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y fat-lowering effect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8초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식사요법이 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Therapy on Blood Lipid in Out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 임현숙;신민정;정남식;조승연;김성순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7권4호
    • /
    • pp.313-319
    • /
    • 2001
  • High serum cholesterol level is a major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CHD). Nutrition therapy of hypocholesterolemic diets with increased physical activity is the essential step in the treatment of the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ort-term effect of intensive dietary therapy combined with regular exercise in lowering serum cholesterol level. Seventy three hypercholesterolemic outpatients(mean: 268.0$\pm$24.7mg/dL), aged 34 to 73(mean: 56$\pm$9.8yrs), who visited cardiology OPD of Yonsei Cardiovascular Center from April through October, 1998 were studi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usual nutrient intake survey using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daily nutrient intake analysis were performed. The nutrition counseling for the hypocholesterolemic diet and exercise therapy was performed individually. After a 4 week intensive dietary therapy, comparisons of body weight, nutrient intakes, and blood lipid concentrations were evaluated for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intensive diet therapy. After 4 weeks of intensive diet therapy, significant reductions in percent ideal body weight(p<0.01), saturated fat intake(p<0.01), and cholesterol intake(p<0.01) were observed.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s in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after 4 weeks of therapy by 8.1%(p<0.01) and 9.7%(p<0.01), respectively. Our results showed that intensive dietary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tions of serum total and LDL-cholesterol levels. The goal for this dietary modification should not be temporary but rather be permanent in eating behavior accompanied by appropriately increased physical activity.

  • PDF

Lipid Lowering Effect of Anthocyanin-Pigmented Rice Bra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ale Rats

  • Han, Hae-Kyoung;Choi, Sung-Sook;Shin, Jin-Chul;Chung, Ha-So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4호
    • /
    • pp.276-280
    • /
    • 2008
  • Oryza sativa cv. Heugjinjubyeo, an anthocyanin-pigmented rice variety, is well known to contain high levels of bioactive phytochemicals, anthocyanin, quinolone alkaloids and phenolic acids. Here, we studied the inhibitory effect of Oryza sativa cv. Heugjinjubyeo bran on the absorption of dietary fa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Sprague-Dawley male rats. For these experiments,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diabetic-control and two experimental groups that were fed 1.0 g or 2.0 g/kg body weight/day of Oryza sativa cv. Heugjinjubyeo bran supplement for 14 days. As a result, liver glycogen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by 65% and 32% in groups receiving 1.0 g and 2.0 g/kg body weight/day, respectively, compared to diabetic-control. Liver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by 8.3% and 14.5% in the groups fed 1.0 g and 2.0 g of anthocyanin- pigmented rice extracts, respectively.

Effects of Silkworm Extract on Disaccharidase Activities of Small Intestine and Blood Glucose-Lowering in C57BL/6J Mice

  • Ahn, Jung-Mo;Hong, Jung-Hee;Kim, Mi-Lim;Lee, In-Seon;Rhee, Soon-Ja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34-39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diabetic effect of a silkworm extract in C57BL/6J mice, an ob/㏈ model, fed a high fat diet for 8 weeks. The body weigh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silkworm-extract supplement, nor did food intake and body weight gains also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high-fat diet groups. However, the water intake by the silkworm-extract supplemented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by the distilled-water supplement group, nonetheless, the FE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or all groups, the blood glucose increased the most after 30 minutes and yet returned to a fasting level within 90 minutes. The fasting time and resulting glucose tolerance for the silkworm-extract supple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for the high fat diet with distilled water supplement group, while the level of blood glucose in silkworm-extract supplemented group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n in the diabetic control group. The HbA1c and insulin levels were no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sucrase and lactase activities in the proximal small intestin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ilkworm-extract supplement groups compared to that in the diabetic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lycogen contents in the liver and muscle among the group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silkworm-extract supplement repressed the disaccharidase activity in the small intestines mucosa of the C57BL/6J mice.

