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90-496
    • /
    • 2008
  • 꽈배기 모자반 추출물을 0.01%, 0.1%, 1% 농도로 첨가하여 이들이 모닝빵의 저장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9일간 저장하며 일반 세균수와 곰팡이수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생물의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수분함량의 변화에 있어서는 꽈배기 모자반 추출물 처리구가 약 $5{\sim}6%$ 정도의 변화를 보인 반면 무처리구는 13% 정도의 큰 변화 폭을 보였다. 색도의 경우에는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적색도는 이와 반대로 첨가 농도에 의존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는 전체적인 호감도에서 0.01%와 0.1% 첨가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1% 첨가구에서는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꽈배기 모자반 추출물을 0.1%정도 첨가할 경우 빵의 저장성, 품질 증진 및 관능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초와 강황 추출물 첨가에 의한 식빵의 저장성 및 품질 증진 효과 (Effect of Extract from Glycyorrhiza uralensis and Curcula longa on Shelf-life and Quality of Bread)

  • 이소영;최정수;최미옥;조선희;김꽃봉우리;이우헌;박선미;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912-918
    • /
    • 2006
  • 감초와 강황 물 추출혼합물을 0.5%, 1%, 5%농도로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성은 추출 혼합물 5%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약 24시간정도 연장되었으며, 산화도는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있어 산화방지에도 효과가 있었다. 수분함량의 변화에 있어서는 추출혼합물 처리구가 약 4%정도의 적은 변화인 반면 무처리구는 16%정도로 그 변화폭이 컸다. 색도의 경우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명도와 적색도는 감소하였으며,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전체적인 호감도에서 0.5%와 1% 첨가구와 무처리구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5% 첨가구는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감초와 강황 추출물을 1%정도 첨가할 경우 저장성, 품질증진 및 관능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를 첨가한 식빵의 제조 및 관능적 특성 (Prepar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 Traditional Korean Medicinal Plant))

  • 박나영;이신호;김석중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37-643
    • /
    • 2010
  • 오미자 과육의 건조 분말, 착즙액 건조분말 및 95% 에탄올추출 농축물을 식빵 제조 시 각각 밀가루 대비 0.5% (w/w)로 첨가하여 대조구와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반죽과 식빵의 pH는 3가지 형태의 모든 오미자 첨가구에서 감소하였고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는데 과육 및 착즙액 분말이 에탄올추출 농축물보다 더 효과가 컸다. 반죽의 발효 팽창능은 과육 분말 및 에탄올추출 농축물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굽기손실율은 모든 오미자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식빵 표면의 색도분석 시 명도 (L) 값은 착즙액 분말과 에탄올추출 농축물 첨가구에서 증가하였으나 적색도 (a) 및 황색도 (b) 값은 모든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식빵 내부의 경우, a 값은 모든 오미자 첨가구에서, b 값은 에탄올추출 농축물 첨가구에서 증가하였으나 L 값의 변화는 없었다. 맛, 풍미, 색상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고려한 관능검사 결과, 오미자 과육 분말 첨가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착즙액 분말 및 에탄올추출 농축물 첨가구의 경우는 대부분의 지표에서 점수가 낮았다.

대구.경북지역 대학생의 식품 표시에 대한 인식 및 가공식품 소비 실태 (Perception and Consumption Status of Food Labeling of Processed Foods among College Students in Daegu.Gyeongbuk Area)

  • 박어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71-680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nsumption realities of processed food and the perception of food labeling with targets of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schools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The reason for buying processed food was because it is easy to cook. As for the number of using processed food, it was answered that everyday dairy products, noodles, breads and snacks for 3~4 times a month, and meat processed foods, canned foods, sauces and frozen foods for 2~3 times a month. With regard to selecting processed products,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nswered with taste and price first, barely considering the safety and nutritional elements. It turned out that they check the price, expiration date and country of origin in order upon buying processed foods. Most of them recognized food labeling, but answered that they checked it sometimes in order to check the 'expiration date' and the 'calories'. They were aware of the food nutritional contents indication. It was turned out that male students check it for nutrients and female students for weight control. The effect of the processed food indication was that it is easy to choose the necessary foods for health and as well as for comparing the food with other products. The satisfaction of the food labeling system was medioc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od indication system needs to be educated or promoted.

백련초분말과 승검초분말 첨가에 따른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Angelica plant (Bakluncho) and Angelica Gigas (Senggumcho) Powders)

  • 전은례;박인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63-169
    • /
    • 2006
  • The effects of adding Angelica plant (Bakluncho) and Angelica gigas (Senggumcho) powd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rude protein, ash, reducing sugar and vitamin C contents of Angelica plant (Bakluncho) powder were 7.78%, 6.07%, 7.37%, 6.13% and 50.10mg%, respectively, and of Angelica gigas (Senggumcho) powder were 8.69%, 12.28%, 5.15%, 2.21% and 108.00mg%, respectively. The lightness value decreased but the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Angelica plant (Bakluncho) and Angelica gigas (Senggumcho) powders. The mechanical hardness of bread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3% of Angelica plant (Bakluncho) powder, but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1% and 5% of Angelica plant (Bakluncho) powder. The mechanical hardness of bread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1%, 3% and 5% of Angelica gigas (Senggumcho) powder. In sensory characteristics, the crust color, crumb color, moistness and springiness decreased, but aroma and hardnes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Angelica plant (Bakluncho) and Angelica gigas (Senggumcho) powders. The savory taste and overall quality of breads with 1% Angelica plant (Bakluncho) and 1% Angelica gigas (Senggumcho) powders were higher than without either powder.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mechanical hardness and overall bread quality with the addition of Angelica plant (Bakluncho) powder, while a positive correlation (p<0.01) was observed with the addition of Angelica gigas (Senggumcho) powder.

녹차.홍차가루 첨가가 빵의 저장 중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een and Black Tea Powder on the Quality of Bread during Storage)

  • 박영숙;박강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05-314
    • /
    • 2001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ed green tea and black tea powder on the quality of bread during storage. Tea bread was prepared with 0.1% and 2% concentration of green tea (GT) and black tea(BT) powder. The crude fat contents of GT 2% group and BT 2%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GT l% group and BT l% group. The loaf weight of the control group was the lowest and its loaf volume was the highest. Especially, GT 2% group had the lowest loaf volume. The internal lightness value of control group was the highest. the redness value of BT 2% group and the yellowness value of GT 2% group were the highest. GT 2%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ardness and gumminess and BT l% group was higher in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After 5 day storage, the retrogradation of GT 2% group was the highest and that of BT 2% group was the lowest among groups. After 5 day storage. pH. titratable acidity and total colony count of GT 2% group was the lowest and those of control group was the highest. The sensory score of control, GT l% and GT 2% group were evaluated higher than others. The shelf-life of tea breads were prolonged to 1~3 days by adding green tea powder and black tea powder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ut It must be considered the way to increase the quality of bread in loaf volume and retrograd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