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e calcium

검색결과 946건 처리시간 0.044초

태생 전 불소투여로 인한 태생직후 백서 골조성 변화 (Effect of Prenatal Fluoride on Bone Compositions of Rat)

  • 김혜영;권현숙;송근배;홍석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75-186
    • /
    • 2002
  • 불소화합물은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 예에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치아우식 예방제이다. 임신 전 산모의 불소투여로 인한 태아의 치아우식증 효과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불소의 산전투여가 태아의 골조직에 유용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태생 전 다양한 농도의 불소를 임신 전후 어미 백서에게 투여 후 이들로부터 태어난 새끼 백서들의 골내의 무기성분들을 분석함으로써 태생 전 투여되는 불소가 새끼 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생후 8주경의 Sprague-Dawley계 자성 백서 12마리와 10주경의 웅성 백서 12마리를 각각 3마리씩 4개 군으로 분류하여 각각 교미시킨 후, 제1군은 대조군으로서 제3차 증류수를 투여하였고, 제2군은 1ppm, 제3군은 5ppm, 제4군은 20ppm 투여군으로서 자성 백서가 새끼 백서를 분만할 때까지 무제한 공급하였으며, 어미가 새끼를 출산한 날 즉시 새끼 백서를 수거하였다. 탄화시킨 새끼 백서 시료의 중량을 잰 후, 산분해용기를 사용하여 전처리하고, 각 시료내의 불소는 불소이온전극(Orion Res 96 09 BN Combination fluoirde select TVE electrod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칼슘, 마그네슘 및 무기인은 Induced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meter로 정량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신기간 동안 0, 1, 5 및 20 ppm까지의 불소투여로 인한 각 군간의 어미 백서의 출생률 및 생식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 모든 실험 군간에 새끼 백서들의 평균 탄화중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3. 새끼 백서 골내의 칼슘, 마그네슘 및 무기인의 함량은 투여되는 불소의 양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4. 새끼 백서의 골내의 불소 함량은 1ppm 불소투여군에서 다른 군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실험결과로 종합해 볼 때 20ppm까지의 불소투여는 어미 백서의 생식능력과 출생률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미량의 불소는 태아에게 전이되어 골 조직내 불소가 축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ppm 정도의 불소투여는 골내의 칼슘, 마그네슘과 무기인의 축적률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열수추출 시간에 따른 대구육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d Stock by Hot Water Extraction Time)

  • 김동석;신경은;이욱;배금광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9-9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뼈를 이용하여 열수추출방식으로 육수를 제조하는 것이었다. 제조한 육수의 이화학적 검사(수분함량, pH, 염도, 당도, 무기질), 관능검사(묘사분석, 기호도 검사)를 통해 열수추출방식을 이용한 대구육수 제조의 표준 제조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분함량은 가열시간 증가 시 유의적(p<0.001)으로 낮아졌으며, 색도는 이와 반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pH는 30분 가열시료인 CS1이 가장 낮았고, CS5가 가장 높았다. 염도와 당도는 육수의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다. 대구육수의 무기질 중 Na은 137.87~154.17 m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Mg와 Fe는 가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구육수의 무기질 중 Na, Mg, Fe의 함량은 가열시간이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K, Ca은 비례적인 변화가 없었다. 대구육수의 관능검사 중 묘사분석 결과, 육수색의 강도, 투명도, 비린 냄새와 구수한 냄새, 짠맛, 감칠맛은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p<0.001)인 차이를 보이며 강하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시원한 맛은 CS4가 가장 강하게 평가되었다. 대구육수의 기호도 검사결과 중 외관, 향, 맛, 뒷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CS4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가열시간 증가 시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구육수의 제조 시 양파, 셀러리, 무, 바지락, 물, 대구뼈 등 모든 재료를 넣고 끓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60분을 가열하였을 때 무기질 등의 영양소 함량은 높으며, 기호도는 상승된 우수한 대구육수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fluence of Supplemental Vitamin D3 on Production Performance of Aged White Leghorn Layer Breeders and Their Progeny

