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y fat.

검색결과 4,195건 처리시간 0.034초

고지혈증 환자를 위한 전산화된 식사처방 및 영양상담 시스템 (A Computerized Dietary Prescription and Nutritional Counseling System for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 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33-742
    • /
    • 1997
  • 본 연구는 고지혈증 환자의 식사처방 및 영양상담을 위하여 개발된 시스템으로서 피상담자의 일반상황 분석, 식사력 조사, 하루 동안 섭취된 식품의 영양분석 및 평가 그리고 식단 작성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피상담자의 일반상황 분석에 의하여 비만도, 체중과 활동정도에 따른 열량 필요량 및 비만인 경우 체중감소를 위한 1일 열량 필요량이 제시되며, 또한 피상담자의 혈중 지단백질 농도와 표준 지단백질 농도가 비교 제시되었다. 식사력 조사는 피상담자의 식습관, 식품의 기호도 및 식사요법 등에 있어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식사력 조사 후 바로 제시되는 상담 결과에 의하여 피상담자는 자신의 그릇된 식습관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식사요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얻으므로서 올바른 식생활을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섭취한 식품의 영양분석은 24시간 식사섭취 회상 법에 의하여 하루에 섭취한 모든 식품의 섭취상태와 열량 및 영양소를 분석 평가할 수 있으며, 특히 고지혈증의 식사요법에 있어서 중요한 성분인 지방질의 섭취상태를 분석하므로서 피상담자가 섭취하는 식사가 바람직한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식단작성 프로그램에서는 피상담자의 체중, 활동량 및 체중감소를 위한 열량 필요량을 고려하여 설정된 1일 열량 필요량에 알맞는 식사별 식품구성표와 일일 식단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제공된 식사별 식품구성표와 일일 식단표는 식품교환표를 이용하여 고지혈증 환자의 치료식 에 맞도록 작성하였다. 이와 같이 피상담자는 자신의 식사력 및 식품섭취에 대한 분석평가를 통하여 식사요법의 중요성과 잘못된 식습관을 인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의 열량 필요량에 알맞는 식단을 제공받으므로서 올바른 식사요법을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헛개나무 열매를 주성분으로 제조한 새로운 처방이 알코올 분해 및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w Remedies Mainly Comprised of Hovenia dulcis Thunb on Alcohol Degradation and Liver Protection in Sprague Dawley Male Rats)

  • 고병섭;장진선;홍상미;김동화;성소라;박혜려;이지은;전원경;박선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28-83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열매를 주성분으로 제조한 두 종류의 혼합물들(NHDT-1과 NHDT-2)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시켜 숙취의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지 여부와 만성적으로 알코올을 복용시켰을 때 간손상 및 지방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NHDT-1은 헛개나무열매에 진피, 창출 및 감초를 첨가하여 제조하였고, NHDT-2는 NHDT-1에 홍삼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NHDT-1과 NHDT-2의 조성 차이는 홍삼임에도 불구하고 백서에게 투여하였을 때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와 간손상을 억제하는 작용에는 차이가 있었다. 홍삼이 함유되어있지 않은 NHDT-1은 급성 알코올 실험에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를 촉진시켜 혈청농도를 저하시켰으나, 홍삼이 함유된 NHDT-2는 혈청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저하시키지 못했다. 급성실험과는 반대로 장기간 알코올을 투여한 실험에서는 NHDT-1은 NHDT-2에 비해 알코올로 인한 간의 손상과 지방간 발생을 억제하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간기능이 좋은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복용하는 경우에는 NHDT-1이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하여 숙취해소에 효과적이지만, 간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는 장기간동안 NHDT-2를 복용하여 간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음주 후 숙취제거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운동 수행 능력 및 체력증진을 위한 효율적 영양관리에 관한 연구 -식이급식 조건에 대하여- (A Study on Nutritional Management for Improvement of Exercise Capacity and Physical Fitness -For Dietary Feeding Condition-)