고지방식이 비만 유도 mouse에서 누에체액의 항비만 및 LDL-cholesterol 저하효과 (Anti-obesity and LDL-cholesterol lowering effects of silkworm hemolymph in C57BL/6N mice fed high fat diet)

  • 남유리;고영은;이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3호
    • /
    • pp.201-20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C57BL/6N 마우스 모델에서 누에체액 투여가 마우스의 체중 감소 및 혈중 지질 개선 효과를 보이는지 평가하였다. 실험동물은 정상군 (N), 고지방대조군 (HFC), 누에체액투여군 (HFS-1, HFS-5, HFS-10)으로 분리하여 12주 동안 열량비 10% 지방식이나 45% 지방식을 섭취시키고 고지방식이 급여군들의 일부에 누에체액을 체중 대비 1%, 5%, 10% 경구투여 하였다. 그 결과 체중과 부고환지방 및 총지방의 무게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장 LDL-cholesterol 농도가 고지방대조군 (HFC)군에 비하여 HFS-1, HFS-5, HFS-10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중 ALT와 AST의 활성은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HFS-5, HFS-10 군에서 유의하게 저하되었고 누에체액을 투여한 모든 군에서 HFC군과 비교하여 혈장 leptin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비록 누에체액의 유효성분을 동정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하지만 본 연구 결과는 누에체액이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잠재적인 천연소재로서 가능성을 보여준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함유 육류용 딥소스가 고지방식이 섭취 흰쥐의 지방축적 및 체중감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cinia cambogia Extract-containing Dip-sauce for Meat on Lipid Accumulation and Body Weight Reduction in Rats Fed High-fat Diet)

  • 강은실;황정석;김민화;김혜정;이창권;서한극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76-28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이 함유된 육류용 딥소스의 항비만 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기 위하여 고지방 식이로 유도한 비만 쥐의 체중 및 지방조직의 변화, 혈중 지질성분의 변화를 5주령 흰쥐 18마리를 정상식이에 식염수 투여군(NCD), 고지방 식이에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비함유 육류용 딥소스 투여군(HFD), 고지방 식이에 2%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함유 육류용 딥소스 투여군(HFD+GC)으로 나누어 90일 간 실시하였다. HFD군의 흰쥐에서의 체중 중가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이러한 체증증가는 HFD+GC군의 흰쥐에서 유의 있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개복 후 부고환 및 신장주변 지방 조직을 적출하여 무게를 확인한 결과에서도 HFD+GC군의 흰쥐에서 지방의 무게가 유의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혈청 중의 지질성분인 total cholesterol, triglycerol, total lipid의 함량이 다른 식이 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도 HFD+GC군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이 비만 유도 실험 모델 쥐에서 비만과 관련된 각종 지표들을 억제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효과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이 함유된 육류용 딥소스를 비만을 유발할 수 있는 음식과 동시에 섭취하여도 효과가 있음이 시사되었다.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콜레스테롤 저하 및 비만 억제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occoli Sprouts on Cholesterol-lowering and Anti-obesity Effects in Rats Fed High Fat Diet)