  • Panda, A.K.;Rao, S.V. Rama;Raju, M.V.L.N.;Niranjan, M.;Reddy, B.L.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1호
    • /
    • pp.1638-1642
    • /
    • 2006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graded levels of vitamin $D_3$ in White Leghorn (WL) layer breeders on egg production, shell quality, hatchability of eggs and juvenile performance of offspring during their late laying period (72-88 wk). White Leghorn breeder femal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of 50 each and were housed in individual California cages in an open-side housing system. Considering birds in five cages as a replicate, 10 such replicates were randomly allotted to each treatment. A basal diet was formulated containing all the nutrients as recommended for WL layers except vitamin $D_3$, which served as control. Another, four diets were formulated by supplementing graded levels of feed grade crystalline cholecalciferol to the basal diet that contained 300, 600, 1,200 and 2,400 ICU of vitamin $D_3$ per kg. Each diet was offered ad libitum to one of the above five treatment groups. The egg production, egg weight, daily feed consumption and the feed intake per dozen eggs or kg egg mass of the birds fed diet without any supplemental vitamin $D_3$ was comparable with those of supplemental groups. Similarly, the level of vitamin in the diet did not have any effect on any of the above parameters. However, the specific gravity of eggs laid by the birds fed the diet without supplemental vitamin $D_3$ was comparable with either 600 or 2,400 ICU supplemental groups but significantly higher when compared to the 300 and 1,200 ICU groups. The egg -shell breaking strength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600 ICU supplemental groups as compared to the strength of other dietary groups. The Haugh unit, egg shell weight, shell thickness, tibia breaking strength, bone ash and calcium content were not influenced by vitamin $D_3$ concentration in the diet. Serum Ca concentration was influenced by vitamin $D_3$ level in the diet. The serum Ca concentration of birds fed either control or the vitamin supplemented diet up to 1200 ICU/kg diet was comparable. However,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vitamin $D_3$ to 2,400 ICU/kg diet significantly enhanced the concentration of Ca in the serum,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other dietary groups. The serum concentration of P and protein, however, was not influenced by level of vitamin $D_3$ in the diet. Neither fertility nor hatchability was influenced by vitamin $D_3$ concentration in the diet. Feeding a vitamin $D_3$ deficient diet or supplementation of vitamin to hens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ir progeny chicks. It can be concluded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of vitamin $D_3$ may not be essential for optimum production, shell quality, hatchability, and juvenile performance of WL breeders during 72 to 88 weeks of age.

재발성 종양성 석회증 - 증례 보고 - (Recurrent Tumoral Calcinosis - A Case Report -)

  • 장준동;이원익;최수중;김석우;강신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2-87
    • /
    • 2000
  • 종양성 석회증은 칼슘과 인산의 대사장애 없이 관절주위의 연부조직에 석회성분의 침착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그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발생빈도는 매우 드물며 주로 흑인에서 발생한 예들이 보고되어 있으나 황인종에서 수 차례 재발되어 보고된 예는 아직 없다. 이에 저자들은 우측 슬관절과 대퇴부에 발생하여 수 차례 재발된 종양성 석회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21세 여자 환자로서 우측 슬관절과 대퇴부 후방의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과거력상 14년 전부터 타 병원에서 4차례에 걸쳐 생검 및 제거술을 실시하였으나 재발을 반복하였다. 치료로서 제거 가능한 종괴의 철저한 변연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조직학적 소견상 종양성 석회증으로 진단되었던 예이었다. 술 후 24개월 이상 추시 관찰하여 현재까지 재발의 소견이 없었다. 저자들은 황인종에서 발생빈도가 드문 재발된 종양성 석회증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생선 곰탕의 추출소재로서 Fish Frame의 식품학적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Fish Frames as Basic Ingredients of Fish Gomtang)

