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tle cultivation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39초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의 병재배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hellinus baumii Grown in Bottle)

  • 류영현;조우식;이진만;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1-104
    • /
    • 2004
  •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은 현재 원목재배가 주종을 이루는 있는데 자실체 생육기간이 길고 원목수급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톱밥의 경우 목재부산물로 다량 발생하고 있어 이를 활용한 톱밥병재배을 실시하였다.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의 톱밥병재배를 실시한 결과 참나무톱밥 + 미강(4 : 1)배지가 배양속도와 균사밀도는 가장 높았지만 자실체를 형성하지 못하였고 반면에 참나무톱밥 100% 배지는 균사밀도와 배양속도는 낮았지만 병배지에서 자실체를 형성할 수 있었고 850 ml병에 비해서 1,100 ml 병 처리가 수량성과 생체효율이 약간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원목재배와 병재배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ve of Grifola frondosa by log cultivation and bottle cultivation)

  • 김종봉;서혜영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5-19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잎새버섯에서 병재배와 원목재배에 따른 생리활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SOD 유사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 등을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40^{\circ}C$ 물에서 추출한 원목재배 잎새버섯의 $5.96{\pm}0.81mg/g$이 가장 높았고 총 페놀함량은 $40^{\circ}C$ 물에서 추출한 병재배버섯의 $44.53{\pm}0.89$mg/g이 가장 높았다.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자공여능은 BC-W40 잎새버섯 추출물의 $97.14{\pm}0.71%$가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소거능은 pH 1.2에서 BC-W40 잎새버섯 추출한 것의 $62.55{\pm}0.36%$가 가장 높았다. 가장 높은 SOD 유사활성은 LC-W40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의 $18.95{\pm}1.39%$였다. 잎새버섯의 Xanthine 저해 효과는 BC-W40 추출물 $54.13{\pm}0.40%$가 가장 높았고 그 효과는 농도에 비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잎새버섯이 우수한 항산화 기능이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잎새버섯의 생리활성들은 재배 방법에 따라 일정하지는 않았고 용매의 종류, 농도 및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도, 아질산소거능 등과 같은 생리작용 요인들에 따라 달랐다.

소규모 큰느타리 병재배 농가에서 버들송이 동시재배 방법 (Methods of Agrocybe cylindracea simultaneous cultivation for small scale bottle cultivation farmers of Pleurotus eryngii)

  • 정종천;이찬중;오진아;유영복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61-165
    • /
    • 2011
  • 소규모 병재배 농가는 대규모 농가에 비하여 생산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가격경쟁력이 낮다. 소규모 농가에서 인력의 존도가 높은 점을 활용하여 주 생산품목과 유사한 조건에서 동시에 재배가 가능한 다품목의 생산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큰느타리와 버들송이의 재배조건이 유사함을 토대로 공통의 배지를 선발하였다. 병재배용 자동입병기를 사용하여 배지를 충진하였을 때, 배지재료의 종류 및 혼합비율에 따라서 병내의 고상비율은 20~25% 범위로 차이가 있고, 배지의 수분함량 65%에서 액상비율은 38~45, 기상비율은 31~41까지 차이가 많았다. 배지의 최적 수분함량은 버섯 종류와 배지의 조성에 따라서 다른 경향이었다. 큰느타리의 경우 미송톱밥+미강 또는 미송톱밥+건비지 배지는 수분함량 70%, 미송톱밥+밀기울 배지는 65%, 미송톱밥+밀기울+건비지 배지는 67%에서 수량이 많았다. 버들송이는 공시배지 모두 수분함량 70%에서 수량이 많았다. 공시배지중 큰느타리는 미송톱밥+밀기울+건비지 75:20:5(v/v,%), 수분 67%; 버들송이는 미송톱밥+밀기울 75:25(v/v,%), 수분 70% 배지에서 자실체 수량이 많았다. 그리고 미송톱밥+미강+건비지 75:20:5(v/v,%), 수분함량 70% 배지에서 큰느타리와 버들송이는 배양기간, 버섯 발생 및 생육 환경이 비슷하여 공통의 재배용 배지로 사용하기에 알맞았다. 따라서 큰느타리가 주 품목인 소규모 농가에서 큰느타리용 배지의 일부에 버들송이 종균도 접종하여 동일한 재배환경에 안정적인 동시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느타리(Pleurotus pulmonarius) 병·봉지재배에 적합한 배지조성 연구 (Study on suitable substrate formulation for bottle and bag cultivation of Pleurotus pulmonarius)

