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y weight

검색결과 13,674건 처리시간 0.044초

흰쥐의 간장 및 혈청 지질농도와 임상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식이섬유 및 식이지방 급원을 달리한 식이 투여의 영향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Fats and Fibers on the Lipid Concentrations of Liver and Serum and Biochemical Index in Rats)

  • 차재영;홍상식;조영수;김대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77-1384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의 간장 및 혈청 지질 농도와 임상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식이지방원 및 식이섬유원을 달리한 식이를 급여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 식이군은 5% corn oil +5% cellulose 함유 CO군, 10% corn oil +10% 차전자피 함유 CO +PH군 및 10% lard+10% 차전자피 함유 LA+PH군인 3군으로 나누었으며 실험식이와 물은 6주간 자유급여 시켰다. 체중 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CO군에 비해 LA+PH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CO+PH군에서는 유의적인 증가경향을 보였다. 식이 섭취량 및 장기 중량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청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CO군에 비해 CO+PH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LA + PH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성지방 및 인지질 농도는 CO군에 비해 CO +PH군 및 LA+ PH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장 콜레스테롤 농도는 LA +PH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임상생화학적 지표 중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활성 은 LA+PH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lactate dehydrogenase 활성 및 blood urea nitrogen은 오히려 LA + PH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다른 혈청 임상생화학적 지표중 총 단백질, 알부민, 포도당,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및 lactate dehydrogenase활성은 각 실험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식이 차전자피에 의한 혈중 지질 농도의 저하효과는 식이지방원 lard 첨가군에 비해 corn oil 첨가군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활성에 미치는 마그네슘과 칼슘의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Calcium and Magnesium on the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 정영태;남현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2-218
    • /
    • 1983
  • 토끼에 마그네슘 칼슘이 첨가된 식이를 급여하여 토끼의 liver microsomal protein에 함유된 HMG-CoA reductase의 활성과 혈청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마그네슘 및 칼슘의 양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청 마그네슘의 경우 대조군이 9.5mg% 인데, 마그네슘 첨가군은 평균 8.27이었고, 칼슘을 첨가하여 사육한 실험군에서 상당히 낮은 값 T-D : 3.5, T-E : 3.0, T-F : 4.0, T-G : 7.3으로 평균 4.45를 보였다. 2. 혈청 칼슘의 경우 대조군이 15.3mg %인데, 마그네슘 첨가 실험군은 평균 14.6이나 칼슘 첨가 실험군에 있어서 평균 14.1로서 큰 차이가 없었다. 3. 혈청 트리글리세리드의 경우 대조군 82.8에 비하여 마그네슘첨가 실험군은 평균 60.3이었으나, 칼슘 첨가 실험군은 평균 69.5로서 다소 높은 값을 보여 주었다. 4. 혈청 콜레스테롤의 경우 대조군이 80mg%인데 반하여, 마그네슘 첨가 실험군은 평균 64.3이었고, 칼슘 첨가 실험군은 평균 56.3으로 상당히 낮은 값을 보여 주었다. 5. microsomal protein의 HMG-CoA reductase의 활성의 경우는 대조군이 0.995nmol/min/mg 인데, 마그네슘 첨가 실험군은 평균 0.948을 보였고 칼슘 첨가 실험군은 평균 0.849를 보여 주었다.

  • PDF

한국 남자 대학생의 Sodium 과 Potassium 평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kae-Balance of Sodium and Potassium of College Men of Korea)