  • 이재준;신형덕;이유미;김아라;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09-318
    • /
    • 2009
  • 고지방식이로 고지혈 및 비만이 유도된 흰쥐에서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인한 혈 중 지질대사 개선 및 지방조직의 항비만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5주령 된 흰쥐 수컷 36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 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정상식이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저용량 병합 투여군(ND-BSL), 정상식이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군(ND-BSH), 고지방식이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저용량 병합 투여군(HFD-BSL) 및 고지방식이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군(HFD-BSH)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고지방식이로 증가되어진 체중증가량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정상식이군(ND)과는 비슷한 수준으로 저하되었다. 고지방 식이군들(HFD, HFD-BSL 및 HFD-BSH)이 정상식이군들 (ND, ND-BSL 및 ND-BSH)에 비하여 식이섭취량은 낮았으나, 식이효율은 높게 나타났다. 간조직의 무게는 실험 군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부고환 및 장간막지방조직의 무게는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을 고용량 병합 투여한 경우에는 고지방식이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고지방식이로 증가되어진 혈청 중의 ALT 및 AST 활성,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 심혈관위험지수와 동맥경화지수도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로 감소되었다. 혈청 중의 ALP 활성은 실험 군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 중의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식이군(ND)에 비하여 고지방식이군(HFD)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정상식이 혹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경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고지방식이로 증가되어진 간조직과 장간막지방조직 중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병합 투여로 저하되었다. 지방조직 중의 HR-LPL과 TE-LPL 활성 모두 정상식이군 (ND)에 비하여 고지방식이군(HFD)이 증가하였고,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한 모든 군은 고지방 식이군(HFD)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정상식이군 (ND)과는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는 고용량 병합 투여군이 저용량 병합투여군에 비하여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청 및 조직 중의 지질 함량 변화는 정상식이군들(ND, ND-BSL 및 ND-BSH)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고지방식이를 급여하면서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 시에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 브로콜리 싹 에탄올 추출물이 체중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지질 개선 효과와 LPL 활성을 저하시켜 고지혈증 예방효과와 지방축적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나 브로콜리 싹 추출물의 어떤 성분이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및 비만을 억제시킬 수 있는지는 보다 자세한 연구가 요구된다.

고지방과 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흰쥐에서 노루궁뎅이버섯의 항고지혈증 효과 (The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Lion's Mane Mushroom (Hericium erinaceus) in Hyperlipidemic Rats Induced by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

  • 장형석;윤기남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63-270
    • /
    • 2017
  • 노루궁뎅이버섯의 자실체가 고지방과 콜레스테롤을 급여한 Sprague Dawley계 암컷 흰쥐의 지질대사와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생후 5주령의 흰쥐에 표준 식이를 급여한 정상군(NC군), 표준 식이에 15%의 돈지와 1%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고지방 콜레스테롤군(HFC군), 고지방 콜레스테롤 식이에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 분말을 5% 첨가한 군(HFC+HE군) 등 총 3개의 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증가와 식이효율은 HFC군에 비해 HFC+HE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NC군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식이섭취량은 NC군과 HFC군에 비해 HFC+HE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HFC+HE군의 혈청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NC군과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동맥경화지수(AI)도 NC군과 HFC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았다. 그러나 혈청의 중성지방 농도는 NC군에 비해 유의성은 없었으나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HFC+HE의 혈청 알부민, 크레아티닌, 요산 및 총단백질의 농도는 NC군의 수준을 나타냈다. 혈청의 AST, ALT 및 ALP 활성은 NC군과 유사하였으나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실험 5~6주에 배출된 변을 채취하여 총지질과 총콜레스테롤의 양을 분석한 결과 NC군과 HFC군에 비해 변의 총지질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하게 높아 변으로 배출된 총지질과 총콜레스테롤의 양이 많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지방 콜레스테롤식이에 5%의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 분말을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중은 정상군의 수준을 유지하였고, 혈청의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농도도 정상군과 유사하게 낮았으며, 동맥경화지수도 낮아 노루궁뎅이버섯이 흰쥐의 지질대사를 정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Effect of Garlic on Serum Lipids Profiles and Leptin in Rats Fed High Fat Diet