  • 오승호;김유섭;강정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4-102
    • /
    • 1991
  • This study was directed to further clarify the effect of resting time or dietary condition for the improvement of exercise capacity and physical fitness, and the changes of some body consitiuents and physiological func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exercise metabolism. Sixteen male students(8 athletes and 8 nonathletes)were participated during 3 weeks(Aug. 20-Sep.9, 1989). Each subject performed two treadmill running trials at an absolute intensity (1 mintute in 3.4mph/15% slope and 2 minutes in 5.5mph/20% slope). In the resting time trials, general diet was fed before 1, 2, 4 and 12 hours of the treadmill exercise loaded. in the dietary condition trials, high carbohydrate(HC), high fat(HF) and high protein(HP) diet were fed before 2 hours of the treadmill exercise loaded. Control trial was that of resting time before treadmill exercise loaded after 12 hours of general diet feeding. Measurement were made to study the change of blood glucose, palmitate, lactate,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Mean daily metabolizable period. In resting time trial,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of athlete and nonathlete from 2 hours group was similar to control group. The blood palmitate concentration of athlete was increased in 1 and 2 hours group but those of nonathlete was not only increased in 1 and2 hours group but was more increased in 12 hours group, compared with both control group. Th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all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both control group and those of nonathlete was much higher than athlets. The elevation rate of blood pressure in pre-and after-exercise of athlete was lower than those of nonathlete. In dietary composition trial,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of athlete and nonathlete in HC group was higher than other diet groups. Th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of athlete and nonathlete in HC group was lower than other diet groups. There was no remarkable change of the blood palmitate concentration and heart rate in each dietary composition trial, but those of nonathlete was low in HC and high in HP group. In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effective condition of resting time and dietary composition for the improvement of exercise capacity of nonathlete may be 2 hours and HC diet, respectively. But it was showed that the exercise capacity of athlete may not be affected by experimental condition of resting time, except 1 hour after feeding or of dietary composition because of well adaptation in new exercise condition.

  • PDF

차신고버섯(Agrocybe chaxingu)의 일반성분, 비타민 및 미네랄 함량분석 (Analysis of General Components and Vitamin and Mineral Contents of the Mushroom Agrocybe chaxingu)

  • 이광재;윤인주;김희연;박유화;함헌주;박영학;주진호;임상현;김경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49-553
    • /
    • 2009
  • 차신고버섯의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확인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영양성분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차신고버섯은 수분 88.9%, 회분 0.9%, 조섬유 1.4%, 탄수화물 7.2%, 조단백 2.5%, 조지방은 0.4%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타민성분은 차신고버섯 생체 100 g 중 비타민 $B_1$이 1.29 mg, 비타민 $B_2$$B_3$가 각각 0.15 mg, 0.32 mg 함유하고 있었으며,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비타민 C는 18.4 m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미네랄성분은 건체 100 g 중 칼륨이 3,318 mg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인, 마그네슘, 나트륨, 아연, 철, 구리 등의 순으로 많았고, 다른 버섯에 비해 함량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차신고버섯은 조단백을 비롯하여 비타민 및 미네랄 성분 등이 풍부하여 영양 공급원으로서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추후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호박벌 유래 디펜신 유전자의 분자적 특성분석 및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for defensin of synthetic oligopeptides derived from Bombus ignitus)

  • 강희윤;김인우;이준하;권용남;윤은영;윤형주;김성렬;김익수;황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61-165
    • /
    • 2012
  • 호박벌 유래 디펜신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의 구조 분석 후에 항균활성을 갖는 서열을 선발하였고, 전체 및 펩타이드 길이와 구조적 차이에 대한 종합적인 결과로서 기존에 보고되어진 ${\alpha}$-helix 구조의 펩타이드 보다는 ${\beta}$-sheet의 일부 서열과 ${\alpha}$-helix의 서열이 공존할 때 항균 활성이 보다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시스테인-아르기닌 (38C-39R)이 포함되어 있는 펩타이드 서열에서 항균력이 우수하였고, 이는 세포벽에 친화력이 있는 염기성 펩타이드의 특성으로 예상하고 있다.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및 심혈관계질환 위험도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섭취상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1) 자료를 이용하여 (Food and Nutrient Intake Level by the Risk of Osteopo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The use of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10-2011))