  • 오승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38-545
    • /
    • 1991
  • 본 연구는 20~26세의 남자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4주간 평상시와 같은 생활양식과 적정체중을 유지시키면서 각 대상자들이 섭취한 모든 음식과 배설한 대변 및 소변을 모두 수거하여 분석하므로서 sodium 및 potassium의 1인 1일당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Sodium 및 potassium 섭취량은 원자흡광광도계로 측정한 실측치(measured)와, 식품분석표에 의거하여 얻은 환산치(conversed)와의 관계를 비교 검토하였다. 1일 1인당 환산한 sodium 섭취량은 $2.36{\pm}0.03g$으로 실측한 섭취량 $6.36{\pm}0.13g$에 비하여 약 63%나 낮았다. 1일 1인당 환산한 potassium 섭취량은 $1.71{\pm}0.03g$으로 실측한 섭취량 $1.87{\pm}0.05g$과 큰 차이가 없었다. 1일 1인당 소변으로의 sodium 배설량은 $5.49{\pm}0.19g$으로 이는 총 sodium 섭취량의 86%이었고, 대변으로의 sodium 배설량은 $0.24{\pm}0.02g$으로 이는 총 sodium 섭취량의 3.7%이었다. 1일 1인당 소변으로의 potassium 배설량은 $1.33{\pm}0.08g$으로 이는 총 potassium 섭취량의 71%이었고, 대변으로의 potassium 배설량은 $0.45{\pm}0.03g$으로 이는 총 potassium 섭취량의 24%이었다. 뇨중 Na/K 배설 비율은 $4.3{\pm}0.1$이었다.

  • PDF

토용분(土龍粉) 첨가급식(添加給食)이 흰쥐의 성장(成長) 및 혈액성분(血液成分)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arthworm Flour Supplemented Diet on Growth and Blood Components of Rats)

  • 백정희;고진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6-142
    • /
    • 1984
  • 토용분(士龍粉)의 영양효과(營養效果)를 알아보고자 평군 체중 (male)72.3${\pm}$1.7g, (female)71.8${\pm}$1.4g인 흰쥐를 암수 구별하여 대조군(對照群), 2% 토용분(土龍粉)을 3일(日)마다 첨가급식군(添加給食群), 2% 토용분(土龍粉)을 매일첨가급식군(每日添加給食群)으로 나누어 6주간(週間) 사육하면서 사료섭취량, 체중증가(體重增加), 식이효율(食餌效率), 단백질효율(蛋白質效率), 장기중량(臟器重量) 등과 혈액중(血液中)의 hematocrit, hemoglobin, total protein, albumin, A/G ratio, glucose, total cholesterol 함량(含量)등의 변화를 관찰(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사료섭취량은 암쥐의 매일토용분(每日土龍粉) 첨가급식군(添加給食群)이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높은(p<0.05) 경향을 보였다. 2. 체중증가량(體重培加量)은 숫쥐의 매일토용분(每日土龍粉) 첨가급식군(添加給貪群)이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높았다(p<0.05). 3. 식이효율(食餌效率), 단백질효율(蛋白質效率)은 암수 모두 2% 토용분(土龍粉) 첨가급식(添加絡食)으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숫쥐에서 매일토용분첨가급식군(每日土龍粉添加緖食群)의 심장(心臟)과 폐(肺)의 중량(重量)이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높은(p<0.05) 경향을 보였으나 간(肝), 신장(腎臟), 비장(脚臟)은 대조군(對照群)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5. Hematocrit 치(値)는 암쥐에서 실험군(實驗群)들이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높은 (p<0.05) 경향을 보였고, 숫쥐에서는 대조군(對照群)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6. 혈액중(血液中) hemoglobin과 혈청중(血淸中) total protein, albumin, A/G ratio, total cholesterol, glucose 등은 대조군(對照群)과 실험군(實驗群)들이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 PDF

김치로부터 분리한 Helicobacter pyroli 억제능 유산균 Pediococcus pentosaceus MD1의 흰쥐에 대한 반복투여독성 연구 (Repeated-Dose Toxicity Study of Pediococcus pentosaceus MD1, an Anti-Helicobacter pyroli Activit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Rats)

