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 extract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34초

미강·황칠 발효추출물이 B16F10 세포의 미백에 미치는 효과 (Study of Fermentation Extract Made from Rice Bran and Dendropanax on the Whitening Effects in B16F10 Cell Line)

  • 최찬헌;안정은;정현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01-30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whitening effects of fermentation extract made from the Rice bran and Dendropanax(FRD) Fermenta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1) Dendropanaxand and Rice bran were blended in a ratio of 1 to 1, 2) a weight of sugar was 10% of the total weight, 3) an amount of enzyme was 0.1%, and 4) a temperature was 20℃. It has been fermented for 90 days. In order to observe the whitening effects of FRD, the author measured the cell viability and the inhibition rate of the melanin biosynthesis, the activity of tyrosinase and SOD (superoxide dismutase) in malignant melanoma, B16F10 cells. As a result, FRD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ell viability of B16F10 in more than 500 ㎍/㎖. FRD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generation of melanin, and that induced by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in more than 1,000 ㎍/㎖. FR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ctivity of tyrosinase and that induced by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in more than 500 ㎍/㎖. FRD did not changed the activity of SOD in dose dependent manner. Therefore, the author considered that the fermentation extract made from a Rice bran and Dendropanax will be able to produce high value-added products, if used as a commercial. Therefore, the author considered that the fermentation extract made from a Rice bran and Dendropanax will be able to produce high value-added products, if used as a commercial.

쌀겨 추출물로부터 스핑고당지질의 분리와 구조결정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jor Glycosphingolipid from Rice Bran Extract)

  • ;;강병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72-76
    • /
    • 2007
  • 대표적인 스핑고지질인 글리코실세라미드의 생리적 기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쌀겨 추출물로부터 cerebroside를 분리하였다. 정제하지 않은 글리코실세라미드를 flash system 칼럼으로 분리한 후 ELSD를 검출기로 사용하여 순상 HPLC로 정제하였다. 클로로포름 : 메탄올 : 증류수(99:11:1, v/v/v)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주요 cerebroside를 얻을 수 있었고, MALDI/TOF-MS, FAB-MS, GC, 600MHz $^1$H-NMR로 구조를 분석하였다. 구성당은 글루코오스였고 cerebroside의 구성 지방산은 2-hydroxy-arachidic산이었다. 장쇄 염기는 sphinga-4,8-dienine이었다.

도정부산물로부터 분리한 보리 폴리페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Barley Polyphenol Extract (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 석호문;서미숙;김흥만;안명수;이영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89-892
    • /
    • 2002
  • 보리 도정부산물은 맥강과 배아 획분으로부터 항상화 효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폴리페놀성 물질(barley polyphenol extract: BPE)을 분리하고 이들 획분을 linoleic acid를 사용한 모델계와 옥배유를 기질로 한 유지의 자동산화를 통하여 이들의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TBA가 측정결과 bran III의 BPE는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다른 획분 특히 bran I과 배아 획분의 경우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지의 자동산화에 대한 BPE의 항산화효과를 과산화물가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저장 초기 10일에서 15일 까지는 첨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alpha}-tocopherol$ 및 BHT와 유사하거나 다소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20일 이후부터는 첨가농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40\;meq/kg{\cdot}oil$에 도달하는 기간을 유도기간으로 정하고 유도기간에 따른 상대적 항산화효과(RAE)를 측정한 결과 bran I과 배아 획분의 BPE를 0.02% 첨가시 RAE값은 각각 128 및 126이었고 0.1% 첨가시에는 135 및 133으로서 첨가량의 변화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BHT의 126보다 높게 측정되어 이들 획분은 향후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Beneficial Effects of Oat (Avena sativa L.) Bran Extract in Loperamide-induced Constipated SD Rats