  • 이재홍;이남길;박영학;문윤기;정태성;권순배;김재록;김진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75-279
    • /
    • 2014
  • 산느타리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배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미루나무톱밥, 면실피, 면실박, 비트펄프, 콘코브 등 5종을 혼합하여 혼합비율별 6처리로 시험을 수행하여 배지조성별 화학성분, 균사생장속도 및 수량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지조성별 화학성분 분석결과 pH는 대부분 pH 5.0 내외로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V배지의 경우 다른 조성에 비하여 pH와 유기물 함량에 있어 각각 5.52, 29.07%로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대질소비는 IV배지가 30.53으로 가장 높았고, I, V, VI배지가 25정도를 나타냈으며, II, III배지는 20.68, 22.12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시험관 칼럼배지를 이용해서 균사생장속도를 조사한 결과 균접종 28일 조사에서 향산 품종에서는 V배지가 105.0 mm로 가장 빠른 생장을 나타냈고, 호산 품종에서는 II번 배지가 114.3 mm로 가장 빨랐다. 병재배시 배지조성별 생육특성 조사결과 초발이소요일수는 3일, 생육일수는 4일로 모든 처리에서 동일하였고, 수량에 있어서는 호산품종의 경우 V배지가 병당 유효경수가 19.1개, 병당 수량이 198.4 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향산 품종에서는 IV배지와 V배지가 각각 유효경수 15.3개, 14.4개, 수량은 161.1 g, 163.1 g으로 비슷하였다. 봉지재배에서 호산품종의 경우 초발이소요일수는 IV배지가 7일로서 가장 빨랐고 다음이 V, VI배지로서 8일, 그 다음이 I배지 9일 순이었다. 향산 품종에서 초발이소요일수는 I배지가 6일로서 가장 빨랐고 다음으로 IV, VI, V배지 순이었다. 그리고 생육일수는 4내지 5일로서 품종별, 배지조성별 차이가 없었다. 수량특성 조사결과 호산 품종의 경우 I배지가 봉지당 435.7 g으로 가장 높았고, 향산 품종에 있어서는 V배지가 463.5 g으로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Bottle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Agrocybe aegerita and Ganoderma lucidum using Rice hull media

  • Lee, he-duck;Kim, hong-kyu;Kim, yong-gyun;Lee, ga-soo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44-46
    • /
    • 2001
  • Rice hull was used as a additive in order to find the effect for incresing of mushroom growth and yield in Chungnam Provincial techinical institution. 1 Treatment of 80% rice hull in small Neutaribeosut mycelial grow duration is shorter about 11 days and yield increased about 7% than conventional culture. 2. In case of Chongpung Neutaribeosut bottle culture, mycelial growth duration is shorter about two to three days in additive of 30 to 80% rice hull compared to conventional but yield similar to conventional. 3. Treatment of 30% rice hull in Agrocybe aegerita bottle culture, mycelial growth and yield increased 6days and 6% than convrntional, respectively 4 Treatment additived of 30% to 40% rice hull in Ganoderma lucidum bottle culture, similar to 454ays demand in mycelial grow duration and 38g yield/bottle in conventioal culture methods.

  • PDF

알바시아나무톱밥 첨가에 따른 병재배용 느타리버섯의 생육특성 (Effect of albasia sawdust in Pleurotus ostreatus by bottle cultivation)

  • 장명준;이윤혜;강영주;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1
    • /
    • 2014
  •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해 알바시아나무톱밥과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포플러톱밥, 미송톱밥이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톱밥재료별로 혼합하여 배지의 이화학성 및 수량성을 검토한 결과 재료별 일반성분 중 C/N은 미송톱밥에서 504로 가장 높았고, T-N은 알바시아나무톱밥에서 4.03%로 가장 높았다. 페놀계화합물의 경우 알바시아나무톱바에서 21.65%로 가장 높았다. 혼합배지에 따른 이화학성 중 pH는 처리구별 모두 5.1~5.2로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고, C/N범위는 처리구 모두 이와 대등한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 T2가 20으로 가장 작았다. 혼합배지별 경시적 균사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T1, T3 및 T4는 모두 대등한 경향이었으나 T2의 경우 배양일수가 25일로 가장 늦었다. 혼합배지별 생육특성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유효경수는 T2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등하였고, T2에서 가장 작았다. 알바시아나무톱밥을 기존의 미루나무톱밥이나 미송톱밥을 전량 대체할 수는 없었으나 기존 톱밥의 50%정도를 대체할 경우 수량과 회수율에서 모두 대등한 결과를 보였다.