  • 이재준;이유미;장해춘;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975-982
    • /
    • 2007
  • 본 연구는 H. pyroli 억제능을 지닌 김치 유래 유산균인 Pediococcus pentosaceus MD1을 가지고 궤양 예방효과를 지닌 김치를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독성평가 실험을 수행하고자 4주 반복 투여 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시험에서 설정한 최고 용량 투여군인 2,000 mg/kg에서도 일반증상관찰, 체중변화, 사료섭취량 및 물 섭취량을 측정한 결과, 모두에서 시험물질과 관련된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검사 및 장기의 육안적 관찰 및 장기 중량변화에서도 대조군과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으며, 모두 정상범위를 벗어나지 않아 시험물질에 기인하는 이상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으므로, 최대 무해 용량은 2,000 mg/kg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 4주 반복 투여 독성시험 결과 H. pyroli 억제능을 지닌 유산균인 Pediococcus pentosaceus MD1은 저독성물질로 판정되었으며, 유산균이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안전성 확인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소화성 궤양 예방효과를 지닌 안전하고 차별화된 경쟁력 있는 김치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연의 섭취 수준이 흰쥐의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Zinc Levels on Calcium, Magnesium, Sodium, and Potassium Contents in Rats)

  • 김현숙;강문희;승정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037-1041
    • /
    • 2009
  • 아연의 공급수준이 다량 무기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흰쥐를 대상으로 아연을 결핍, 적정, 과잉 수준으로 공급하여 혈청 및 조직의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함량을 분석하였다. 아연 공급수준을 달리했을 때 혈청의 다량 무기질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간과 비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연의 결핍은 간의 칼슘 함량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주었고, 아연의 과잉은 비장 마그네슘과 칼륨 함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아연의 결핍과 과잉이 간과 비장의 다량 무기질함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아연의 결핍이 더 많은 조직 내 무기질 함량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아연의 결핍수준을 적정수준의 50%, 그리고 과잉을 200%로 설정하였으나 앞으로 좀 더 세분화된 아연의 결핍과 과잉 수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당화단백질의 형성에 미치는 인삼의 효과 (Effects of Ginseng on the Formation of Glycated Protein)

  • 맹성호;전강웅;배진우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173-177
    • /
    • 2002
  • 당화헤모글로빈의 형성을 포함한 당뇨병에 대한 인삼의 보호작용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인산완충용액으로 포도당(1.5 g/dl), 헤모글로빈(10 g/dl) 및 홍삼액기스(0.5 g/dl)의 혼합용액(1 : 1 : 1, v/v/v)을 생산하여 시험관에 옮긴 후 37$^{\circ}C$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또한 웅성 백서를 각 군당 20두씩 할당하여 건강한 군과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군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인삼투여군과 그 대조군으로 나누어 홍삼액기스를 음용수에 용해하여 100 mg/kg/day의 용량을 3개월 동안 투여하였다. 혈당의 농도와 당화헤모글로빈의 비율은 시판되는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홍삼액기스를 첨가한 시험관의 당화헤모글로빈이 첨가하지않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12.17$\pm$1.01% : 15.9$\pm$ 1.95%, p<0.01) 홍삼액기스를 투여한 당뇨쥐의 혈당은 그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3개월 후의 당화헤모글로빈의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15.1$\pm$2.06% : 20.1$\pm$2.9%, p<0.05). 또한 3개월 후 홍삼액기스를 투여한 당뇨쥐는 그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이 증가 되었으며 음수량이 감소 되었다. 이런 결과들로 보아 인삼은 당화단백질의 형성을 저혈당 작용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제주도 연안 해초지대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II. 실비늘치 (Aulichthys japonicus Brevoort)의 성장, 산란 및 식성 (Study on the Fish Community in the Seagrass Belt around Cheju Island II. Growth, reproduction and food habit of Tubesnout, Aulichthys japonicus Brevoort)

  • 고유봉;조성환;고경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1-70
    • /
    • 1997
  • 제주도 북방 함덕연안 잘피밭에 서식하는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의 성장과정, 산란시기 및 섭이습성을 조사하였다. 시료의 채집은 1993년 5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소형 beam trawl을 사용하였다. 체장빈도분포조사에서 실비늘치는 3월에 처음 자어가 출현하여 꾸준히 성장을 지속하고 다음해 5월에 이르러 거의 모든 성어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식소 중량지수(GWl)와 비만도지수(K) 조사에서 수컷의 생식소 중량지수와 비만도지수는 11월과 1월 사이에 높고 암컷의 경우는 2월과 5월 사이에 높았다. 성비조사에서 산란시기인 2월부터 암컷의 출현이 높아지기 시작하여 3월부터는 거의 전부가 암컷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섭이습성조사에서 출현한 먹이생물중 97%이상이 요각류였으며, 이중 Paracalanus, Oithona, Acartia, Oncaea 및 Harpacticoidae 등 1mm전후의 소형요각류를 주로 섭이하고 있었으나, 주산란기에는 3mm 이상인 Calanus, Euchaeta 및 십각류 유생 등의 섭이율도 높았다. 주간과 야간의 섭이습성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주 야간 및 체장증가에 따른 섭이율의 변화는 주간에 평균 1.60, 야간에는 평균 1.90 이었고, 체장증가에 따른 섭이율은 성숙기인 90~120mm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