  • Lee, Sung-Gyu;Jang, Hyun-Joo;Kang, 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07-210
    • /
    • 2016
  • The efficacy of extracts of oat (Avena sativa L.) bran i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SD rats was evaluated. The ra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of five rats each. The animals in Group 1 (control) and Group 2 (constipated control) were administered with distilled water orally. Groups 3, 4 and 5 comprised of constipated rats administered 100, 200 and 300 mg/kg body weight per day of extract of oat (Avena sativa L.) bran respectively while Group 6 were constipated rats administered bisacodyl (0.25 mg/kg body weight). Constipation was induced by oral administration of loperamide. The feeding characteristics, body weight, fecal properties were monitored. The results show that oats (Avena sativa L.) bran possesses laxative effects in loperamide-induced constipated rats.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 in Soybean and Rice Bran Oils

  • Kim, Chang-Soon;Park, Jae-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2호
    • /
    • pp.151-156
    • /
    • 2002
  • Antioxidant activity or green tea extracts (GTE) was evaluated in soybean oil (SBO), rice bran oil (RBO) and winterized rice bran oil (WRBO) stored at 63$^{\circ}C$ for 36 days. Lipid oxidation of the oils was determined using the active oxygen method (AOM), peroxide value (POV), change in unsaturated free fatty acid concentrations and by sensory evaluation. SBO had a higher concentration of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inoleic and linolenic acid than RBO and WRBO. WRBO and RBO were more stable against lipid oxidation than SBO. Addition of GTE (200 ppm) to the stored oils, increased the induction period (IP) in AOM, reduced the increase in POV, and lessened the change in unsaturated fatty acids. Furthermore, GTE prevented the development of rancid flavors resulting from storage, all of which demonstrate the protective antioxidative activity of GTE. However, oil color became darker in the GTE treated oils. The antioxidant protection of GTE was most effective in RBO.

Microwave처리에 의한 쌀 가공 부산물의 항산화능의 변화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Processed By-products)

  • 배성문;김정한;조철우;정태춘;하정욱;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26-1032
    • /
    • 2001
  • Microwave 처리가 쌀가공 부산물로 발생하는 왕겨와 미 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00 W, 200 W, 440 W의 출력으로 microwave를 처리하였을 때, 출력과 처리시간에 비례하여 갈변을 나타내는 색도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왕겨와 미강의 전자공여능은 조사된 범위 내에서 microwave처리에 대해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활성산 소종($H_2O$$_2$,O$_2$$^{-}$, .OH)을 발생시켜 어유의 과산화에 대한 왕겨와 미강의 과산화 억제력을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왕겨가 미강보다 microwaye 처리에 안정함을 보였다 특히, $H_2O$$_2$에 대한 왕겨의 과산화 억제력은 미강에 비하여 매우 높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왕겨가 미강보다 항산화 물질을 많이 함유함으로써 미강보다 높고 안정한 항산화능을 나타내 고, 또한 microwave 처리로 인하여 항산화 물질이 일부 파괴되지만 항산화력을 가지는 갈변 반응 생성물이 생성되어 왕겨의 경우에는 microwave 처리에 대해 영향을 거의 받지 않 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microwave 처리 공정은 왕겨나 미강의 항산화능을 이용한 가공 방법에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Chemical composition of banana meal and rice bran from Australia or South-East Asia