  • 한병욱;지승길;권재석;구재근;강경태;지성준;박신호;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417-1424
    • /
    • 2007
  • 수산물 가공 중 부산물로 다량 발생하고 있는 7종의 fish frame(연어 frame, 삼치 frame, 붕장어 frame, 가다랑어 frame, 황다랑어 frame, 참다랑어 frame및 붉은메기 frame)의 생선 곰탕의 추출 소재로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휘발성 염기질소와 중금속 함량의 분석 결과 참다랑어 frame과 연어 frame은 식품가공소재로 안전한 범위이었다. Fish frame 추출물의 수분을 제외한 주성분은 조단백질이었다. 7종 fish frame 추출물의 엑스분 질소와 비린내 및 맛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생선 곰탕의 제조를 위한 엑스분 추출소재로는 연어 frame이 가장 적절하였다. 연어 frame 추출물의 인 및 칼슘함량은 18.0 mg/100 mL 및 33.1 mg/100 mL이었다.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추출물이 MC3T3-E1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on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ic MC3T3-E1 Cells)

  • 윤지혜;황은선;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384-139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감국 에탄올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골다공증 관련 식물성 에스트로젠으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감국 에탄올 추출물은 30~100 ${\mu}g/mL$ 농도 범위에서 조골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100 ${\mu}g/mL$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최대 122% 세포성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세포증식 유도는 estrogen antagonist인 tamoxifen 처리 시 상쇄되어 estrogen 유사효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MC3T3-E1 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대표적 분화지표인 ALP 효소활성, collagen 함량, mineralization 수준을 측정한 결과, 10, 30 ${\mu}g/mL$ 농도에서 ALP 활성의 유의적 증가와 200 ${\mu}g/mL$ 농도에서 collagen 함량과 mineralization의 유의적인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ALP 활성, collagen 함량 모두 tamoxifen 처리에 의해 증가 효과가 상쇄되어 estrogen 유사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부갑상선암 (Parathyroid Carcinoma)

  • 조은철;서진학;정웅윤;김호근;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5-209
    • /
    • 2001
  • Purpose: Most cases of primary hyperparathyroidism are due to parathyroid adenoma or parathyroid hyperplasia. Parathyroid carcinoma is a very rare cause of hyperparathyroidism. Although the diagnosis of parathyroid carcinoma is usually established by pathologic criteria especially of vascular or capsular invasion, some clinical and biochemical features differentiate it from benign forms of hyperparathyroidism. We under-took a retrospective study in 6 patients with parathyroid carcinoma, with the aim of conveying experience from management for this rare cause of hyperparathyroidism. Methods: Clinical symptoms, biochemical laboratory, radiologic, and intraoperative findings,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were analyzed in 6 patients diagnosed pathologically as a parathyroid carcinoma after operation from 1992 to 2001. Results: Mean age was 50.2 years (33.0-60.0 years)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1. Neck mass was found in 5 patients, multiple bone pain in 3 patients and renal stone in 1 patient. One case has suffered from chronic renal failure for 19 years. Although preoperative laboratory evaluations showed the aspects of hyperparathyroidism in all cases, mean serum calcium level was 11.2mg/dl(10.5-12.1mg/dl), slightly elevated. Laboratory values after surgery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in 5 cases. However, in one case with chronic renal failure, serum PTH levels, serially checked, were above the normal range. Any of imaging methods failed to suggest a parathyroid carcinoma preoperatively. Parathyroid adenoma was suspected in 3 cases, thyroid cancer in the other cases before surgery. The extent of resection was radical resection of parathyroid lesion with more than unilateral thyroid lobectomy and central compartment neck node dissection and in 2 cases, the resection of recurrent laryngeal nerve or strap muscles was added. During follow-up period, any local or systemic recurrence were not evident in all the cases. Conclusion: Although parathyroid carcinoma is a rare disease and its preoperative diagnosis, in our experience, could not easily be made,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 clinical and biochemical feature could help diagnosis at first surgery. Radical resection without remaining residual tumor is most important for the management of the parathyroid cancer.