대구 Gadus macrocephalus 이석 표지를 위한 Alizarin Complexone의 최적 농도 (Optimum Concentration of Alizarin Complexone (ALC) for Otolith Marking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 김태진;이소광;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72-278
    • /
    • 2008
  • 본 연구는 방류 대상종인 대구의 이석에 ALC 표지 가능 여부, 표지 적정농도 및 순간성장률을 비교 분석하여 수산 종묘 표지방류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전장이 작은 대구 치어($34.1{\pm}1.8mm$, $mean{\pm}SD$)의 경우 ALC 농도를 0, 20, 40, 60, 80 mg/L로, 전장이 큰 치어($73.8{\pm}1.2mm$, $mean{\pm}SD$)의 경우 ALC 농도 1, 5, 10, 20, 40 mg/L로 각각 5개 실험구를 설정하여 24시간 침적한 후 14일간 사육하면서 관찰하였다. 표지 이석을 UV light 현미경(G필터)으로 관찰한 결과 이석 표면에는 붉은색 계통의 원형띠를 형성하며 ALC가 염색 되었다. 작은 크기 치어는 모든 실험구에서 이석에 ALC가 염색 되었고, 최저 농도인 20 mg/L에서 조사한 10개체 모두 '선명함' 이상으로 판정되었으며, 각각의 실험구에 대한 실험 전후 체중과 성장률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망률은 농도가 높아지며 높아졌다. 크기가 큰 대구 치어는 10 mg/L 이상의 농도에서 1개체를 제외한 모든 개체에서 염색 정도가 '선명함' 이상으로 판정되었으며, 실험기간 동안 모든 개체가 생존하였다. 대구 방류 효과를 추적하기 위한 이석의 ALC 염색에서는 크기가 큰 치어를 대상으로 10 mg/L의 농도가 적정농도로 추정되었다.

국내에 서식하는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성숙에 따른 형태 및 생물학적 특성 변화 (Change in Morpholog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by Maturation of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Collected in Korea Waters)

  • 홍양기;송미영;이석은;이완옥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63-274
    • /
    • 2015
  •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국내에 서식하는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총 182개체를 silvering index에 따라 4개의 단계로 구분하고, 성숙에 따른 형태 및 생물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하천 및 하구에서 채집한 개체군 (34.6%)은 댐 호 (3.8%)에서 채집한 개체군에 비하여 성숙뱀장어의 비율이 높았다. 성비 (♂/♀)는 0.11 (n=182)로 암컷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성숙뱀장어 단계로 진행될수록 전장은 커지고, 체중은 증가하였다. 단계별 계측형질 비교에서 전장에 대한 두장 및 가슴지느러미 길이 백분비, 두장에 대한 가로 및 세로 안경의 백분비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였으나, 전장에 대한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 기점거리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식소성숙도지수 (Gonado-somatic index, GSI), 비만도지수 (Condition factor, K), 소화관지수 (Gut index, GI), 안경지수 (Eye index, EI) 및 간 중량지수 (Hepato-somatic index, HSI) 중 GSI는 4가지 단계를 모두 구분할 수 있는 형질이었다. 한편 외부 체색 및 형태는 성숙한 A. japonica인 S2로 보이지만, 나머지 대부분의 단계별 분류 형질에서는 미성숙뱀장어인 Y1과 Y2에 해당하는 pseudo-silver eel 한 개체가 채집되어 이에 대한 형질을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