  • Kang, Soon-Ah;Shin, Ho-Jung;Jang, Ki-Hyo;Choi, Sung-Eun;Yoon, Kyung-Ah;Kim, Jin-Sook;Chun, Hye-Kyung;Lim, Yoong-H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48-53
    • /
    • 2006
  • Although garlic has been reported to have impressive effects in lowering serum lipids, there have been controversial evaluations on these effects. To find the potential fator causing the inconsistency in the previous studies, we examined the effects of two types of garlic according to the producing-area (hangihyung garlic, nangihyung garlic) on serum lipid profiles and leptin level. Thirthy six of 4 wk old Sprague Dawley male rats fed high fat diet (40% of calories as fat) for 6 wks to induce obesity, and subsequently fed 5% garlic powder supplemented (HF+H: hangihyung garlic powder, HF+N: nangihyung garlic powder) high fat diets (w/w) for further 5 wk. For the comparison, normal control group fed AIN-76A diet (11.7% of calories as fat). Supplementation with hangihyung and nangihyung garlic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of high fat induced body weight gain, white fat (i.e., epididymal, visceral and peritoneal fat) development, adipocyte hypertrophy and the development of hyperinsulinemia and hyperliptinemia.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 was greatly reduced by hangihyung garlic supplementation (p<0.05).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by dietary hangihyung and nangihyung garlic. There were slight non-significant decreases in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of HF+N group as compared to those of HF group. Leptin level of HF+H group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HF group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N group and HF+N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ngihyung garlic may lead to the higher activity in improving lipid profiles than nangihyung garlic. Whether the hypolipidemic effect of garlic increases in a species-dependent has yet to be determined and awaits further research.

Peanut sprouts extract (Arachis hypogaea L.) has anti-obesity effects by controlling the protein expressions of $PPAR{\gamma}$ and adiponectin of adipose tissue in rats fed high-fat diet

  • Kang, Nam E;Ha, Ae Wha;Woo, Hye Won;Kim, Woo K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2호
    • /
    • pp.158-164
    • /
    • 2014
  • BACKGROUD/OBE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eanut sprout extracts on weight controls and protein expressions of transcription factors related to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cytokine in rats under high-fat diets. MATERIALS/METHODS: Four week-old Sparague-Dawley (SD) were assigned to 4 groups; normal-fat (NF) diets (7% fat diet), high-fat (HF) diets (20% fat diet), high fat diets with low peanut sprout extract (HF + PSEL) diet (20% fat and 0.025% peanut sprout extract), and high fat diets with high peanut sprout extract (HF + PSEH) diet (20% fat and 0.05% peanut sprout extract). Body weight changes, lipid profiles in adipose tissue, and the mRNA protein expressions,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CCAAT element binding protein ${\alpha}$ (C/EBP ${\alpha}$), leptin, and adiponectin, were determined. RESULTS: After 9 weeks of feeding, the HF + PSEH group had significantly less weight gains than the HF group (P < 0.05). However, the total dietary intakes or food efficiency ratios among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weight of epididymal fat in HF + PSEH group, $3.61{\pm}0.5g$, or HF + PSEL group, $3.80{\pm}0.7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F group, $4.39{\pm}0.4g$, (P < 0.05). Total lipids and total cholesterol in adipose tissu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HF + PSEH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HF group, respectively (P < 0.05). PSEH supplementation caused AST and ALT levels to decrease when it compared to HF group,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otein expression of $PPAR{\gamma}$ in HF + PSEH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F group (P < 0.05). Comparing with the HF group, the protein expression of adiponectin in HF + PSEH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The protein expressions of C/EBP ${\alpha}$ and leptin in HF + PSEH group were lower than the HF group, but it was not statistical significant. CONCLUSIONS: In conclusion, peanut sprout extract has anti-obesity effect by lowering the expressions of $PPAR{\gamma}$ which regulates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실내·외 운동 환경의 차이가 노년기 여성의 골밀도와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oor and Outdoor Exercise Environments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dy Composition in Old Women)

  • 길은경;양정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85-1091
    • /
    • 2012
  • 본 연구는 실내 외 운동 환경의 차이가 노년기 여성의 골밀도와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노년기 여성으로 실내운동집단 13명, 실외운동집단 13명 두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20주간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운동강도는 주3회, 1회 60분 동안 HRmax 50~70%, RPE 11~15로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밀도의 결과 집단 내 변화에서는 실외운동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집단 간 변화에서는 실외운동집단이 실내운동집단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신체구성의 결과 집단 내 변화에서는 실내운동집단에서 체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실외운동집단에서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집단 간의 변화에서는 체질량지수에서 실외운동집단이 실내운동집단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을 살펴볼 때 20주간 실외운동환경에서의 운동프로그램은 골밀도와 신체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