  • Natalia S. Fanelli;Leidy J. Torres-Mendoza;Jerubella J. Abelilla;Hans H. Stein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10호
    • /
    • pp.1568-1577
    • /
    • 2023
  • Objective: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anana meal and rice bran from Australia or South-East Asia and test the hypothesis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rice bran produced in different countries, bu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full-fat and defatted rice bran. Methods: Two sources of banana meal and 22 sources of rice bran (full-fat or defatted) from Australia or South-East Asia were used. All samples were analyzed for dry matter, gross energy, nitrogen, amino acids (AA), acid hydrolyzed ether extract (AEE), ash, minerals, total starch, insoluble dietary fiber, and soluble dietary fiber. Banana meal was also analyzed for sugars including glucose, fructose, maltose, sucrose, stachyose, and raffinose. Results: Chemic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banana meal from the Philippines is primarily composed of starch. Full-fat rice bran from Australia had greater (p<0.05) concentrations of AEE, lysine, and glycine than samples from the Philippines and Vietnam. Full-fat rice bran from Australia and Thailand had greater (p<0.05) concentrations of gross energy and most AA than rice bran from Vietnam. Full-fat rice bran from Australia had greater (p<0.05) concentrations of tryptophan and manganese than all other sources, but full-fat rice bran from the Philippines contained less (p<0.05) zinc than all other sources of rice bran. Gross energy, AEE, and copper were greater (p<0.05) in full-fat rice bran compared with defatted rice bran, but defatted rice bran contained more (p<0.05) crude protein, ash, insoluble dietary fiber, total dietary fiber, AA, and some minerals than full-fat rice bran. Conclusion: Banana meal is a high-energy source tha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ingredient in livestock diets. Full-fat rice bran from Australia and Thailand contained more concentrations of AEE and AA than samples from the Philippines or Vietnam. Full-fat rice bran had more gross energy and AEE than defatted rice bran, whereas defatted rice bran contained more crude protein, ash, and total dietary fiber.

쌀겨발효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작용 (Bioactive Materi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Rice-bran Extract)

  • 안희영;최다정;김보경;이재홍;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14-1020
    • /
    • 2015
  • ㈜한국바이오솔루션에서 제공받은 쌀겨발효 추출물(Fermented Rice-Bran, FRB)과 현재 시판 중에 있는 제품의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Fermented Rice-Soybean, FRS)을 대조군으로 in vitro상에서의 이 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및 항산화작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flavonoid 함량을 측정하였고, 생리활성 및 항산화작용은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Fe/Cu 환원력, 간장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쌀겨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flavonoids 함량은 각각 19.92 mg/g과 11.56 mg/g으로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쌀겨발효 추출물은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능에서도 69.8%로 상당히 높은 소거율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 또한, 처리농도 증가와 함께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간장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통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확인한 결과, 쌀겨발효 추출물이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식품소재 개발을 위해 쌀겨발효 추출물의 생리활성물질과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추출방법에 따른 미강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 Bran Extract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함현미;우관식;이유영;박지영;이병원;최용환;김인환;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91-169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미강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고부가가치 소재개발을 목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추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용매 추출법, 검화 추출법 및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미강 생리활성물질 농축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ABTS 및 DPPH 라디칼 제거능, 환원력,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ABTS 및 DPPH 라디칼 제거능, 환원력 모두 unsaponifiable matter(USM)가 각각 671.7 mg TEAC/g, 330.7 mg TEAC/g 및 $A_{700}=1.1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지질과산화 억제능은 USM 및 supercritical fluid extract(SFE)가 각각 68.7% 및 75.4%로 methanol extract(ME)의 47.8%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검화 추출법으로 제조한 USM은 SFE 및 ME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미강을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추출 방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미강 생리활성물질 농축물은 기능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식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흑미의 도정분획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 공수현;최용민;이선미;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15-81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흑미 두 품종(흑진주벼와 흑광벼)의 도정 분획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흑미의 항산화 성분으로 polyphenolic, flavonoid, anthocyanin과 ${\gamma}$-oryzanol, tocopherol 및 tocotrienol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DPPH와 ABTS radical 제거능을 측정하였다. 각 도정 분획별 메탄올 추출물에서 rice bran 층에서 약 $15.3{\sim}15.5%$의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endosperm 메탄올 추출물에서 약 $0.9{\sim}1.1%$의 가장 낮은 수율을 보였다. 실험결과 rice bran의 추출물에서 endosperm, whole grain의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의 항산화 성분이 분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항산화 성분이 다량 분포하는 rice bran 추출물의 우수한 항산화력을 측정할 수 있었다. 품종 간에는 흑진주벼의 rice bran층의 항산화 성분이 흑광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흑미의 rice bran은 기능성식품의 성분으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