유기산을 이용한 pH 조절 처리가 잎새버섯 자실체 발이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Acid Addition on Fruiting Productivity and Primordium Formation in Grifola frondosa)

  • 김정한;장명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33-240
    • /
    • 2019
  • 잎새버섯 안정생산을 위하여 배지의 pH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유기산을 이용한 pH 조절 및 적정 첨가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혼합배지에 4종의 유기산(구연산, 호박산, 사과산, 주석산)를 5수준(0.5, 1, 1.5, 2, 2.5, 3%)으로 처리하여 균사생장정도를 측정한 결과 유기산 0.5% 수준에서 균사생장이 빨랐으며, 그 중에서도 호박산이 가장 우수하였다. 유기산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혼합배지의 pH는 낮아지는 경향으로 배양기간 경과에 따라 대조구의 pH는 서서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 유기산 처리구는 유지되는 경향이었다. 발이율은 0.5%의 농도에서 호박산이 95%, 구연산 92.5%, 사과산과 주석산 80%로 대조구의 60%보다 우수하였다. 그러나 유기산의 농도가 1% 이상에서는 발이가 지연되거나 억제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배양기간은 유기산 0.5% 처리구가 30~34일로 대조구의 35일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재배기간은 0.5% 호박산이 52일, 0.5%의 구연산과 사과산이 54일, 0.5%의 주석산이 52일로 대조구의 59일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병당 수량성은 0.5%의 호박산과 구연산 첨가 시 각각 121 g, 107 g으로 가장 우수하였고 대조구의 87.5 g에 비해 21~37% 증수되었다.

노루궁뎅이버섯의 재배방법에 따른 수량성 (Effect of Different Cultivation Methods on Yield of Hericium erinaceus)

  • 장현유;노문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4호통권91호
    • /
    • pp.249-251
    • /
    • 1999
  • 노루궁뎅이버섯의 재배방법에 따른 수량은 병재배로 재배하였을 때 356 g/850 ml으로, 봉지(pot)재배하였을 때의 810 g/2500 ml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회수율은 병(850 ml)에 재배하였을 때 147.8%로 봉지(pot)에 재배하였을 때의 114.3% 보다 높았다 발이 유기시 균긁기는 하지 않은 것이 좋았으며 특히 병마개를 막아둔 상태에서 발이시키는 방법이 수량도 가장 많고 생물적 효율도 높았다. 노루궁뎅이버섯의 원목재배 수종은 참나무, 물오리나무, 포플러, 아카시나무 원목 순으로 좋았다. 참나무원목은 수량이 $1195.5\;g/0.1\;m^3$, 생물학적 효율이 17.3%, 초발이 소요일수는 69일, 개체중은 143 g이었다.

  • PDF

잎새버섯 병재배 시 배지조성비율에 따른 재배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fferent rates of substrate composition in bottle cultivation of Grifola frondosa)

  • 전대훈;김정한;이윤혜;최종인;지정현;홍혜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01-304
    • /
    • 2015
  • 본 연구는 잎새버섯 병 재배시 적합한 배지조성비율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배지조성은 참나무톱밥: 옥수수피: 건비지를 건물중량 비율로 T1처리(67:11:22), T2처리(68:15:17), T3처리(74:14:12)의 3처리를 두고 시험한 결과, 발이율은 T1처리에서 72.6%, T2처리에서 72.1%로 두 처리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T3처리에서는 65.8%로서 다른 두 처리에 비하여 낮았다. 이병률은 T2처리에서 4.1%, T3처리에서 3.7%인데 비하여 T1처리에서는 9.8%로 가장 높았다. 수확률은 T1처리에서 64.1%, T3처리에서 63.6%인데 비하여 T2처리에서는 70.5%로 가장 높았다. 병당 자실체 중량은 T1처리에서 85.5 g, T2처리에서 83.3 g으로 두 처리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T3처리에서는 72.4 g으로 다른 두 처리에 비하여 낮았다. 입병 수 10,000병 기준으로 재배 시 수량은 T2처리에서 587 kg으로 T1처리 및 T3처리에 비하여 각각 7% 및 28%가 높았다. 따라서 잎새버섯 병재배 시 적합한 배지조성비율은 건조중량비율로 참나무톱밥: 옥수수피: 건비지가 68:15:17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지버섯 다수확 생산을 위한 최적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high yield in the production of Ganoderma lucidum)

  • 김홍규;김용균;서관석;오세현;김홍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54-158
    • /
    • 2005
  • 참나무 톱밥에 3가지 첨가제 즉 미강, 밀기울, 콩비지가 부피 비율로 10, 20, 30% 첨가되었다. 다수확은 미강과 밀기울 20% 첨가시 그리고 콩비지 30% 첨가시 좋았다. 다양한 톱밥 재료 중 참나무 톱밥 단용 처리가 좋았고, 균배양 일수는 22일, 초발이 소요일수 11일, $1,200m{\ell}$ 병당 수량은 23.5g 수확되었다. 병의 크기에 따른 잡균 발생율은 $1,200m{\ell}$ 병이 5%로 가장 낮았다. 병 크기에 따른 생육특성에 있어, $1,600m{\ell}$ 병 재배시 초발이소요일수 13~15일, 자실체 생육일수 36~37일이고, 병당 수량은 26.7~29.3g이었다. 단위 면적당 최고의 수량은 평당 218병을 재배할 수 있는 수평식 균상에서 6.4kg으로 가장 높았다. 영지는 수평식 균상에서 $1,600m{\ell}$ 병재배시 갓의 수가 적고, 수량이 높아 가장 경제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