  • 김효빈;김혜숙;권오란;박희정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2-162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od,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of postmenopausal women at high risk of osteoporosis (OP) and cardiovascular disease (CV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subjects. Methods: A total of 1,131 post-menopausal women aged over 45 years, who took the 2010-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re included for analysis. Thes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groups: the OP group, with a risk of OP (n=135); the CVD group, with a risk of CVD (n=373); the OP+CVD group, with a risk of OP and CVD concurrently (n=218); and the control group (n=405) according to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CVD risk.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lood profiles, dietary intake, and dietary quality indic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among the four groups. Results: Waist circumference, total body fat percentage, blood pressure, fasting plasma glucos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were higher, and HDL-cholesterol and BMD were lower in the OP+CVD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 OP+CVD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ies of grain (except for multi-grain) and lower frequencies of fruit and dairy product.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red meat, processed meat, and carbonated beverages was higher in OP+CVD group. In nutrient density analysis, proteins and vitamin $B_2$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P+CVD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nutritional quality index (INQ) values of calcium were in the order of 0.63, 0.58, 0.56, and 0.55 in each group, and it was urgent to improve the dietary intake for calcium in postmenopausal women. In addition, vitamin $B_2$ was inadequately consumed by all group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take of vitamin $B_2$ and calcium and decrease the frequency of intake of red meat, processed meat, and carbonated beverage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the risk of OP and CVD.

Evaluation of barley to replace milk by-product in weaning pig's diet

  • Jin, Kyung Young;Hong, Jin Su;Sin, Dong Wook;Kang, Hyo Kon;Jo, Yun Young;Lee, Geon Il;Jin, Xing Hao;Jang, Jae Cheol;Jeong, Jae Hark;Kim, Yoo Y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2호
    • /
    • pp.77-86
    • /
    • 2019
  • The supplementation level of barley was limited because of high contents of fiber in monogastric animals. Barley contained high soluble fiber, thus it could prevent to diarrhea of weaning pigs. Moreover, as the barley break down by enzymes, free sugars come out from the barley, which could be used as an energy source in weaning pigs and replace milk by-products in weaning pig's diet. Therefor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arley to replace milk by-product in weaning pig's diet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 nutrient digestibility, diarrhea incidence, and economic analysis in weaning pigs. A total of 112 crossbred ($[Yorkshire{\times}Landrace]{\times}Duroc$, weaned at 28 days of age) piglets were allotted to 4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Each treatment has 7 replications with 4 pigs per pen. Pigs were fed each treatment diet which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barley (0%, 10%, 20%, and 30%) at the expense of whey powder and lactose. Three phase feeding programs were used for 6 weeks of growth trial (phase 1: 0-2 weeks; phase 2: 3-4 weeks; phase 3: 5-6 weeks). During 0-2 week, body weight (BW), average daily gain (ADG) and G:F ratio were decreased as barley level increased in the diet (linear response, p < 0.01). In blood profile, blood urea nitrogen was decreased as the barley level increased in the diet (linear, p < 0.01).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blood glucose level. In nutrient digestibility, crude fat digestibility was linearly increased as barley increased (linear, p < 0.01). The incidence of diarrhea was improved as increasing barley contents in all phases (linear, p < 0.01).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supplementation of barley to replace milk by-product influenced negatively on growth performance during 0-2 week. However, the incidence of diarrhea and later growth performance from 3 week postweaning were improved as dietary barley level increased.