  • PDF

배양된 인간 골막기원세포의 조골활성에 대한 덱사메타손 농도의 효과 (EFFECT OF DEXAMETHASONE CONCENTRATIONS ON OSTEOGENIC ACTIVITY OF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 김종렬;박봉욱;이창일;하영술;김덕룡;조영철;성일용;변준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4호
    • /
    • pp.287-293
    • /
    • 2009
  • Long-term treatment with glucocorticoid leads to the development of osteoporosis and osteonecrosis. In contrast to the marked inhibitory effect of pharmacological doses of glucocorticoids on bone form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ological concentrations of glucocorticoids and osteoprogenitor cell proliferation and phenotypes has not been elucidated yet. In addition, the effects of dexamethasone treatment on the proliferation and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osteoprogenitor cells are also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examethasone on the proliferation and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periosteal-derived cells. Periosteal-derived cells were obtained from mandibular periosteums and introduced into the cell culture. After passage 3, the cells were further cultured for 21 days in the osteogenic induction medium with different dexamethasone concentrations of 0, 10, and 100 nM. The proliferation and osteoblastic phenotypes of periosteal-derived cells were promoted in dexamethasone-treated cells than in untreated cells. Among the dexamethasone-treated cells, cell proliferation was slightly greater in 10 nM dexamethasone-treated cells than in 100 nM dexamethasone-treated cells. Histochemical staining and the bio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ALP) were higher in 100 nM dexamethasone-treated cells than in 10 nM dexamethasone-treated cells. Similarly, von Kossa-positive mineralization nodules and calcium content were also more evident in 100 nM dexamethasone-treated cells than in 10 nM dexamethasone-treated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xamethasone enhances the in vitro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periosteal-derived cells. The present study also demonstrates that higher dexamethasone concentrations reduce the in vitro proliferation of periosteal-derived cells.

골막기원세포에서 발현되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관련 자가성장 (VEGF-RELATED AUTOCRINE GROWTH IN PERIOSTEAL-DERIVED CELLS)

  • 박봉욱;이성균;하영술;김덕룡;조영철;성일용;김욱규;김종렬;변준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5호
    • /
    • pp.294-298
    • /
    • 2009
  • Purpose: The development of a microvascularization is important for the homeostasis of normal bon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vessel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EGF-related autocrine growth in periosteal-derived cells. Materials and methods: Periosteal-derived cells were obtained from mandibular periosteums and introduced into the cell culture. After passage 3, the periosteal-derived cells were further cultured for 21 days in an osteogenic inductive culture medium containing dexamethasone, ascorbic acid, and $\beta$-glycerophosphate. Results: The expression of four VEGF isoforms and VEGFRs was observed in periosteal-derived cells. Treatment with cultures with VEGFR-1 and VEGFR-2 Kinase Inhibitor inhibited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of periosteal-derived cells. In addition, exogenous VEGF treatment increased calcium content in the periosteal-derived cell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VEGF might act as an autocrine growth molecule during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사람 영구치에서 치주인대 및 치수 조직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Gene-Expression Analysis of Periodontal Ligament and Dental Pulp in the Human Permanent Teeth)

  • 이석우;전미정;이효설;송제선;손흥규;최형준;정한성;문석준;박원서;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66-175
    • /
    • 2016
  • 이전 연구에서 사람의 치수와 치주인대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3만 2천여개의 인체 유전자의 RNA 활성 정보는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 영구치에서 얻은 치주인대와 치수 조직 내의 RNA 유전자 발현을 보고하고 각각의 분자생물학적인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cDNA 미세배열분석에서 두 조직 사이의 유전자 발현 수준에서 4배 이상 차이나는 유전자는 347개로 밝혀졌으며, 치주인대와 치수에서 각각 83개, 264개의 유전자 발현이 4배 이상 차이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치주인대는 교원질 합성 (FAP), 교원질 분해 (MMP3, MMP9와 MMP13), 골 형성 및 개조 (SPP1, BMP3, ACP5, CTSK와 PTHLH)와 관련된 유전자가 강하게 발현되었다. 반면 치수조직은 칼슘 이온 (CALB1, SCIN와 CDH12)과 법랑질 또는 상아질의 광화 및 형성 (SPARC/SPOCK3, PHEX, AMBN과 DSPP)와 관련한 유전자의 발현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 유전자 중 SPP1, SPARC/SPOCK3, AMBN, DSPP 등의 유전자는 치아의 기능과 관련해서 잘 알려져 있지만, 다른 유전자들은 microarray 분석을 통해서 새롭게 발견된 유전자이다. 이 유전자들은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재생 치료의 좋은 요인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