대체 먹이원으로 한약재 부산물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al medicine by-products on the larval growth of white-spotted flower chafer(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 김미혜;박장우;김미정;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37권1호
    • /
    • pp.60-6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 부산물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먹이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영양성분 함량, 중금속 함량, 유충의 생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먹이원의 영양성분을 비교한 결과, 조섬유를 제외한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함량이 미발효, 발효조건 한약재 부산물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조단백질의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먹이원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약재 부산물의 카드뮴, 납, 수은 등의 중금속 분석 결과, 모두 불검출로 먹이원으로써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먹이원에 따른 생육 비교에서는 참나무 발효톱밥을 급이한 대조구와 한약재 부산물을 급이한 실험구는 1~3주차까지 큰 차이가 없다가 4주차 유충의 중량이 대조구는 0.137 g, 실험구는 0.671 g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기 시작했다. 한약재 부산물 첨가별 급이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중량을 비교한 결과 7주차에서 HMB40이 가장 높은 중량을 보였다. 통계분석 결과 5주차의 HMB40, HMB80의 각각의 중량과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식용곤충의 출하시기를 3령 유충으로 보았을 때 5주차에 이미 출하시점에 도달했음을 의미하며, 이는 HMB40, HMB80 조건의 급이가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Nutritional and productive parameters of Holstein/Zebu cows fed diets containing cactus pear

  • Borges, Lucas Daniel Alcantara;Rocha, Vicente Ribeiro Junior;Moncao, Flavio Pinto;Soares, Camila;Ruas, Jose Reinaldo Mendes;Silva, Fredson Vieira e;Rigueira, Joao Paulo Sampaio;Costa, Natanael Mendes;Oliveira, Laura Lucia Santos;Rabelo, Walber de Olivei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9호
    • /
    • pp.1373-1380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scertained effects of cactus pear in association with different roughage in the diet of F1 Holstein/Zebu cows on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nitrogen balance, inges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Methods: Eight cows with $72{\pm}11$ days of lactation were use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simultaneous in two $4{\times}4$ Latin squares.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used: Diet 1, sorghum silage as exclusive roughage; Diet 2, sorghum silage associated with cactus pear in a proportion of 50% of the roughage (dry matter basis); Diet 3, elephant grass (Pennisetum purpureum cv. Roxo) as exclusive roughage; Diet 4, elephant grass associated with cactus pear in a proportion of 50% of the roughage. The roughage:concentrate ratio was 75:25. Results: Dry matter intake (p = 0.01) was higher with sorghum silage. There were differences in dry matter intake (p = 0.01), crude protein (p<0.01), ether extract (p = 0.01), non-fibrous carbohydrates (p<0.01)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p = 0.01) among the diets. Cactus pear in the diet reduced water intake by 44.52% (p<0.01). The nitrogen balance was 59.71% and 27.49% lower in animals treated with exclusive sorghum silage and sorghum silage associated with cactus pear in relation to diets with elephant grass and elephant grass associated with cactus pear, respectively (p<0.01). The diets did not influence the milk production (p = 0.70), 3.5% fat corrected milk production (p = 0.72) or feed efficiency (p = 0.61). Conclusion: The association of cactus pear with sorghum or elephant grass silage does not alter milk production, reduces the intake of dry matter and water and improves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순환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건강 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rculation exercise on Health Related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obese middle age women)

  • 손원목;오덕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70-17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순환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건강 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BMI\;25kg/m^2$ 이상인 40대 비만중년여성 중 순환운동군(10명), 대조군(10명)으로 총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모든 검사항목은 동일한 방법과 조건으로 건강 체력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대하여 사전, 사후 총 2회 측정하였다. 순환운동은 12주간, 주3회, 30~40분, 60~80%HRR 강도로 실시하였다. 측정변인에 대해 평균값과 표준편차($M{\pm}SD$)를 산출한 후 사전 운동군과 대조군의 신체적 특성과 각 측정변인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위하여 독립 t-test를, 집단 내의 사전 사후 평균치 변화에 대한 차이 검증은 종속 t-test를, 집단 간 차이에 대한 주효과 검정 및 집단 간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건강 체력에서 체지방률(p<.01)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제지방량(p<.05), 근지구력(p<.01), 유연성(p<.01) 및 심폐지구력(p<.001)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중 허리둘레(p<.05), SBP(p<.05), Glucose(p<.05) 및 TG(p<.001)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C(p<.001)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순환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건강 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